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표현능력

Search Result 1,000,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Correlation between Calving Interval and Lactation Curve Parameters in Korean Holstein Cows (우리나라 Holstein 경산우의 분만간격과 비유곡선모수와의 상관관계)

  • Won, Jeong Il;Dang, Chang Gwon;Im, Seok Ki;Lim, Hyun Joo;Yoon, Ho Baek
    •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 /
    • v.50 no.5
    • /
    • pp.173-182
    • /
    • 2016
  • This study was aimed to identify the phenotypic relationships between calving interval and lactation curve parameters in Korean Holstein cow. The data of 36,505 lactation records was obtained from the Dairy Herd Improvement program run by Dairy Cattle Improvemnet Center of National Agricultural Federation of Korea. All lactation records were collectied from the multiparous cows calving between 2011 to 2013. The estimated lactation curves were drawn using Wood model based on actual milk yield records, and NLIN Procedure of SAS program (ver. 9.2). General linear multivariate models for calving interval, 305-d milk yield, lactation parameters(A, b, c), persistency, peak day, and peak yield included fixed effects of calving year-season (spring, summer, fall and winter) and parity(2, 3 and 4). For calving interval, 305-d milk yield, lactation parameters(A, b, c), persistency, peak day and peak yield, all two fixed effect(calving year-season, parity) were significant(p<0.05). The estimated lactation functions using Wood model for 2, 3, and 4 parity were yt=24.66t0.175e-0.00302t, yt=24.69t0.192e-0.00334t, and yt=24.22t0.200e-0.00341t, respectively. Phenotypic correlation (partial residual correlation) between calving interval and 305-d milk yield, A, b, c, persistency, peak day, and peak yield were 0.093, -0.014, 0.028, -0.046, 0.099, 0.085, and 0.052, respectively. To conclude, if calving interval increase then ascent to peak, persistency, peak day and peak yield are increase, and descent after peak is decrease. So, total 305-d milk yield is increase.

An Unthinking Sage? Plotinus' Model of Non-Deliberative Action (생각하지 않는 현자(賢者)? 플로티누스의 비-숙고적 행동 모델)

  • Song, Euree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 /
    • no.125
    • /
    • pp.63-89
    • /
    • 2019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o-called theory of automatic action attributed to Plotinus, according to which the sage can act automatically without deliberation or reasoning. Concerns were raised that such a theory runs the risk of turning the agent into an automaton by reducing action to mechanical reflexes to external stimuli. I attempt to show that Plotinus does not hold a theory of automatic action by arguing that the Plotinian sage's non-deliberative action is not automatic at all. For this purpose, I first draw attention to the non-deliberative action of the World-Reason (i.e. the reason of the World-Soul), which is supposed to present an ideal model of action. Indeed, Plotinus mentions that the World-Reason rules the world "as if automatically". This is, however, meant to indicate the spontaneous and natural manner in which the World-Reason rules. In this respect, the way the World-Reason works is compared to the way nature (i.e. the productive power of the World-Soul) works. But Plotinus points out that the World-Reason knows what to do, whereas nature works without knowing. In this connection, Plotinus makes it clear that the World-Reason does not calculate or deliberate about what to do because it already knows it. To clarify this point, I turn to Plotinus' analogy of practical wisdom (phronêsis) and skill, according to which the World-Reason is compared to an accomplished craftsman or artist, who confidently works without any doubt, hesitation or difficulty, thereby expressing her intelligence, unmediated by deliberation. From this perspective, non-deliberative action according to practical wisdom turns out to be superior to deliberative action. Plotinus admits that there are difficult circumstances in which even the skilled craftsman, unlike the World-Reason who always controls the whole situation, needs to deliberate or calculate, but he is nevertheless confident that the craftsman easily finds the solution. This suggests that the sage, who possesses practical wisdom, can act normally like a great master or virtuoso without deliberation, but in an emergency situation he also employs deliberation, but resourcefully and creatively responds to challenge. The attempt is made to elucidate the Plotinian model of sage's action with the help of Csikzentmihalyi's concept of 'flow' and Annas' application of it to the analogy of virtue and skill. Finally, it is shown that the sage's virtuous action, in spite of being a habituated action, is not a passive, routinized, automatic action, but an active, flexible, intelligent action.

