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풍수 이기론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8초

풍수 88향법의 환경분석적 연구방향의 모색

  • 정성태
    • 한국조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경학회 2007년도 The Evolution and Expansion of
    • /
    • pp.31-35
    • /
    • 2007
  • 풍수지리학은 인간이 자연 속에서 좀 더 건강하고 안락하게 살아갈 터를 구하는 동양의 지리관이며 실용학문이다. 경전에 의해 전승된 전통풍수학의 이론체계 중 이기론(理氣論)은 산과 바람, 그리고 물의 순환궤적과 양을 나반(羅盤)를 이용하여 혈(穴)을 찾는 과정으로 땅의 기운을 12단계의 자연순환원리고 구분하고, 88향법(向法)으로 방위를 가늠하여 좋은 터를 선택하는 객관적이며 논리적인 자연환경분석체계임이 고찰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기론의 12순환체계(胞胎法)에 의한 88향법 논리를 방위론에 입각하여 최적화한 다음, GIS분석 틀을 원용하여 사례대상지의 적지분석 결과와 풍수 향법의 결과치를 비교 분석해 본 결과, 88항볍의 적용으로 보다 융통성있는 향과 부지를 선택할 수 있음이 유추되었다. 장차의 연구로서 최적화된 88향법의 풍수논리를 중심으로 보다 다양한 변수의 적용과 면밀한 사례분석이 요구된다.

  • PDF

선운사 입지의 공간구성과 가람 배치 (Space Composition and Layout of the Location of Seon-Un Temple)

  • 배영한;박정해
    • 산업진흥연구
    • /
    • 제9권2호
    • /
    • pp.137-151
    • /
    • 2024
  • 본 연구는 고창 도솔산(兜率山) 선운사(禪雲寺) 입지에 대한 풍수적인 특징을 현장조사와 문헌고찰을 통해 형세론적 관점과 이기론 관점에서 분석한 연구이다. 풍수가 갖는 특징적인 요소는 자연과 조화를 최우선 하며 합리적인 방법을 통하여 입지선정의 기준점으로 삼았다. 신라시대 입당승들은 형세풍수가 처음 나타난 강서지역에 유학을 하였는데, 강서지법의 형세풍수가 우리나라에 유입되어 사찰의 입지선정과 가람배치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선운사는 도솔산 아래에 입지하여 그 의미가 클 수밖에 없었고, 부처님의 나라로 들어가는 도솔천(兜率川)과 도솔암(兜率庵)을 통한 불교적 완성을 이루고자 하는 바람의 실천이었다. 따라서 고창 도솔산(兜率山) 아래에 자리한 선운사 입지에는 다양한 풍수적 특징이 반영되었는데, 특히 도솔산 선운사의 입지에는 풍수가 가지고 있는 특징과 의미를 논리적으로 사용하였고, 불교의 가장 신성한 의미를 갖는 불교 교리와 사상 전파를 목적으로 하는 자연과 하나되는 모습을 실천하였다.

풍수지리와 바람재난의 피해사례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arative Analysis Damage Cases of Wind Hazard and Poongsoojiri)

  • 이동익;허성제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6권2호
    • /
    • pp.41-48
    • /
    • 2013
  • 풍수지리(風水地理)의 발생배경은 원시사회에서의 열악한 자연환경속에 부족의 생존과 보존을 위한 취길피흉(取吉避凶)의 관념으로부터 풍수가 발생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풍수지리는 주로 이기풍수론과 형기풍수론의 두 분류에 의해 발전해 왔는데, 기 자체가 무형으로 실체적 형상을 파악할 수 없고, 특히 제1 주체인 땅(지기)은 자연적인 것으로 인간이 마음대로 조절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반면에 인위적인 형상(家相)에 의해 천기를 잘 받아 지기의 공명현상을 얻고자 하는 것이 현대의 풍수지리의 방향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풍수지리의 사격(砂格)과 가상학(家相學)에 따른 건물에 대한 바람의 영향을 무형의 상상으로만 평가해 오고 있는 지금까지의 방법과 달리 풍공학 및 공역학이론, 바람재난 피해 사례를 비교 검토한 결과 보국명당과 가상학의 주장은 바람의 불규칙성 때문에 바람재난의 관점에서 상관관계가 매우 높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풍수고전 "장경(葬經)"에 나타난 풍수이기론에 관한 연구 - 사세팔룡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Ligiron in the Oldest Feng-Shui Book "Janggyeong" - Focus on Sasepalryongbub -)

