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플라스틱 용기

Search Result 162,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Studies on Production of High-Quality Cornus controversa Container Seedlings (층층나무 우량 용기묘 생산에 관한 연구)

  • 윤택승;홍성각
    • Journal of Korea Foresty Energy
    • /
    • v.21 no.3
    • /
    • pp.28-33
    • /
    • 200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the technique for the production of high quality container seedlings of Comus controversa Hemsley. The seedlings were grown on the medium of peatmoss : perlite : vermiculite (1:1:1, v/v) in plastic net container and no-net plastic container as control for five months in the PE house. The seedlings grown in the plastic net container showed better root collar diameter growth, better development of long and fine roots, more increment of dry mass of roots and shoots than those grown in the no-net container. But the height growth of the seedlings in both container was similar. In particular the seedlings grown in plastic net container had no spiraling roots which were always observed in the control container seedlings. This result was induced by air-root pruning effect from the plastic net container.

  • PDF

Growth of Mandshurian Linden (Tilia mandshurica Pupr, et Max.) Seedlings as Affected by Container Types and Volumes (용기의 형태와 용적에 따른 찰피나무 유묘의 생장)

  • Yoon, Taek-Seong;Lim, Ji-Young;Kim, Jong-Jin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14 no.4
    • /
    • pp.239-244
    • /
    • 200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root development of Mandshurian Linden (Tilia mandshurica Rupr. et Max.) seedlings grown in plastic net container and plain plastic container. The seedlings were grown in the mixture of peatmoss perlite : vermiculite (1:1:1, v/v/v) for five months in the plastic greenhouse. The seedlings grown in plastic net container showed greater root collar diameter growth, better root development, and more increment of root dry mass than those grown in the plain plastic container. In particular, the seedlings grown in plastic net container had no spiraling roots which were always observed in the control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net container is suitable for container culture of Tilia mandshurica seedlings by enhancing root development. Seedlings grown in the net container and transplanted to various environments showed vigorous rootage and growth.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Fermented in Permeability-Controlled Polyethylene Containers (투과도 조절 플라스틱 용기에서 발효된 김치의 품질 특성)

  • Lee, Eun-Ji;Park, So-Eun;Choi, Hye-Sun;Han, Gwi-Jung;Kang, Soon-Ah;Park, Kun-Young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17 no.6
    • /
    • pp.793-799
    • /
    • 2010
  • Kimchi was fermented in permeability-controlled polyethylene containers, in glazed onggi (Korean ethnic earthenware) or glass bottles at $5^{\circ}C$ for 8 weeks. During 4 weeks of storage, kimchi fermented in the permeability-controlled container showed a stable fermentation pattern, in terms of changes in pH and acidity, compared with kimchi fermented in the other containers. With respect to changes in bacterial counts, kimchi fermented in polyethylene containers showed vigorous multipl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especially Lactobacillus sp., but slow growth of total aerobic bacteria. The springiness of kimchi fermented in the polyethylene containers was optimal (about 10% more than that of glass bottle-fermented kimchi), and the overall acceptability and hardness of container-fermented kimchi were excellent upon sensory evaluation. The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kimchi fermented in polyethylene containers was also greater (91%) than that of kimchi fermented in glazed onggi (73%) or glass bottles (63%). The $O_2$ and $CO_2$ permeabilities of the polyethylene containers were higher (458 and $357\;mmol\;h^{-1}\;m^{-2}\;atm^{-1}$, respectively) than were those of the other containers; the permeability ratio was 0.8. Glass bottles showed no permeance. The results indicate that permeability-controlled polyethylene containers may be used for kimchi fermentation.

Packaging Industry of Thailand (Hot Issue - 태국의 포장산업 실태)

