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표현 방식

Search Result 2,492,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Trend and Implications of the Academic Research on the Digital Comics (디지털만화에 대한 학술연구의 동향과 함의)

  • Jeon, Gyongran;Park, Sung Dae
    •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
    • s.32
    • /
    • pp.159-187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status of current digital comics research trends and the characteristics in Korea. For this purpose, 87 articles and dissertations published between 19900 to 2012 were analysed by a meta-analysis methods. Digital comics platforms, topics, methods were examined to understand the landscape of the digital comics in Korean contex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of all, the number of researches on the digital comics has been in the rise, and the various academic journals have published articles to understand the digital comics on the basis of their own academic background. Despite of the short history of digital comics researches, the range of research subjects has been broaden, and more integrated approaches have been taken from the various research fields. The content of articles, however, was skewed to a certain platform, topic and the method such as the website based comics, the text analysis, and the qualitative methodology. Thus, the more systematic and integrated approaches are needed to understand the digital comics issues and to build up the digital comics studies.

A study on direction expression of time and space in film and - Focusing on Gilles Deleuze theory and intermediality theory-

  • Lim, Yong-Seob
    •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
    • s.48
    • /
    • pp.141-172
    • /
    • 2017
  • The film (2000) and (2016) are based on different time slips from each other. However, these two films have many common elements that make one illusion-based illusion. In the common elements, the main characters (being and thing) are traversed at different times and directed as a cyclical one. Also, among these, the movement link of the time and space has a commonality that it becomes possible through a medium ( - radio, you, there - pill). As a result, a series of scenes expressed in showed that the scene of produced in 2000 was greatly circulated. The reason why two movies have similar structure is that the basic framework of video media based on time slip is similar.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not to analyze the problem of quoting and borrowing of two films as mentioned in the paper. To add up, the material of video media is manifold which is a dynamic object of potential which is unlimited and opened, and by rearranging one media it can be created by escaping from one territory. Also, it is a study of analysis to contribute to producer or researcher as a time slip video creation reference connecting times based on the manifold arrangement from two films.

Study on the Representation Modes and Reality of Web Documentaries (웹다큐멘터리의 재현양식과 리얼리티에 관한 연구)

  • Jeon, Gyongran
    •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
    • s.45
    • /
    • pp.259-282
    • /
    • 2016
  • Documentaries are being recreated into a new genre and the Web Documentary is the typical case. Web Documentaries are the documentaries those comprise creators and users and they are the novel type of text that the interaction with users is absolute. In this research, two Web Documentaries and are analyzed for examining how Web utilizes its features as expressive media inducing users to experience reality. Web Documentaries have dual and spatial structure that allows user interaction and make users to face with various information and knowledge about reality by its encyclopedic characteristics. Also, Web Documentaries give the role of progressing documentary and expanding text to users and that is, they stimulate users' consciousness reminding that they are the ones who explore through reality. In this process, users of Web Documentaries get potentiality of critically examining the reality suggested by documentaries and grasping the meanings beneath it. These features make Web Documentaries special contrast to traditional documentaries not only with their way of pursuing the reality but also with their meanings. This makes the innovative position of Web Documentaries phenomenon clear, issuing the necessity of the discussion about Web Documentaries more strongly. Web Documentaries are not just new media technological phenomenon, and they have their significance as a fundamental challenge toward traditional documentaries.

Film Acting Studies of S. Eisenstein (에이젠슈테인의 영화연기론)