  • 조인철
    • 건축역사연구
    • /
    • 제20권1호
    • /
    • pp.117-133
    • /
    • 2011
  •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oldest feng-shui book "Janggyeong(葬經)". Specially, it is a focus on the feng-shui orientation method so called Sasepalryongbub(四勢八龍法) in that book. This method is to identify fortune and misfortune with the directions to be measured by a feng-shui compass. Sa(四) of Sase(四勢) is the four pieces of direction of dividing 12 parts for 360 degree circle. To divide for 12 parts is related with 12-Jiji(地支). Sa mean In(寅), Sin(申), Sa(巳), and Hae(亥). Se of Sase means a large stem of mountain. Generally, Sase are the big mountain stems of the four directions as In, Sin, Sa, and Hae. Pal(八) of Palryong(八龍) mean the 8 parts of equal division for 360 degree. It is related with Palgoe(八卦) that divide for 8 parts equally. Palgoe are Jin(震), Li(離), Gam(坎), Tae(兌), Geon(乾), Gon(坤), Gan(艮), and Son(巽). Ryong(龍) of Palryong(八龍) is a stem of mountain that is measured with 8 parts of equal division feng-shui compass. Sasepalryongbub make a connection between Sase and Palryong. When they are connected, it is a good fortune like as In(寅) and Li(離), Sin(申) and Gam(坎) or Gon(坤) or Gan(艮), Sa(巳) and Tae(兌) or Geon(乾), Hae(亥) and Jin(辰) or Son(巽). It is based on two theories. The one is 12-Unseongron(運星論), the other is one of Ohaengron(五行論) as Samhap-Ohaeng(三合五行). 12-Unseongron begins from dividing all human life affairs with 12 steps. Saeng(生), Wang(旺), Myo(墓) are the very important things among 12 steps. Saeng means starting, Wang means flourishing, Myo means keeping. Samhap-Ohaeng is made with Jiji of Saeng, Wang and Myo steps about 12-Unseongron. Saeng is the most important thing among of Saeng, Wang and Myo in Sasepalryongbub which means birth. Saeng of Jiji direction can help Palgoe direction as a counterpart. Like this, the good relation of Sase and Palryong is that Jiji direction can help Palgoe direction. For example, there are In(寅) of Jiji and Li(離) of Palgoe, can be explained as these kinds of the good relations. In view of Samhap-Ohaeng, In of Jiji is regared as Saeng of fire(火). This fire- Saeng-In as Jiji can help fire- Li as Palgoe. It can be said as a good condition that Sase and Palryong be connected like this case. This is the main content of Sasepalryongbub as being treated in this study.

호순신(胡舜申)의 생애와 저술에 관한 연구 (A Textual Research on Hu ShunShen (胡舜申)'s Life and Works)

  • 오동기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4권3호
    • /
    • pp.44-61
    • /
    • 2011
  • 본 연구는 조선시대 대표적인 이기론 풍수서인 "지리신법"의 저자 호순신의 생애와 저술에 대해 고찰하였다. 호순신(胡舜申)의 자는 여가(汝嘉)이다. 1091년 6월 6일에 적계(績溪)에서 호함(胡咸)의 아들로 태어났다. 전란을 피해 가족과 함께 고향 적계를 떠나 호주 귀안현(湖州 歸安縣)에 정착했다. 40세를 넘겨 형의 음보로 관직에 올라 엄주부 녹사참군(嚴州府 錄事參軍), 지소산현사(知蕭山縣事)를 지냈으며 조의대부 통판서주(朝議大夫 通判舒州)에 이르러 태주 숭도관(台州 崇道觀)을 맡아보다가 치사했다. 부친상을 지낸 후 풍수지리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를 시작하였으며, 세상에 전하는 "강서지리신법(江西地理新法)"이 그에게 나온 것이라고 한다. 74세에 "오문충고(吳門忠告)"를 지어 소주성(蘇州城)의 서문(胥門)과 사문(蛇門)을 열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였으나 이루어지지 않았다. 1177년 3월 9일 향년 87세로 죽어 호주 귀안현에 묻혔다. 가족으로 형 호순척(胡舜陟)과 조카 호자(胡仔)가 알려져 있다. 자식으로 아들 호위(胡偉) 1명이 있으며 광록대부 강서선무사(光祿大夫 江西宣撫使)를 지냈다. 저술로는 일기류인 "을사사주록(乙巳泗州錄)", "기유피난록(己酉避亂錄)"과 풍수지리 관계저술인 "음양비용(陰陽備用)", "지리신법(地理新法)", "오문충고"가 전해진다.