  • (사)한국포장협회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270
    • /
    • pp.100-110
    • /
    • 2015
  • 본 고는 "재활용이 가능한 고차단성 폴리올레핀 유니 소재를 활용하여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친환경식품포장 개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태국의 식품포장산업 조사"를 토대하여 편집한 것이며, 태국 카쎄싸국립대학교 포장재료기술학과가 태국의 식품포장산업의 현황 및 동향을 파악하여 태국의 식품포장에 주로 사용되는 유리, 플라스틱, 종이 등 주요 포장재료에 관한 정보를 얻는 데 있다. 이 자료에서는 가능한 연성 및 경성의 플라스틱포장, 종이포장, 유리포장의 생산현황을 담고 있다. 또한 포장용기의 생산량 및 추이가 태국 전역 및 주 생산 지역 전반의 차원에서 다루어지고 있으며, 포장 재료간 경쟁력도 언급한다. 제공하는 자료들은 현장조사, 설문, 인터뷰, 각종 서신, 그리고 각종 출판 자료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 요약하면, 생산량을 기준으로 보면 주요 식품포장 재료들 중 종이, 플라스틱, 유리, 금속의 순으로 사용되었다. 종이용기 중에서는 골판지 용기가 여타 형태의 종이용기보다 많이 생산되었다. 플라스틱 포장에 있어서는 플라스틱 병과 유연성 파우치의 두 형태가 돋보였는데, 이는 대부분 음료업계에서 사용된다. 유리병도 태국의 음료업계에서 주로 사용되는데, 특히 재활용 용기로 활용된다. 지난 10년간 금속용기는 유연성 파우치와 아셉틱 카톤 팩으로 대체되어 생산량이 대폭 줄었다. 본 고에서는 한국식품연구원 박형우 책임연구원의 자료 제공을 바탕으로 총 3~4회에 걸쳐 태국 포장산업 실태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 PDF

Packaging Industry of Thailand (Hot Issue - 태국의 포장산업 실태)

  • (사)한국포장협회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272
    • /
    • pp.104-111
    • /
    • 2015
  • 본 고는 "재활용이 가능한 고차단성 폴리올레핀 유니 소재를 활용하여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친환경식품포장 개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태국의 식품포장산업 조사"를 토대하여 편집한 것이며, 태국 카쎄싸국립대학교 포장재료기술학과가 태국의 식품포장산업의 현황 및 동향을 파악하여 태국의 식품포장에 주로 사용되는 유리, 플라스틱, 종이 등 주요 포장재료에 관한 정보를 얻는 데 있다. 이 자료에서는 가능한 연성 및 경성의 플라스틱포장, 종이포장, 유리포장의 생산현황을 담고 있다. 또한 포장용기의 생산량 및 추이가 태국 전역 및 주 생산 지역 전반의 차원에서 다루어지고 있으며, 포장 재료간 경쟁력도 언급한다. 제공하는 자료들은 현장조사, 설문, 인터뷰, 각종 서신, 그리고 각종 출판 자료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 요약하면, 생산량을 기준으로 보면 주요 식품포장 재료들 중 종이, 플라스틱, 유리, 금속의 순으로 사용되었다. 종이용기 중에서는 골판지 용기가 여타 형태의 종이용기보다 많이 생산되었다. 플라스틱 포장에 있어서는 플라스틱 병과 유연성 파우치의 두 형태가 돋보였는데, 이는 대부분 음료업계에서 사용된다. 유리병도 태국의 음료업계에서 주로 사용되는데, 특히 재활용 용기로 활용된다. 지난 10년간 금속용기는 유연성 파우치와 아셉틱 카톤 팩으로 대체되어 생산량이 대폭 줄었다. 본 고에서는 한국식품연구원 박형우 책임연구원의 자료 제공을 바탕으로 태국 포장산업 실태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 PDF

Packaging Industry of Thailand (Hot Issue - 태국의 포장산업 실태)