  • Chough, Song-Duk;Kim, Jong-Guk
    •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
    • s.45
    • /
    • pp.177-195
    • /
    • 2016
  • This article analyzes Sergei Eisenstein's acting theory, which is famous for his Russian montage. According to the existing discussions, he avoids the psychological realism through the concept of cut acting. It is a method like montage from the viewpoint that the practice of the cut action is segmented into shots. While Vsevolod Pudovkin, who asserts a connection montage, is looking for performance to portray a gradual change of emotion adopted by Konstantin Stanislavsky's psychological realism, Eisenstein prefers the acting of Vsevolod Meyerhold's masks in the same manner as the collision montage. This article traces the viewpoints on acting and actor that Eisenstein posed throughout his montage theory. It focuses on Film Sense(1942) and Film Form(1949), which are a collection of articles written by Eisenstei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s centering on Korean and English, it is hard to find the discussions on the analysis of Eisenstein's acting theory. Almost all of them are concentrated in his montage, among which the mention of acting is extremely limited. The cut acting, the typage, the inner techniques and processes of actor that express and induce the living emotions, and the acting of the integrating into diversity as one of the inner language are useful concepts in the creation and case analysis of contemporary films. Especially, his acting theory can be applied in the creation process of cartoons, webtoons, and animations which can meet the most decisive and impressive montage technique of Eisenstein. It is also possible to find many related cases for the analysis. This is why I look back on Eisenstein's film acting theory, and the results of the discussion will be a sufficient foundation for the derivation of related research.

품질경쟁력 평가모형에서 제품 디자인의 인과관계와 디자인 경영에 관한 실증적 분석 : 한국 제조업 부문을 중심으로

  • 임채숙;임양택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2004.06a
    • /
    • pp.170-213
    • /
    • 2004
  • 생산자 중심에서 소비자 중심으로의 경영 패러다임이 변화함에 따라, 이제 디자인 경영(design management)의 시대가 도래하였다 즉, 제반 기능의 활동이 독립적이고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기존 경영방식(즉, 제품 개발 $\rightarrow$ 제품 디자인 $\rightarrow$ 제조 $\rightarrow$ 마케팅 $\rightarrow$ 판매)과는 달리, 디자인 경영은 디자인을 중심으로 제반 기능간의 통합과 조정을 이룬다. 이 결과, 디자인 경영은 조직간의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시키며 소비자의 추상적인 욕구가 구체적으로 상품에 표현되도록 노력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디자인 경영은 기업 이미지 창조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소비자 중심의 경영은 과거 제품의 판매(sales)지향적이던 기업 활동을 소비자와의 관계(relationship)지향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본 연구의 분석 목적은 제품 디자인을 품질경쟁력의 결정요인으로서 포함시켜 품질경쟁력의 평가모형을 개발하고 품질경쟁력의 결정요인 및 상관관계와 품질함수를 추정함으로써 제품 디자인 및 디자인 경영의 기능적 역할을 규명하고 디자인 경쟁력 수준을 평가 및 측정할 수 있는 모형을 정립함과 동시에 이를 제고할 수 있는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로써, 본 연구는 신상품의 개발과정에서 어떻게 제품 디자인이 연구개발, 제조, 마아케팅, 판매 등의 제반 기능들과 상호 작용하며 이들 기능들의 통합과 조정을 추구할 수 있는가를 보여주는 디자인 경영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와 같은 연구목적과 분석목표를 위하여, 한국 제조업 부문의 400개 표본기업에 대하여 소정의 설문조사를 통하여 추출된 측정변수들을 기초로 품질경쟁력의 결정요인을 분석하고 품질경쟁력 지수를 도출하여 산업부문별 및 제품유형별로 비교하였으며, 품질함수를 추정하였다. 전술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디자인 경영이론의 기초를 제공하기 위한 시도로서 제품 디자인의 파급효과와 인과관계에 대한 가설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1) 품질경쟁력의 결정요인으로서 주요 제품들의 기능성, 기본 성능, 제품성과의 기술적 성취도, 제품 수명(내구성), 신뢰성, 핵심 기술력, 사용 편의성, 서비스 편의성, 생산 용이성, 제품 디자인의 우수한 정도가 a=0.01 수준 하에서 유의적으로 추정되었다. 이들 변수들 중에서 품질경쟁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측정변수는 제품의 기본 성능, 수명(내구성), 신뢰성, 제품 디자인의 순서로 추정되었다. 이것은 한국 제조업이 아직 산업 디자인이 품질경쟁력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성숙단계에 이르지 못하였음을 의미한다. (2) 제품 디자인에게 영향을 끼치는 유의적인 변수는 연구개발력, 연구개발투자 수준, 혁신활동 수준(5S, TPM, 6Sigma 운동, QC 등)이며, 제품 디자인은 우선 품질경쟁력을 높여 간접적으로 고객만족과 고객 충성을 유발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상기의 분석결과로부터,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첫째, 신상품 개발과 혁신을 위한 포괄적인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품질 경쟁력의 주요 결정요인(제품의 기본성능, 신뢰성, 수명(내구성) 및 제품 디자인)과 연계하여 추진해야 할 것이다. 둘째, 기업은 디자인 경영 마인드 제고와 디자인 전문인력 양성을, 대학은 디자인 현장 업무를 통하여 창의력 증진과 기획 및 마케팅 능력 교육을, 정부는 디자인 기술개발 및 디자인 교육지원의 강화를 통하여 각각 디자인 경쟁력$\rightarrow$품질경쟁력을 제고시켜야 할 것이다.