대순사상의 인문정신과 인류평안의 이념

  • 잔스촹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21
    • /
    • pp.199-254
    • /
    • 2013
  • 대순사상은 인간의 행위와 정신적 틀, 즉 몸과 마음을 닦고 세상을 다스리며 백성을 평안하게 하는 도리를 설파하고 있다. 우주 공간의 질서와 깊은 연관을 맺는 이러한 도리는 인간 자신의 인지(認知)와 심신 수양의 내용을 포함하며, 사람이 사회와 우주자연과의 관계를 어떻게 처리해 나갈 것인지에 관한 문제도 다루고 있다. 따라서 대순사상을 인문이라는 관점에 입각하여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이탈리아에서 시작된 서양의 인문주의와 비교해 볼 때, 중국 전통의 인문정신은 인류 개체의 창조력과 그 성과를 인정하고, 인격적 수양과 개선을 주장하며, 사회의 조화를 강조하는 한편, 인류가 반드시 천지인의 조화로운 관계 속에서 개체와 전체의 생존을 파악해야 함을 강조한다. 이러한 인문정신은 『전경』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그 하나가 모악산과 단주(丹朱)에 대한 서술인데, 모악산은 산 즉 '간'(艮)괘이며 단주는 적색에 상응하니 곧 '리'(離)괘가 된다. 이 두 괘가 서로 조합하면 '비(比)'괘가 되며, 『주역』의 비괘와 연관하여 서로 간의 모순을 없애고, '바둑'을 두는 기법을 거울삼아 심성을 다스리며, 인격을 완성하고, 인신이 조화를 이루도록 하며, 사회를 안정시킬 것을 말한다. 대순 신앙의 최종 목표는 지상천국을 건설하는 것인데, 이런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인격수양을 그 출발점으로 삼아야 한다. 인격수양의 목표는 바른 도인이 되기 위한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수도 공부를 해야만 한다. 수도는 춘추시기 노자 이래로 유구한 문화적 전통을 지닌 것이지만, 대순진리회는 한국사회 역사의 경향과 현실의 필요에 부응하여 수도 이론을 새롭게 수립하였다. 이를 살펴보면, 대순진리회는 수도자가 '성(誠), 경(敬), 신(信)'에 힘쓰는 품격 함양을 매우 중시한다. 또 도인들이 가정의 화목에 힘써야 하며, 솔선수범하는 도인으로서 사회의 모범이 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이렇게 볼 때, 대순진리회는 '인도'(人道)를 함양함을 강조하고 있으며, 이것은 전통적인 유가에서 말하는 '수신, 제가' (修身, 齊家)의 정신과 그 의미가 맞닿아 있다. 또한 중국 도교의 '선도(仙道)를 이루고자 하면 먼저 인도(人道)를 행하라'는 사상적 취지와도 일치한다. 대순진리회에서 수도의 최종 목표는 도통이다. 도통은 수도자가 매우 높은 경지에 이르게 되었을 때 가지는 특수한 능력과 정신의 경지이다. '도통'에 대한 기록은 『장자·제물론』, 『문자』의 「부언편>(符言篇) 등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대순진리회가 말하는 도통은 중국의 도가 전통에 보이는 도통과도 연관되지만 강한 인륜수양(人倫修養)적 특색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것은 대순진리회가 가지는 중요한 인문적 함의라 하겠다. 대순진리회는 수도 공부로써 광제창생·보국안민·지상천국건설의 사회적 이상을 실현하고자 한다. 조화로운 사회적 관계를 수립하기 위한 토대는 대순진리회의 종지 첫 번째인 음양합덕이다. 음양합덕은 대순진리의 인문 취지의 이론적 기초를 형성하는 사상이다. 음양합덕의 철학적 사고는 종지 두 번째인 신인조화(神人調化)의 이상으로 이어진다. 신인조화는 『상서·순전』(尙書·舜典)의 신인이화(神人以和)에서 그 사상적 연원을 찾아 볼 수 있다. 다만 신인이화가 율려 조화의 '결과'를 표현한 것이라면, 신인조화에서 중시하는 것은 '과정'이며 인간과 신의 상호작용이라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신인조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공부를 해야 하며, 그 배후에는 인본(人本)의 사상이 깃들어 있다. 그것은 종지 세 번째인 '해원상생'의 내용에서 더욱 명확하게 드러난다. 신인조화가 인간과 신의 관계를 조화롭게 하는 것을 말한다면, 해원상생은 인간과 인간의 관계를 조화롭게 하는 것을 말한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긴 역사의 과정 속에서 맺힌 원을 풀어 우주의 기운을 잘 통할 수 있게 하고 인간 사회의 정상적인 교류를 이루도록 한다. 이러한 내용은 사회적인 인문적 관심과 배려를 다분히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대순진리회의 종지 네 번째인 도통진경은 수도의 가장 높은 경지를 말하는데, 이러한 이념은 노장 일파의 도가 학자들이 말한 순박한 본성으로 회귀하자는 정신에서 그 원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는 한진(漢晉)시대 이래 중국 도교가 추구했던 '진경' 의 의미와도 합치된다. 그러나 시대와 환경이 다름으로 인해, 대순진리회의 '진경'은 사회생활의 의미까지 내포한다. 비록 대순진리회의 경전이 인본(人本)을 명확히 밝히고 있지는 않으나, 대순진리회의 요의(要義) 중 하나인 인존사상은 대순진리회의 인문정신을 말해주는 것이다. 인존사상의 직접적인 기능은 평안(平安)으로서 삶을 이롭게 하는 것이다. 대순진리회는 우주대원의 진리를 '도'라 하였는데 이러한 '도'는 중국의 도가에서 말하는 '도'와 동일하며, 여기에는 '안(安)'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 대순진리회의 신조 중 '안심', '안신'은 마음을 정(靜)하게 하고, 몸을 편하게 하는 것으로 볼 수 있지만, 심신의 공포와 두려움을 떨쳐내어 안전과 보호를 얻는다는 의미도 있으므로 결국 평안이 전제가 된다. 이렇듯 대순진리회에서는 '평안에 대한 희구'를 근본으로 하여 신앙인들이 열심히 수도에 정진하고 있다. 대순진리회가 인류 평안을 기본으로 하는 종교라는 점에서, 반드시 세인들의 환영을 받을 것임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reative Problem Solving Classes for University Students (창의적 문제해결형 대학 수업 개발 연구)