  • (사)한국포장협회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271
    • /
    • pp.89-103
    • /
    • 2015
  • 본 고는 "재활용이 가능한 고차단성 폴리올레핀 유니 소재를 활용하여 온실가스를 감축하는 친환경식품포장 개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태국의 식품포장산업 조사"를 토대하여 편집한 것이며, 태국 카쎄싸국립대학교 포장재료기술학과가 태국의 식품포장산업의 현황 및 동향을 파악하여 태국의 식품포장에 주로 사용되는 유리, 플라스틱, 종이 등 주요 포장재료에 관한 정보를 얻는 데 있다. 이 자료에서는 가능한 연성 및 경성의 플라스틱포장, 종이포장, 유리포장의 생산현황을 담고 있다. 또한 포장용기의 생산량 및 추이가 태국 전역 및 주 생산 지역 전반의 차원에서 다루어지고 있으며, 포장 재료간 경쟁력도 언급한다. 제공하는 자료들은 현장조사, 설문, 인터뷰, 각종 서신, 그리고 각종 출판 자료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 요약하면, 생산량을 기준으로 보면 주요 식품포장 재료들 중 종이, 플라스틱, 유리, 금속의 순으로 사용되었다. 종이용기 중에서는 골판지 용기가 여타 형태의 종이용기보다 많이 생산되었다. 플라스틱 포장에 있어서는 플라스틱 병과 유연성 파우치의 두 형태가 돋보였는데, 이는 대부분 음료업계에서 사용된다. 유리병도 태국의 음료업계에서 주로 사용되는데, 특히 재활용 용기로 활용된다. 지난 10년간 금속용기는 유연성 파우치와 아셉틱 카톤 팩으로 대체되어 생산량이 대폭 줄었다. 본 고에서는 한국식품연구원 박형우 책임연구원의 자료 제공을 바탕으로 태국 포장산업 실태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 PDF

Changes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by Storage Containers (저장용기에 따른 김치의 품질 특성 변화)

  • 임재운;문주수;김현덕;나두종;손종연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 /
    • v.17 no.1
    • /
    • pp.80-85
    • /
    • 2004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ide basic quality characteristics data of Kimchi by storage containers that will be applied for Kimchi storage container development of new material. In all storage containers, pH was decreased with increased storage days, while acidity was increased with increased storage days, The changes of pH and acidity by storage containers were alumina < stainless < bio < plastic. Salt content was same to all containers. In all storage containers, reducing sugars of Kimchi at first were 22.65${\pm}$0.04$\^$a/ mg/mL. But as these of alumina, stainless, bio and plastic at storage after 31 days were 11.18${\pm}$0.15$\^$a/ mg/mL, 5.39${\pm}$0.02$\^$b/, 3.74${\pm}$0.10$\^$c/, and 3.14${\pm}$0.02$\^$d/ mg/mL, respectively. The hardness, cohesiveness and gumminess of Kimchi by storage containers decreased with increased storage days. And the changes ratio of these were alumina < stainless < bio < plastic. The desirable organoleptic characteristic such as sourness, fresh cabbage taste and firmness were long time maintained at alumina container A significant evidence was detected that the alumina container showed less quality change than that of bio, stainless and plastic containers as storage days increased.

저장용기에 따른 김치의 품질 특성

  • 임재운;나두종;손종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and Cookery Science Conference
    • /
    • 2003.10a
    • /
    • pp.85-85
    • /
    • 2003
  • 저장용기(알루미나, 바이오, 스텐레스, 플라스틱)에 따른 김치의 품질특성을 구명하고자 4$^{\circ}C$+1에 31일간 저장하면서 pH, 산도, 환원당, 염도, 유산균, 관능평가 및 조직감등을 비교, 조사하였다. 저장기간에 따른 김치의 pH, 산도의 변화는 알루미나 용기에서 가장 적었고 플라스틱 용기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환원당의 경우 저장초기 22.65$\pm$0.04 mg/mL 이었고 저장후기에는 알루미나가 11.18$\pm$0.15$^{a}$ mg/mL이었고, 스텐레스, 바이오, 플라스틱이 각각 5.39$\pm$0.02$^{b}$ , 3.74$\pm$0.$10^{c}$ , 3.14$\pm$0.05$^{d}$ 이었다. (중략)

  • PDF

생분해성 플라스틱

  • 한국포장협회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59
    • /
    • pp.174-178
    • /
    • 1998
  • 주지하는 바와 같이, 자연환경 속에서는 분해되지 않는 안정적 소재인 플라스틱의 대량 생산이 오늘날 커다란 환경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플라스틱으로 인한 환경오염문제 해결방안의 일환으로서, 사용 후,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물과 탄소가스로 분해되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연구가 1980년대 후반부터 활발해졌으며, 현재까지는 미국, 유럽, 일본 등지에서 만흔 제품이 개발돼 왔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농림$\cdot$수산용자재, 토목$\cdot$건축자재, 포장용기분야 등에서의 용도가 기대되고 있으나, 범용플라스틱에 비해 아직은 가격이 훨씬 비싸다는 것이 그 용도확대의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개발동향, 시험법표준화와 안정성 등을 포함하여,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앞으로의 실용화 가능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