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피부자극성

검색결과 282건 처리시간 0.025초

편백정유와 계피정유를 주성분으로 한 닭진드기 살비제에 대한 피부 자극성 및 감작성 평가 (Evaluation of Skin Irritation and Sensitization on an Acaricide Containing Essential Oils of Chamaecyparis obtusa and Cinnamomum camphora for Control of Poultry Red Mite (Dermanyssus gallinae))

  • 송준호;황두현;김의경;김석;이후장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7-23
    • /
    • 2021
  • 본 연구는 닭 진드기 구제를 목적으로 개발된 살비제인와구잡이 II® (WGJB, 편백정유 : 계피정유 = 20 : 56)에 대하여 토끼와 기니픽을 이용하여 피부 자극성 및 감작성 평가를 각각 수행하였다. 일차피부자극시험에서 토끼의 피부에 WGJB를 24시간 동안 처리한 후 피부 자극성을 확인한 결과, WGJB는 비찰과 부위에서 홍반과 부종과 같은 어떠한 부작용도 일으키지 않았으나, 몇몇 토끼의 찰과 부위에서 매우 약한 홍반과 부종을 나타내어 WGJB의 1차 피부자극 지수는 0.625이었다. 따라서 WGJB는 약한 자극성이 있는 물질로 분류되었다. 피부감작성 시험에서 기니픽에 0.1 mL의 WGJB을 피내주사한 후 24시간 동안 감작시켰다. 감작 1주일 후 WGJB를 함유한 패취를 주사부위에 부착하여 48시간 동안 처리한 다음, 2주 후에 WGJB를 함유한 패취를 부착하여 감작을 야기시켰다. WGJB는 어떠한 알러지 반응도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WGJB는 약한 피부 자극성을 가지며 감작성을 야기하지 않는 물질로 평가되었다.

농약 품목에 대한 GHS 기준과 농진청 기준에 따른 자극성 산출 후 자극성 분류 차이 비교 (Comparison of Differences between the Results of Irritation Classification after Irritation Calculation with GHS Criteria and RDA Directives in Plant Protection Products)

  • 유아선;오진아;박수진;조유미;이제봉;이난희;이주연;임양빈
    • 농약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26-340
    • /
    • 2016
  • 농약의 원제에 대한 GHS 체계 도입에 따라 농약 품목에 대한 GHS 도입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어 GHS 도입 시 현행과의 평가 기준을 비교하였다. 농약 59 품목의 독성시험성적에 대하여 농약관리법과 GHS에 따라 피부자극성 및 안점막자극성을 산출 및 분류한 결과, 피부자극성 경도 및 중도로 분류된 품목에서 GHS 기준에 의해 '분류되지 않음'으로 구분된 품목이 전체의 25.5%였고 안점막자극성 경도에서 GHS 기준에 의해 '분류되지 않음'으로 구분된 품목이 45.8%로 나타나 자극성 구분이 완화되었다. 반면 비가역적 반응의 평가에 의해 경도와 중도에서 피부자극성이 피부부식성 구분 1로 보다 높게 평가된 품목이 6.8%, 안점막자극성이 심한 눈손상 구분 1로 보다 높게 평가 된 품목이 5.1%였다. 농약 품목의 시험성적을 이용한 GHS 분류와 품목에 함유된 원제의 자극성 구분과 함유량을 이용하여 GHS 혼합물 분류기준에 따라 분류한 결과를 비교한 결과, 피부자극성에서는 25.5% 품목의 자극성 구분이 완화되었고, 3.4% 품목의 자극성 구분이 강화되었다. 안점막자극성에서는 25.4%의 품목에 대한 자극성 구분이 완화되었고 11.9%의 품목의 자극성 구분이 강화되었다. 농약 품목에 GHS를 도입할 경우, 상이한 분류 결과를 보완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식물 추출물 라벤더, 레몬 유칼립투스 및 계피 오일의 급성독성평가 (Evaluation of Acute Toxicity of Plant Extracts, Lavender, Lemon Eucalyptus and Cassia Essential Oil)