곡성 함허정(涵虛亭)의 경관짜임과 의미경관 (The Landscape Configuration and Semantic Landscape of Hamheo-pavilion in Gokseong)

  • 이현우;심우경;노재현;신상섭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52-64
    • /
    • 2015
  • 본 연구는 곡성 함허정(전남유형문화재 제160호)을 중심으로 '현장조사 문헌조사 인터뷰' 등의 연구방법을 토대로 연구대상 일원의 풍수형국과 경관짜임 및 조영의도 그리고 의미경관의 특성을 추적한 것이다. 함허정 일원의 입지 및 조망적 조영특성의 분석과 해석의 일환으로, 함허정 일원의 경관상에 드러난 호혜적 자연관과 경관짜임이 어떠한 형태 및 방식으로 표출되었는가를 구체적으로 밝힌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축약된다. 첫째, 함허정은 심광형(沈光亨, 1510~1550)이 중종30년(1535)에 군촌(현(現). 전남 곡성군 입면 제월리)에 처소 및 강학을 위한 군지촌정사를 창건한 이후, 지근거리에 1543년 학문연구와 유식(遊息)을 위해 지은 누정이다. 함허정과 군지촌정사가 자리한 군촌마을은 순자강(섬진강)을 마주한 전형적인 배산임수 국면인데, 진산인 동악산은 소가 강가에 누워 한가로이 되새김질 하는 와우형(臥牛形)으로 해석되며, 함허정 일원은 목동(牧童)이 강가에서 피리를 부는 형국으로 와우(臥牛)가 적초(積草案, 풀더미)를 구비하여 평안과 풍요를 누릴 수 있는 길처로 회자된다. 특히, 함허정 뒷동산은 거북이 용궁으로 입수하는 혈맥으로 거북(또는 자라)의 등 위에 앉은 건물[구형(龜形)]이 함허정이며, 절벽 아래 남측의 하중암도(河中巖島)인 구암조대(龜巖釣臺)와 용암(龍巖)은 거북이 지향한 해중 신선경(海中 神仙景)으로 해석된다. 둘째, 함허정은 곡성8경의 제3경 순강청풍과 제9경 설산낙조(雪山落照)의 풍광시점장이면서, 곡성 입면8경의 제2경 함허순자와 제3경 천마귀암(天馬歸岩)의 풍광시점이기도 하다. 한편 음양접합과 같은 '산태극(山太極) 수태극(水太極)'으로 배열된 순자강5곡의 제4곡 경물로서 도학 및 성리학적 토포스로 본 초월적 풍경이자 감각적 투시를 통한 굽음의 미학으로 재생산되고 있다. 특히 비변사인방안지도(18C 중엽)와 옥과현지(1788년) 등에 순자강5곡 중 제2곡 합강정과 제4곡 호연정(함허정), 그리고 제3곡 무진정이 묘사되었음을 볼 때 순자강5곡 경물은 피안(彼岸)과 차안(此岸)의 세계를 넘나들며 선경세계로 귀의하는 장소정체성은 물론 조선후기 명소적 연계경관으로서의 지명도를 엿볼 수 있다. 셋째, 비워둠의 미학이 절묘하게 드러난 함허정은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소나무 등 노거수 수림경관, 구암조대와 용암, 첩석(疊石) 등 바위경관, 군촌마을 문화경관 등이 지근경(至近景)으로 펼쳐지고, 중경요소로 순자강 평호(平湖)와 마산봉, 고리봉 등이 산악경관으로 조망되며, 동쪽에서 서쪽으로 고리봉 마산봉 무등산 설산 등이 개방성 강한 $180^{\circ}$ 조망범위로 펼쳐진다. 특히 군지촌정사의 사랑채인 망서재(望瑞齋)의 당호는 "서석산(瑞石山)을 전망하는 집"이라는 뜻을 갖는데, 조산인 무등산과 설산을 앙경(仰景)하는 등 다채로운 차경(읍경(揖景), 환경(環景), 원근(遠近), 앙부경관(仰俯景觀))에 대한 조망지향적 의도가 중층적(中層的) 경관짜임을 통해 구현되고 있다. 넷째, 실존[주거(住居) 강학처(講學處)]과 이상향[누정(樓亭) 재실(齋室)]이 접합된 군지촌 정주환경의 살림집[제월당], 강학처[군지촌정사], 누정[함허정], 재실[구암사, 청송심씨 4현 배향] 및 묘역 등은 '생성-풍요-초월-회귀'로 이어지는 사대부들의 생애주기와 관련한 의미론적 연계경관으로 인식된다. 특히 함허정 관련 시문은 순자강 일대의 가경 예찬과 유유자적한 삶에 대한 호혜적 자연관 묘사가 주를 이루고 있음을 주지할 때, 함허정은 자연귀의와 안분지족의 요체이자 거점처이며, 수심양성(修心養性)하는 은일지소로서의 현학성이 형이상학적 의미경관으로 표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