  • Hyun-Ju Kim;Jinyoung Lee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9 no.6
    • /
    • pp.531-538
    • /
    • 2023
  • Recently, many university classes have been changing from instructor-centered classes to learner-centered classes, and universities are trying to establish a new direction for university education, especially to foster talented people suitable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o this end, universities are presenting various competencies necessary for students and focusing on research on efficient education plans for each competency. Among them, creativity i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competency that students should obtain in universities. Developing a creative problem-solving-based subject where various majors gather to produce results while conducting creative team activities away from desk classes is considered a meaningful subject to cultivate capacities suitable for the requirements of the times. Therefore, this study purpose to develop creative problem-solving-based subjects and analyze the results of class progress. This creative problem-solving-based class is an Action Learning class for step-by-step idea development, which starts with a theoretical lecture for creative idea development and then consists of five stages of Action Learning. The tasks of action learning used in this class consisted of ceramic expression to increase the intimacy of the formed group and the group's collective expression, ideas in life to combine and compress individual ideas into one,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grams around schools, and finally UCC on various topics. In the theoretical lecture conducted throughout the class, a class was conducted on Scientific Thinking for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then a group-type action learning class was conducted sequentially. This Action Learnin process gradually increased the difficulty level and led to in-depth learning by increasing the level of difficulty step by step.