  • PDF

Standards for Promoting Mathematical Communication in Elementary Classrooms (초등학교에서의 수학적 의사소통 목표와 성취요소 설정 - D.R.O.C 유형을 중심으로 -)

  • Kim, Sang-Hwa;Bang, Jeong-Su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24 no.2
    • /
    • pp.385-413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t appropriate targets for school-year levels and types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First, I classify mathematical communication into four types as Discourse, Representation, Operation and Complex and refer to them collectively as the 'D.R.O.C pattern'. I have listed achievement factors based on the D.R.O.C pattern hearing opinions from specialists to set a target, then set a final target after a 2nd survey with specialists and teachers. I have set targets for mathematical communication in elementary schools suitable to its status and students' levels in our country. In NCTM(2000), standards of communication were presented only from kindergarten to 12th grade students, and, for four separate grade bands(prekindergarten through grade 2, grades 3-5, grades 6-8, grades 9-12), they presented characteristics of the same age group through analysis of classes where communication was active and the stated roles of teachers were suitable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chool year. In this study, in order to make the findings accessible to teachers in the field, I have classified types into Discourse, Representation, Operation and Complex (D.R.O.C Pattern) according to method of delivery, and presented achievement factors in detail for low, middle and high grades within each type. Though it may be premature to set firm targets and achievement factors for each school year group, we hope to raise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m in the field by presenting targets and achievement factors in detail for mathematical communication.

Effect of uncertain information on drivers' decision making (Application of Prospect Theory) (불확실한 정보에 대한 운전자의 의사결정행태 연구)

  • CHO, Hye-Jin;KIM, Kang-S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1 no.1
    • /
    • pp.77-90
    • /
    • 2003
  • This paper explores the way and the extent to which drivers' route choice was influenced by uncertain information. In particular,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 of qualitative information on route choice when drivers face a choice with different degrees of uncertain information. The SP survey was conducted and route choice legit models were estimated. We also applied Prospect Theory to the analysis of drivers' decision making under uncertain information. The main findings are firstly, drivers tend to prefer a route with information than(to) one without information. This indicated that providing charge information encouraged drivers to choose the routes for which information is provided in preference to those for which it is not provided. Secondly, drivers also prefer a route with a certain and precise information over one with uncertain and imprecise information. Thirdly, when the information is given as a range, the size of the range of the information influenced route choice slightly and as the range of the charge increases, the route becomes slightly less unattractive. Fourthly, when the information is given as a range, drivers' route choices are influenced more by the median value of the ranges than by the size of the overall ranges of the information. Application of Prospect Theory to the results explains the way drivers may be interpreting the choice situation and how they make a route choice in response to uncertain information. The results of this paper implicate that drivers' decision making under uncertainty seem to be very complicated and flexible, depending on the way drivers interpret the choice situation.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apply wider related theories to the analysis of the drivers' behaviour.