  • 정미혜;권미정;박수진;홍순성;박경훈;박재읍;연성흠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39-346
    • /
    • 2010
  • 본 연구는 생리활성이 높은 식물오일의(라벤더, 레몬유칼립투스 및 계피 오일) 친환경 살충소재의 활용가능성을 탐색하고자 급성독성(급성경구독성, 급성경피독성, 피부자극성 및 안점막자극성)시험을 수행하였다. 랫드를 이용한 급성경구독성시험결과 라벤더, 레몬 유칼립투스 및 계피 오일의 $LD_{50}$은 2,000 mg/kg bw 이상이었고, 급성경피독성시험결과 모든 시험물질의 $LD_{50}$이 4,000 mg/kg bw으로 나타났다. 피부자극성시험결과 라벤더와 레몬 유칼립투스 오일은 자극성이 없었고, 계피 오일은 중도의 자극성을 나타냈다. 안점막자극성시험결과 라벤더, 레몬 유칼립투스 오일은 자극성이 없었고, 계피오일은 중도의 자극성을 나타냈으나 세척시험 결과 자극성은 없었다. 따라서, 라벤더 및 레몬 유칼립투스 오일은 독성이 낮았으나, 계피 오일은 중도의 피부자극성 및 안점막자극성을 갖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개인용 피부미용 복합자극기 개발 (Development of a Personal Compound Stimulus Device for Skin-care)

  • 이전;김지현;정금희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9권1호
    • /
    • pp.12-19
    • /
    • 2012
  • 국내외적으로 경제수준의 향상과 웰빙 트렌트로 인해 피부미용기기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대형기기 및 일부 보급된 개인용 피부미용기기와 차별화된 개인용 피부미용 복합자극기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복합자극의 종류로 한약재 추출액의 생화학 자극, 피부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는 온열 자극, 다양한 피부미용 효과가 보고되고 있는 광 자극을 선택하였으며, 이들이 동시에 제공 가능하도록 복합자극부 구조를 설계하였다. 생화학 자극은 탈지면 패드에 함유된 한약재혼합추출물이 온열에 의해 기화됨으로써 피부에 공급되도록 하였으며, 온열자극은 탄소섬유 면상 발열체를 통해, 그리고 광자극은 850nm 파장을 갖는 고출력 근적외선 LED를 통해 공급되도록 하였다. 제작된 시제품의 보완 및 성능평가를 위하여 온열자극부 및 광 자극부를 테스트하였다. 온열자극의 경우 목표온도 도달시간, 제어 오차가 각 2분 이내, ${\pm}1.5^{\circ}C$ 이내로 적절히 동작하였으며, 광 자극의 경우 근적외선 LED와 발열체가 결합된 구조로 인해 정상 동작범위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하는 것이 확인되어 방열체 제작 추가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하였다. 마지막으로, C2C12 mouse myoblast을 대상으로 한약재 자극을 제외한 복합자극의 유효성을 평가하는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RT-PCR분석 결과 $37^{\circ}C$ 온열자극과 광 자극의 복합자극을 인가한 그룹에서 대조군에 비해 collagen I mRNA 발현량이 4.9배, collagen III mRNA 발현량이 1.3배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Leuconostoc mesenteroides 화장품의 융합 기술을 이용한 피부자극 연구 (Study on the skin stimulation of the Leuconostoc mesenteroides cosmetics's skin using convergence technology)

  • 민경남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05-111
    • /
    • 2022
  • 두피 유래 유산균 Leuconostoc mesenteroides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품을 인체 피부에 첩포하여 자극 유무를 검증하고 기초화장품의 소재로써 피부 안전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L. mesenteroides 추출물 1%와 PEG-60 Hydrogenated Castor Oil 0.6%를 함유한 토너와 L. mesenteroides 추출물 3%, Glyceryl Stearate 0.7%를 함유한 로션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토너는 32명, 로션은 33명의 연구대상자들의 등 부위에 각각 24시간 첩포하여 자극지수를 산출한 결과, 토너는 0.016점, 로션은 0점이 도출되어 모두 무자극으로 나타나 피부에 안전함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와 기존 선행연구에서 보고된 L. mesenteroides의 항산화, 항알레르기, 항염능 등을 미루어 보아 이는 저농도에서 기초화장품의 소재로 피부에 안전하고 기타 화장품에 적용 시 피부 무자극 소재로 연구 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코로나 19 시대의 화장품분야 천연소재 개발방향

