• 제목/요약/키워드: 피부전기활성도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3초

피부 활성점 측정을 위한 회로설계 및 측정방법연구 (A Study on the circuit design and measurement method for the measurement of active points on skin)

  • 김민수;조영창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713-718
    • /
    • 2020
  • 피부 활성점(경혈) 측정 방법은 편리성, 저비용 및 비 침습으로 측정하기 때문에 많은 생체정보를 얻기 위한 기술이다. 본 연구에서는 피부 아래에 활성점을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3전극 측정방법을 사용되었다. 임피던스측정방법은 측정실험 결과와 관련성이 있는 등가전기회로를 통해서 증명되었다. 활성점의 특성주파수는 주변 피부보다 15-30Hz 높고, 리액턴스는 35-77kΩ 더 작게 측정되었다. 이 기술은 비침습 측정 시스템을 이용해서 활성점과 주변피부의 리액턴스와 특성주파수를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분석되었다.

전자기장에 민감한 사람과 일반인의 언어자극이 피부저항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peech on GSR for electromagnetic hypersensitivity and control groups)

  • 지효철;심영우;노형욱;김덕원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129-130
    • /
    • 2008
  • 교감 신경계의 활성정도를 판별할 수 있는 지표로 피부저항(Galvanic skin resistance: GSR)이 있다. 교감신경이 흥분하면 땀이 분비되어 손가락의 피부저항이 감소하게 된다[1]. 전자기장에 민감한 사람(electromagnetic hypersensitivity: EHS)에게 전자기장을 노출시키면 전자기장을 잘 느끼지 못하는 일반인에 비해 교감신경이 많이 흥분하여 땀을 더 많이 분비할 것이라 생각하여 손가락 피부저항의 변화를 측정하여 전자기장에 민감한 사람과 일반인의 교감신경 활성정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러나 전자기장에 민감한지 민감하지 않은지를 판별하기 위한 인지 및 증상에 관한 설문에 의해서도 피부저항의 변화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전자파에 민감한 사람과 일반인간의 언어자극에 의한 피부저항의 변화를 알아보고 전자기장 노출 실험에서 인지 설문이 전자기장 노출여부에 의한 피부저항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지 주지 않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피부저항 측정 결과 EHS와 일반인군 모두에게서 언어자극(인지 및 자각증상에 관한 설문)에 의해 피부저항이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자외선B를 조사한 hairless mouse 피부 단백질의 2차 전기영동과 유도된 단백질

  • 안령미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276-276
    • /
    • 1994
  • 지구 환경문제의 하나인 오존충의 파괴는 지구상에 분포되어있는 자외선량을 증가시키는 외에 지금까지 지상에 도달하지 않았던 단파장역의 자외선량의 증가를 초래하여, 이것에 피부암, 백내장등의 발병율 증가등의 건강 피해가 염려된다. 이들 발병기전은 아직 확실치 않으나 에너지가 큰 단파영역의 자외선에 폭로되면 세포내의 물분자의 이온화에 기인되어 발생하는 활성산소종이 막지질, 핵산. 단백질등에 산화적 손상을 가져와 이것에 돌연변이, 세포사를 초래하는 것이 그 원인의 하나라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자외선 중 UVB의 조사로 인한 장해와 유도단백질을 찾아내어, 자외선의 유해성을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UVB를 농도별로 1회 hairless mouse에게 조사하여, 경시적으로 피부를 채취하여, UVB 조사로 인해 유도되는 단백질을 2차 전기영동법을 이용해 관찰하고. 유도단백질이 HSP인지를 면역염색을 통해 밝히고, 유도된 단백질을 protein sequence를 하여, 어떤 단백질인지 밝혔다.

  • PDF

CogTV를 위한 생체신호기반 시청자 선호도 모델 (A Viewer Preference Model Based on Physiological Feedback)

  • 박태서;김병희;장병탁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316-322
    • /
    • 2014
  • 본 논문은 TV를 이용한 영화시청 환경에서 해당 컨텐트에 대한 시청자의 암묵적 반응과 컨텐트의 멀티모달 피쳐를 실시간으로 측정 및 동기화하여 이를 기반으로 동영상 선호모델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필요시 영화추천을 수행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한 시스템에선 이미지, 소리, 자막 스트림으로부터 실시간 추출되는 저수준 피쳐들과 동기화되어 측정된 얼굴표정, 자세 및 생체신호로부터 해당 동영상이 유발한 시청자의 감정상태를 추정하여 선호모델 학습에 사용한다. 제안한 컨텐트-시청자 연계 추천모델의 일례로서 컨텐트의 오디오 및 자막 정보를 이용하여 시청자의 피부전기활성도로 측정된 arousal반응을 예측할 수 있음을 보인다.