Location Benefit Analysis According to Flood Safety Increase (치수안전도 향상에 따른 자산이용고도화 효과 분석)

  • Lee, Jin Ouk;Choi, Seung An;Kim, Hung Soo;Shim, Myung Ph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777-783
    • /
    • 2004
  • 하천 세내지 주변은 급속한 시가지 조성과 인구밀집으로 유역의 불투수층이 증가하여 홍수도달시간이 짧아지고 홍수유출량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엘리뇨${\cdot}$라니냐 등의 이상기후로 홍수사상의 발생 빈도와 규모가 증가하면서 홍수피해도 대형화되어 가고 있다. 그러나 치수사업은 다른 공공사업에 비해 경제성이 저평가 되어 투자우선순위가 밀려 사업시행이 지연되고 예방적 차원의 대책도 미흡하여 피해가 증가하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 따라서 본 인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치수경제성 분석에 있어 계량화하지 못하고 있는 자산이용고도화 효과를 치수안전도와 더불어 분석하고자 한다. 자산이용고도화는 치수사업 시행으로 해당지역의 치수안전도 향상에 따른 자산가치의 상승을 말하는데, 특정지역의 자산가치를 가장 객관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공시지가를 근거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치수사업 시행으로 인한 편익과 하천 특성에 따른 지가변동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는지를 분산분석을 통해 검증하였으면, 자산가치의 상승을 순수 연평균지가변동률로 나타내었다. 치수안전도는 홍수피해 잠재성과 홍수방어능력으로 구분하였는데 홍수피해 잠재성은 도시화율에 따라 구분하였고, 홍수방어능력은 홍수량의 빈도해석과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조건부 비초과확률로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소도시 지역(경안천, 복하천, 청미천)을 대상으로 200년 빈도의 홍수사상에 내해 10년, 50년 설계빈도로 건설된 제방의 조건부 비초과확률을 산정하여 지가변동률의 추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소도시 지역에서는 조건부 비초과확률이 $10\%$ 상승했을 때 순수 연평균지가변동률이 5배정도 상승함을 알 수 있었다.다시 입력자료로 사용하는 업데이트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예측결과의 오차가 완전하게 보정되지 않으면 다음 결과에 역시 오차를 주게 되어 오차보정이 상당히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오차를 보다 효과적으로 보정하기 위해서는 퍼지제어에 사용되는 퍼지규칙의 수를 늘리고, 유입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강우량과 연계한 2변수의 Fuzzy-Grey 모형을 이용한다면 보다 정확한 유입량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이 작은 오차를 발생하였으며, 전체적으로 퍼프 모형이 입자모형보다는 훨씬 적은 수의 계산을 통해서도 작은 오차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Gaussian 분포를 갖는 퍼프모형은 전단흐름에서의 긴 유선형 농도분포를 모의할 수 없었고, 이에 관한 오차는 전단계수가 증가함에 따라 비선형적으로 증가하였다. 향후, 보다 다양한 흐름영역에서 장${\cdot}$단점 분석 및 오차해석을 수행한 후에 각각의 Lagrangian 모형의 장점만을 갖는 모형결합 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mm/$m^{2}$로 감소한 소견을 보였다. 승모판 성형술은 전 승모판엽 탈출증이 있는 두 환아에서 동시에 시행하였다. 수술 후 1년 내 시행한 심초음파에서 모든 환아에서 단지 경등도 이하의 승모판 폐쇄 부전 소견을 보였다. 수술 후 조기 사망은 없었으며, 합병증으로는 유미흉이 한 명에서 있었다. 술 후 10개월째 허혈성 확장성 심근증이 호전되지 않아 Dor 술식을 시행한 후 사망한 예를 제외한 나머지 6명은 특이 증상 없이 정상 생활 중이다 결론: 좌관상동맥 페동맥이상 기시증은 드물기는 하나, 영유아기에 심근경색 및 허혈성 심근증 또는 선천성 승모

  • PDF

Estimation of Groundwater Recharge Considering Water Balance and Groundwater Head Variation in Watershed (유역물수지와 지하수위변동을 고려한 지하수 함양량의 추정)