  • 정의수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4
    • /
    • 2021
  • 전 세계는 covid 19의 pandemic 상황이 장기화되면서 화장품 분야의 trend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covid 19의 예방으로 마스크는 생활필수품이 되었고, 행정적으로도 사무공간에서도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으면 과태료를 부과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이로 인하여 장시간 마스크 착용은 필수 불가결한 상황이며, 이로 인하여 얼굴 피부의 장벽기능(barrier function)의 와해로 인하여 피부가 예민해지고 크고 작은 피부의 trouble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들은 화장품의 선택에 있어 피부 진정과 피부에 자극완화(anti-irritation) 및 안전성(safety)에 대한 것으로 점차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Covid 19 이전의 화장품 소재 및 제품 개발의 트렌드는 국내의 기능성화장품 범주에 있는 미백 관련, 주름관련, 자외선 차단관련, 염모관련, 육모 탈모 관련, 여드름관련, 피부장벽관련, 튼살 관련 기능성 소재 및 제품 개발과 화장품 용도외의 고기능성 부여를 위한 코스메슈티컬(cosmeceutical)용 제품의 개발이 중요한 시기였다. 코스메슈티컬(cosmeceutical)은 화장품(cosmetic)과 의약품(pharmaceutical)의 합성어이다. 그러나 최근 Covid 19의 상황에 따라 화장품 업계는 포스트 코로나의 트렌드로 피부 장벽기능 강화, 피부노화 억제, 식물성, 자극완화, 비건, 안전성 확보에 대한 다양한 천연 소재의 연구와 제품을 개발 출시하고 있다. 따라서, 2020년 Covid 19의 상황에 따른 화장품 분야의 천연 신소재 및 화장품 개발 방향에 대하여 자원 식물의 활용성 및 개발 동향에 대하여 논의 하고자한다.

  • PDF

식물추출물 후추, 클로브버드, 로즈마리 및 오리가늄오일의 급성독성평가 (Evaluation of Acute Toxicity of Black Pepper extracts, Clove bud, Rosemary and Origanum Essential oils)

  • 정미혜;박수진;권미정;유아선;박경훈;뱍재읍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31-237
    • /
    • 2011
  • 본 연구는 후추출물, 클로브버드, 로즈마리 및 오리가늄오일의 친환경 살충소재의 활용가능성을 탐색하고자 급성경구독성, 급성경피독성, 피부자극성 및 안점막자극성시험을 수행하였다. 랫드를 이용한 급성경구독성시험결과 후추추출물, 클로브버드, 로즈마리 및 오리가늄오일의 $LD_{50}$은 2,000 mg/kg bw이상이었고, 급성경피독성시험결과 모든 사험물질의 $LD_{50}$이 4,000 mg/kg bw으로 나타났다. 피부자극성시험결과 후추추출물, 클로브버드 및 로즈마리오일은 자극성이 없었고, 오리가늄오일은 중도의 자극성을 나타냈다. 안점막자극성시험결과 후추추출물과 로즈마리오일은 자극성이 없고, 클로브버드오일은 경도의 자극성을 나타냈으며, 오리가늄오일은 중도의 자극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후추와 로즈마리오열은 독성이 낮았으나, 클로브버드오일은 경도의 안점막자극성을 갖고, 오리가늄오일은 중도의 피부자극성과 안점막자극성이 있는 것으로 구분되었다.