에센스 제품의 Relaxing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xing effects of essence products)

  • 박세진;전병배;정은희;구준모;박성빈;이은주;김지영;서형제
    • 한국감성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감성과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49-152
    • /
    • 2009
  • 향에 대한 심리생리적 효과는 널리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연구방법을 통하여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에센스 제품 향에 대한 심리적, 생리적 반응을 조사하고, 심리적 향 이미지와 생리적 변화간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실험은 피실험자의 EEG, ECG, SKT, GSR을 이용하였다. 실험 결과, 향 종류에 따른 중추신경반응을 뇌파로 측정하여 알파파의 활성을 비교한 결과, Relaxing Fragrance(Neuro $Fragrance^{TM}$) 및 뉴로 에센스, Grapefruit 향 조건에서 알파파의 활성 비율이 높았으며, 좌뇌보다는 우뇌에서 알파파의 활성도가 높았고 Relaxing Fragrance(Neuro $Fragrance^{TM}$)와 뉴고 에센스가 고른 알파파의 활성을 보였다. 향 종류에 따른 자율신경반응을 비교한 결과, 평균 R-R 간격은 Relaxing Fragrance(Neuro $Fragrance^{TM}$)와 뉴로 에센스 조건에서 무향에 비해서 증가하였다. 피부온도와 피부전기저항에서는 무향에 비해서 전체적으로 내려가는 경향을 띄였으며, Relaxing Fragrance(Neuro $Fragrance^{TM}$)와 뉴로 에센스 조건에서 가장 낮았다.

  • PDF

기관사의 각성상태 평가를 위한 소형 피부전기활성도 측정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the Electrodermal Activity Monitoring System for the Evaluation of Train Driver's Arousal State)

  • 임민규;이영재;이강휘;강승진;김경남;박희정;양희경;이정환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3권9호
    • /
    • pp.1286-1293
    • /
    • 2014
  • Typically, studies through the simulation system have been progressed, because the evaluation of the driver's arousal state about the service of a actual train has risk of safety for the driver. When configured event same as the real in simulation system, the ability to cope with an accident situation may be the same each other. But the difference in the state of tension or arousal will occur. In this study, requested to cooperate with the railways in order to escape from these constraints, and the target of the experiment was to real engineer service. I was set about experiment when the train was stopped as safe as possible. As a result, the beta wave of EEG signals that representing complex calculations or anxiety is increased rapidly on the basis of a flag station from at the time of departure. The size of the electrodermal activity signal in response to movement of the body gave a noticeable. In terms of HRV, if the train approach a flag station gradually and the R-R interval is narrowed. So that the driver can be estimated as arousal state. In accordance with this study, if the quantitative standard of arousal state be based on the driver's biosignals will provide, it will be able to take advantage of development the system that would prevent train accidents caused by human error.

폴리올을 이용한 각질층 수분량 측정의 표준화 연구 (Standardization of Hydration in the Stratum Corneum Using by Polyols)

  • 남개원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13-119
    • /
    • 2015
  • 피부의 최외곽층인 각질층에 대한 수분량을 측정하는 것은 피부장벽기능과 생물리학적 특성에 대한 피부 건강함, 유연함, 부드러움 등의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나, 평가자와 피험자와의 개인적인 차이와 측정환경의 변화에 따라 재현성과 반복성에 있어서 각질층의 수분량을 측정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피부 각질층에 여러 종류의 제품을 사용 전후에 객관적으로 수분량을 측정하는 데에 있다. 40명의 건강한 자발적 피험자의 하박 내측을 피부의 전기용량 특성을 이용하여 수화정도를 측정하였다. 피부 수분량은 시험제품 도포 후, 3 h, 6 h 뒤에 측정하였다. 무도포 부위의 편차를 보정하기 위해 수분증가율을 이용하였고, 5반복 측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수분량 측정에 가장 효과를 보이는 대표적 폴리올 종류인 글리세롤과 부틸렌 글라이콜을 이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부분의 폴리올 종류는 피부 수분량 변화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연구에 참여한 피험자에게 0 ~ 20%의 글리세롤을 표준제품으로 사용하여 보정하였다. 피부 수분량은 낮은 농도의 글리세롤 범위에서 직선의 상관관계를 갖기 때문에, 글리세롤의 농도에 따라 피부 수분량에 대한 피험자 각각의 표준화된 곡선을 얻었다. 이렇게 얻어진 피부 수분량에 대응하는 글리세롤 농도 값은 통계학적으로 재현성과 반복성을 보였다. 게다가 이렇게 얻어진 표준화 곡선은 피험자 개인의 피부특성으로 활용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화장품과 같은 피부외용제품에 대한 미세한 피부 상태의 변화와 외부환경 변화에도 불구하고, 같은 결과를 보였다. 향후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계면활성제와 지질, 수용성 물질에 대한 제품 원료에 대한 피부 측정에 필요한 비침습적 방법과 병행해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Mouse 피부조직의 계면활성제에 의한 형태학적변화, 면역반응에서의 Protein 및 Lectin변화양상 (Morphological, Protein and pectin alteration following Treatment with Surfactant in Epidermis of Mouse)