  • Chung, Il-Moon;Kim, Nam-Won;Lee, Jeong-Woo;Won, Yoo-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693-697
    • /
    • 2007
  • 지하수 함양량을 산정하기 위해서 유역물수지 모형 또는 지하수위 변동곡선법등이 활용되어 왔으며, 각각의 장단점에 대한 많은 논의가 있었다. 지역내의 지하수 관리계획을 위해서는 유역물수지 모형이 적합한 반면, 실제(actual) 함양량의 정확성 문제가 있으며, 지하수위 변동곡선법은 실제 지하수의 증감을 통해 실제 함양변화를 잘 표현하는 반면, 그 영향권이 관측공에 의해 제한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두 방법의 장점을 살리고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유역유출모의와 지하수위 변동을 동시에 고려하여 지하수 함양량을 추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수문학적 과정으로 함양을 분석하기 위해 준분포형 수문모형인 SWAT과 완전분포형 지하수 유동해석 모형인 MODFLOW의 결합모형을 이용한 유역단위 유출해석을 수행한다. 실제로 하천변에 위치한 관측공에서의 지하수위는 하천유출시계열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며, 상류 경사지에 위치한 관측공의 지하수위는 토양수의 지체와 감수현상을 나타내므로 이같이 시간적으로 상이한 지체 양상을 반영하기 위해 모형내의 비포화대를 통과하는 함양의 거동을 기존의 단일 저수지 모형에서 다단 저수지 모형으로 개선하고 지체함수와 관련된 매개변수를 보정함으로써 모의 함양 시계열과 관측 지하수위 시계열간의 상관성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모의 및 관측 지하수위 분포의 비교를 통해 공간적인 지하수 분포에 대한 검증을 수행함으로써 함양량 산정 절차가 완성된다. 이같은 일련의 절차는 기존의 유역물수지 모형과 지하수위 변동법을 동시에 고려한 새로운 방식의 지하수 함양량 산정기법으로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성빈맥(1예), 저심박출증(3예), 재수술이 필요했던 출혈(2예), 흉골 지연봉합(2예), 급성 신부전(2예), 폐렴(1예), 대동맥내 풍선펌프로 인한 혈전색전증(1예),수술 후 섬망(2예) 등이 있었다. 생존한 10명의 환자들 중 1명을 제외한 나머지 9명의 환자에서 $38{\pm}40$개월간의 추적관찰이 되었는데, 추적 관찰 기간 중에 3명이 사망하였고 생존한 6명의 환자는 모두 양호한 상태(NYHA 기능등급, $I{\sim}II$)를 보였으며, 그 중 3명에서는 혈역학적으로 큰 의미가 없는 잔여단락이 있었다. 결론: 급성 심근경색증 후 심실중격 결손은 수술위험도가 높은 질환이지만, 수술 전 대동맥내 풍선펌프를 삽입하고 조기에 심실중격 결손부의 infarct exclusion 술식과 함께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함으로써 만족할 만한 수술 및 중기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출물 투여로 저하되었으나 NC군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간 중 중성지질 함량은 참나물 에탄올 추출물 투여 용량에 따른 유의차가 없었으나,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용량 병합투여한 HC-PBH군만 유의하게 저하되었다. 혈청 및 간 중의 지질 함량 변화는 정상식이를 급여한 NC군과 NC-PB군 간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따라서 고콜레스테롤식이를 급여하면서 참나물 에탄올 추출물을 병합투여 시에만 지질대사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 고용량 병합투여 시 효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고콜레스테롤식이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가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유발하였으며, 이는 참나물 에탄올 추출물에 함유된 항산화물질을 포함한 여러 생리활성물질

  • PDF

A Study on Improving Availability of Open Data by Location Intelligence (위치지능화를 통한 공공데이터의 활용성 향상에 관한 연구)

  • Yang, Sungchul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
    • v.49 no.2
    • /
    • pp.93-107
    • /
    • 2019
  • The open data portal collects data created by public institutions and opens and shares them according to related laws. With the activation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ll sectors of our society are demanding high quality data, but the data required by the industry has not been greatly utilized due to the lack of quantity and quality. Numerous data collected in the real world can be implemented in cyber physical systems to simulate real-world problems, and alternatives to various social issues can be found. There is a limit to being provided. Location intelligence is a technology that enables existing data to be represented in space, enabling new value creation through convergence. In this study, to present location intelligence of open data, we surveyed the status of location information by data in open data portal. As a result, about 60% of the surveyed data had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representative type was address. Appeared. Therefore, by suggesting location intelligence of open data based on address and how to use it, this study aimed to suggest a way that open data can play a role in creating future social data-based industry and policy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