Zymomonas mobilis에 의해 생성된 Fructan (Levan)의 특성 및 화장품 원료로의 개발

  • 이재섭;양은경;이정하;김철호;박수남;이종원;김기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86-201
    • /
    • 2002
  • Fructan(Levan)은 식물체 및 미생물에서 발견되는 탄수화물로 이는 과당(fructose)이 $\beta$-2, 6 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는 polysaccaride 이다. 본 연구에서는 Fructan을 생성하는 미생물(Zymomonas mobilis)과 10% sucrose(기질), 1-2% 효모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배지를 사용하여 30-37$^{\circ}C$, pH 5.0-7.0에서 20-24시간 동안 배양한후 원심분리하여 균체를 제거하고 3배량의 알코올을 가하여 침전, 건조하여 얻은 Fructan의 화장품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보습효과에 있어서는 Hyaluronic acid와 유사하였으며, keratinocyte에 대한 세포증식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3-D culture에 의해 구축된 생인공 피부내에 0.05%의 sodium lauryl sulfate (SLS)를 사용하여 피부자극에 의한 초기 염증 반응을 유도한후 0.01mg/m1, 0.05mg/m1의 Fructan을 각각 처리하였을 때, SLS만을 처리한 생인공피부와 비교하여 세포증식효능을 보였고, SLS 자극물질로 유도된 전염증성 조절인자인 interleukin-l$\alpha$(IL-l$\alpha$)의 분비량을 조사 하였을때 0.01mg/ml, 0.05mg/ml의 Fructan을 처리한 생인공피부의 IL-l$\alpha$ 양이 Fructan을 처리하지 않은 것보다 상대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Fructan이 생인공 피부내 피부 세포의 증식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또한 피부자극물질에 의한 염증반응에 대해 자극완화효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섬유아세포 및 동물을 이용한 안전성 시험에서도 독성이 없는 안전한 원료로 평가되었다.

집속형초음파자극시스템 카트리지의 동물실험을 통한 피부자극시험 및 피부 감작성시험 (Animal Skin Irritation and Skin Sensitization Tests of High Intensity Focused Ultrasound System Cartridges)

  • 김준태;김주희;주규태;김경아;최안렬;조재현;정진형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477-484
    • /
    • 2022
  • 본 연구는 집속형초음파자극시스템의 카트리지부를 시료로 사용하여 의료기기 안전성 평가 기준인 GLP(Good Laboratory Practice)에 관한 시험 중 동물실험을 통한 피부 자극 시험 및 피부 감작성시험을 진행하였다. New Zealand White Rabbit 암컷 6마리를 이용하여 IACUC 승인 후 시험을 진행하였으며, 실험기간 동안 사망한 개체 수는 없었으며, 실험동물에서 어떤 이상 증상도 관찰되지 않았다. 극성, 비극성 자극 지수는 모두 '0.0'으로 나타났다. 또한, 피부감작성 평가의 경우 IACUC 승인을 통한 기니피그 30마리를 통하여 대조군 및 실험군으로 나누어 시험검체 및 공시험액을 별도의 희석 없이 용출액 자체를 사용하여 모든 유도 및 유발단계를 적용하였다. 실험결과대조동물의 피부반응 등급은 0등급이었으며, 시험동물의 피부반응에서 1등급 이상을 나타내는 동물은 없었다. 두 시험 결과에서 피부의 이상 증상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인체에 적용하여 환자를 치료할 경우 시험에 사용된 시험재료로부터 피부의 이상 증상이 생기는 질환 등은 나타나지 않는지에 관하여 안정성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인체 유산균 배양액의 피부 안전성 임상 연구 (Clinical research on the skin saftey of the human derived lactic acid culture)

  • 민경남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7호
    • /
    • pp.123-129
    • /
    • 2022
  • 인체의 두피 각질에서 유산균 Leuconostoc mesenteroides을 분리하여 배양하고 이를 함유한 가용화 에센스를 피부에 첩포한 후 자극 유무 검증을 통해 화장품의 소재로 활용 가능성을 판단하고자 하였다. 1% 농도로 희석한 L. mesenteroides 배양액과 이를 1% 함유한 에센스를 제조하여 L. mesenteroides 배양액은 31명, 에센스는 32명의 피시험자들의 등 부위에 24시간 첩포하고 이를 제거한 후 30분, 24시간, 48시간 후의 상태를 피부과 전문의가 육안으로 판독하여 자극 지수를 산출하였다. 이 결과 L. mesenteroides 배양액은 0.011점, 에센스는 0점이 도출되어 모두 무자극으로 피부에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의 일차자극시험 결과와 선행 연구에서 보고된 항알레르기, 항산화, 항염 활성능 등을 미루어 보아 저 농도의 L. mesenteroides 배양액은 피부에 안전하여 향후 기초화장품에 적용 시 피부자극이 없는 소재로 활발한 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