The Garden Archaeological Value of Okhojeong through Kim Jo-sun's Punggojip (김조순의 풍고집(楓皐集)을 통해서 본 옥호정의 정원고고학적 가치)

  • Shin, Hyun-Si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41 no.4
    • /
    • pp.49-56
    • /
    • 2023
  • This study analyzes the entirety of Okhojeongdo's content found in the Punggojip, written by Kim Jo-Sun, who created Okhojeong. Through an examination of the literature confirming Okhojeong within the Punggojip, the study compares the existing research with the Okhojeongdo's content. Additionally, it clarifie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disciple, the garden, and related historical fac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Kim Jo-Sun, who created Okhojeong, had a strong literary inclination, which made it relatively easy to estimate the original form of the garden, as he expressed detailed content related to the design and management of the garden. Second, the historical dating of the creation of Okhojeong was previously estimated to be around 1815 based on the inscriptions on the Eulhaebyeok. However, it is more appropriate to revise this to 1804, as revealed by Lee Sung-min, who discovered records in Dongseonggyoyeojip, indicating that Kim Jo-Sun purchased the Jang's house. Third, Kim Jo-Sun's literary hobby, as depicted in Punggojip, closely followed Chinese classics. However, the part about creating the garden is supported by factual and garden archaeological records, giving it inherent value. Regarding the expansion of the garden site, it is estimated that the southern boundary of Okhojeong was extended by about half a unit(kan; 間) through a transfer from Kim saeng Saho. Various additions, stone statues, peculiar rocks, ornamental trees, and accompanying elements are found throughout the garden. Particularly noteworthy are the techniques and aesthetics of creating a stone pagoda, and there are mentions of transplanting young pine trees with professional insights. The love for harmony and elegance in the garden is woven throughout the poetry. Additionally, the process of selecting the location for Okhojeong, the understanding of the terrain and topography, the assessment of existing vegetation, the process of cutting down trees and selecting the soil, the construction of houses with tiles and thatched roofs all contribute to demonstrating the comprehensive stages of creating Okhojeong, providing insight into the location and construction process of the Sanbanru pavilion, showcasing the archaeological value of the garden. A follow-up study is needed to excavate more information about the original form of Okhojeong garden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collections of the literary works of the influential figures introduced in Punggojip in the future.

Application of Support Vector Regression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Emotion Prediction Model (감정예측모형의 성과개선을 위한 Support Vector Regression 응용)

  • Kim, Seongjin;Ryoo, Eunchung;Jung, Min Kyu;Kim, Jae Kyeong;Ahn, Hyunchul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18 no.3
    • /
    • pp.185-202
    • /
    • 2012
  • .Since the value of information has been realized in the information society, the usage and collection of information has become important. A facial expression that contains thousands of information as an artistic painting can be described in thousands of words. Followed by the idea, there has recently been a number of attempts to provide customers and companies with an intelligent service, which enables the perception of human emotions through one's facial expressions. For example, MIT Media Lab, the leading organization in this research area, has developed the human emotion prediction model, and has applied their studies to the commercial business. In the academic area, a number of the conventional methods such a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RA) or Artificial Neural Networks (ANN) have been applied to predict human emotion in prior studies. However, MRA is generally criticized because of its low prediction accuracy. This is inevitable since MRA can only explain the 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dependent variables and the independent variable. To mitigate the limitations of MRA, some studies like Jung and Kim (2012) have used ANN as the alternative, and they reported that ANN generated more accurate prediction than the statistical methods like MRA. However, it has also been criticized due to over fitting and the difficulty of the network design (e.g. setting the number of the layers and the number of the nodes in the hidden layers). Under this background, we propose a novel model using Support Vector Regression (SVR) in order to increase the prediction accuracy. SVR is an extensive version of Support Vector Machine (SVM) designated to solve the regression problems. The model produced by SVR only depends on a subset of the training data, because the cost function for building the model ignores any training data that is close (within a threshold ${\varepsilon}$) to the model prediction. Using SVR, we tried to build a model that can measure the level of arousal and valence from the facial features. To validate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model, we collected the data of facial reactions when providing appropriate visual stimulating contents, and extracted the features from the data. Next, the steps of the preprocessing were taken to choos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In total, 297 cases were used for the experiment. As the comparative models, we also applied MRA and ANN to the same data set. For SVR, we adopted '${\varepsilon}$-insensitive loss function', and 'grid search' technique to find the optimal values of the parameters like C, d, ${\sigma}^2$, and ${\varepsilon}$. In the case of ANN, we adopted a standard three-layer backpropagation network, which has a single hidden layer. The learning rate and momentum rate of ANN were set to 10%, and we used sigmoid function as the transfer function of hidden and output nodes. We performed the experiments repeatedly by varying the number of nodes in the hidden layer to n/2, n, 3n/2, and 2n, where n is the number of the input variables. The stopping condition for ANN was set to 50,000 learning events. And, we used MAE (Mean Absolute Error) as the measure for performance comparison. From the experiment, we found that SVR achieved the highest prediction accuracy for the hold-out data set compared to MRA and ANN. Regardless of the target variables (the level of arousal, or the level of positive / negative valence), SVR showed the best performance for the hold-out data set. ANN also outperformed MRA, however, it showed the considerably lower prediction accuracy than SVR for both target variables. The findings of our research are expected to be useful to the researchers or practitioners who are willing to build the models for recognizing human emotions.