  • 최정숙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18-151
    • /
    • 1997
  • 계면활성제에 의해 유도된 흰쥐의 allergy성 접촉피부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표피의 구조를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고, 또한 각 항원항체반응에서 단백질의 변화양상을 알아보고자 SDS-PAGE법에 의한 단백질 band의 분석 그리고 피부내에 존재하는 복합당질의 당잔기를 알기 위해 Lectin 반응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계면활성제의 1일 처리군에서 혈관의 확장이 나타났고 3일 처리군에서 핵이 phknotic되어 세포질의 eosinophlic을 일으켰으며 6일 처리군에서 과각질화, 염증세포의 증가, 표피내로 림프구의 침윤 증가가 관찰되었고 9일 처리군에서 과각질층이 serum crust가 되어 탈락되고 다시 부분적으로 두터워진 Acathosis를 합성한다. 반면에 진피층은 세포내 액포화와 세포사이 공간이 확장되었다. 12일 처리군에서는 표피직하부의 진피층에 혈관이 확장되어 나타나고 표피층은 7층으로 두터워져 생성되며 진피전층에 염증세포의 양이 현저히 감소되었음을 관찰하였다. 2. 계면활성제의 처리군에서 degranulated type histamine, serotonin, hiparin 등의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분비과립이 증가함에 따라 전기영동상에서 나타난 단백질 band의 급격한 변화를 관찰하였다. 3. 피부내 복합당질의 변화는 LCA, PNA, SBA, WGA에서 모두 양성반응을 보였으나, Con-A에서는 음성 반응을 보였다. PNA와 SBA에서는 계면활성제 처리군에 비하여 강한 양성반응을 보였다.

  • PDF

척추 탈출 디스크 제거를 위한 미세 플라즈마 발생 장치 연구

  • 김곤호;윤성영;권호철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09년도 제38회 동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46-46
    • /
    • 2010
  • 최근 상압 저온 플라즈마에서 발생되는 UV와 화학적 활성종들을 이용한 체내 조직 분해 처리, 피부 및 혈관 표면 처리, 대기 및 액체 정화 처리 등의 생체 의료적 응용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플라즈마에서는 처리 대상 외의 생체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며, 이 조건이 확보된 상태에서 처리 목표 대상에 따른 플라즈마 특성, 즉 선택적 생성종 제어와 플라즈마 온도를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인체 내부 조직에 대하여 유효 활성종 등의 직접적인 작용이 필요할 경우 밀리미터 크기 이하의 미세침습성 플라즈마를 활용하게 된다. 이 경우 방전 특성을 간접적으로만 관측 가능하여 주변 조직과 플라즈마 간의 상호 영향 등이 고려되어야 하므로 직접적인 관측이 가능한 인체 외부에서 발생된 플라즈마에 비해서 더욱 정교한 제어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미세 침습성 플라즈마의 발생 메커니즘 및 특성 분석을 수행하여 척추 디스크 탈출 치료 시술에 활용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처리 대상 조직으로의 접근 시 주변 조직의 손상을 막기 위하여 수 밀리미터 이하의 미세한 전극을 이용하였으며 전기 전도성을 띄는 인체 내부에서 절연공간의 확보를 위해 전극 표면에서 기포를 발생시켜 플라즈마 방전이 가능한 조건을 확보하였다. 또한 플라즈마 방전이 중단되거나 혹은 갑작스런 열 플라즈마로의 천이로 인해 생체에 심각한 열 손상을 초래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발생 플라즈마와 주변 디스크간의 상호 영향을 통한 플라즈마의 동적인 특성 변화 및 안정적인 플라즈마 발생을 위한 조건을 도출하였다. 이를 실제 임상 실험에 활용한 결과를 소개하고 아울러 차세대 의료용 플라즈마 발생 장치 개발을 위한 플라즈마 학계의 관심을 이끌어 보고자 한다.

  • PDF

계면활성제에 의해 손상된 피부의 Geranium essential oil 미용증진 효과 (Effectiveness for Beauty Improvement of Geranium essential oil on Skin Troubles by Surfactant)

  • 최정숙
    • 한국패션뷰티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01-106
    • /
    • 2004
  • Allergic contact dermatitis is a common skin disease resulting from specific immunologic sensitization to topically applied various allerg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kin morphologic cahnges by light microscopic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changes of protein band by SDS-PAGE(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in the skin effectiveness for beruty improvement of Geranium essential oil on skin troubles by surfacta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From the observed result of FE-Scanning Electron Microscope, groups treated by Geranium essential oil in group treated Geranium essential oil during 1 week in surfactant treated group during 1 week, the group was repaired in irregularity surface of tissue by alleviate-keratinization of Geranium essential oil. 2. As a result of protein analysis the group treated on surfactant was rised protein upper range of 97,0004a11on by hyper-keratinization and group treated during 1 week by surfactant was decreased protein below range of 43,000dalt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