Preparation of Students for Future Challenge (미래의 요구에 부응하는 미래를 위한 간호교육)

  • Kim Euisook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50-59
    • /
    • 1981
  • 간호학생들이 당연하고 있는 문제점 미래의 간호학생들이 교육문제를 논하기 위하여는 간호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또 이해하는 것이 우선순위가 될 것이다. 간호학생들이 문제점에 대한 연구는 한국에서 뿐아니라 미국에서도 꽤 많이 시행되어져 왔으며 특히 간호학과정에서 중간 탈락되는 중퇴자들에 대한 연구들 중에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서 언급한 것이 많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곧 대학과정에 진학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 보고될 Munro의 자료에 의하면 전문대학과정에서 27$\%$, 대학과정에서는 41$\%$의 간호학생들이 간호학과정에서 중간 탈락하고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이들이 중간탈락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으나 그 중 ''간호학에 흥미를 잃어서''가 가장 큰 이유로 보고되고 있다. 이곳 한국사회에서도 역시 비슷한 현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대학입시경쟁과 대학내에서의 전과가 거의 허용되지 않는 특수여건이기 때문에 학교를 중간 탈락하는 율은 미국이 보고만큼 높지는 않으나 역시 ''간호학에 흥미를 잃는다''는 것이 간호학생들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 한국에서 시행된 간호학생들에 관한 연구(표 1 참조)에 의하면 간호학생들의 학문에 대한 만족도는 조사자의 35$\~$50$\%$정도에 불과하였고 더우기 이 비율은 고학년에 올라갈수록 더욱 감소되고 있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한국에서 시행된 어느 연구보고에 의하면 간호학에 실망했다고 생각하는 학생이 전체의 67$\%$였으며, 다른 학교로 전과를 희망한 경험이 있다는 학생이 71$\%$나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왜 흥미를 잃게 되는지 그 이유에 대하여 설명해 주는 연구는 많지 않았다. 미국의 한 저자는 간호학생들이 간호학에 흥미를 잃게 되는 원인을 간호원의 역할에 대한 이해가 정확하지 못한 것과 졸업 후 진로기회에 대한 인식부족 때문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간호학에 흥미를 잃게 되는 이유는 크게 다음의 세 가지로 분류 요약될 수 있다. 첫째, 간호학을 전공으로 택한 동기이다. 간호학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학생들이 간호학을 전공으로 택한 동기도 다른 전공분야보다는 훨씬 다른 여러 종류를 보이고 있다. 즉, 종교적 이유, 다른 사람들에게 봉사할 수 있는 직업이기 때문에, 쉽게 취업을 할 수 있어서, 결혼 후에도 직업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외국으로 쉽게 취업할 수 있어서 등이 간호학을 선택한 이유로 보고되고 있다. 흥미나 적성에 맞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간호학을 택한 학생의 수는 다른 과에 비하여 훨씬 적다. 이러한 흥미나 적성 때문이 아닌 여러 가지 다른 이유들로 인하여 간호학을 택한 경우에 특히 간호학에 쉽게 흥미를 잃어버리는 것을 볼 수 있다. 간호학에 현실적인 개념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일수록 추상적이고 현실적인 개념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보다 더 간호학에 지속적인 흥미를 가지며 중간에 탈락하는 율이 훨씬 적다는 것이 많은 연구에서 보고되었다. 또한 흥미나 적성 때문에 간호학을 택하였다는 학생들이 다른 과로 전과를 희망하는 율이 낮다는 것도 보고되었다. 둘째, 교과내용자체나 실습에 대한 불만족이다. 간호학에 대한 체계적인 교과내용의 결여, 과중한 과제물, 임상실습에서의 욕구불만, 실습으로 인한 부담, 지식과 실습의 차이점에 대한 갈등 등이 주요 이유로 보고되고 있다. 대부분의 연구들이 이 교과목이나 실습에 대한 불만족, 특히 실습경험에서의 갈등을 학생들이 흥미를 잃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어느 한 연구에서는 응답자의 90$\%$가 임상실습에 만족하지 못한다고 응답하였으며 그들 중의 88$\%$가 실습감독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보고하였다. 셋째, 교수들에 대한 불만족이다. 대부분의 연구들이 학년이 올라가면 갈수록 교수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지며 또한 그에 비례하여 간호학에 대한 만족도가 낮아진다고 보고하고 있다. 교육내용에 대한 전문지식의 결여, 학생들과의 인간적인 관계의 결여, 교수법에 대한 불만족 등이 교수에 대한 불만의 주요내용으로 보고되었다. 미래의 간호에 부응할 학생교육 계속적인 사회적 변동과 더불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일반인들의 건강에 대한 요구도와 앞에서 기술한 문제점 등을 감안할 때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간호학에 확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준비시키므로써 간호환경에서 실망하기보다는 오히려 그것을 받아들여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책임감을 느낄 수 있도록 교육시키는 것이 미래의 간호학생을 준비시키는데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교육을 위하여 다음의 두가지 안을 제시한다. 1. 교수와 학생간의 관계-서로의 좋은 동반자 : 교수들이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특히 학생들의 성취도에 대한 영향에 대하여는 이미 많은 연구가 시행되었다. Tetreault(1976)가 간호학생들의 전문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연구한 바에 의하면 다른 어느 것보다도 교수의 전문의식여부가 학생들의 전문의식 조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교수에게 신뢰감을 가지고 있을때, 교수들이 전문가로서의 행동을 하는 것을 보았을때 비로서 배움이 증가된다고 하였다. Banduras는 엄격하고 무서운 교수보다는 따뜻하고 인간적인 교수에게 학생들이 더 Role Model로서 모방하려는 경향을 나타낸다고 보고 하였다. 그러면 어떻게 학생에게 신뢰받는 교수가 될 수 있겠는가? apos;학생들의 요구에 부응할 때apos;라고 한마디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Lussier(1972)가 언급한 것처럼 학생들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는 교육은 Piaget이 언급한 교육의 기본 목표, 즉 개인에게 선배들이 한 것을 그대로 반복하여 시행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것을 시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게 하는 목표에는 도달할 수 없으며 이러한 목표는 간호학에도 가장 기본이 되어야 할 기본목표이기 때문이다. 학생들이 현재 어떤 요구를 가지고 있으며 또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계속 파악하고 있는 것이 학생요구에 부응하는 교육을 할 수 있는 기본조건이 될 것이다. 의외로 많은 교수들이 학생들을 이해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표 2는 현 간호학생들이 생각하고 있는 가치관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또 교수가 그 가치관과 문제점을 어느 정도 파악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일개 4년제 대학 200여명의 학생과 그 대학에 근무하는 18명의 교수진을 대상으로 질문한 결과를 간략하게 보고한 것이다. 또한 여기에서 학생이 보고하는 가치관, 문제점, 교수에게 바라는 점이 교수가 이해하고 있는 것과 차이가 있다는 것도 보여주고 있다. 우리가 학생들의 요구를 파악할 수 있도록 귀를 기울이고 이해하며, 그 요구에 부응하려고 노력할때 진정한 교수와 학생간의 관계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며 이때 비로서 우리는 apos;partnershipapos;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이때 간호학에 대한 실망은 줄어들 수 있을 것이며 우리도 학생들에게 전문가적인 태도를 함양시켜줄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될때 앞으로 기다리고 있는 미지의 의무에 효과적으로 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자질을 형성한 학생들을 준비해 낼 수 있을 것이다. 2. 간호모델에 의한 교과과정의 확립과 임상실습에의 적용 : 교과과정이 학생들의 모양을 만들어주는 하나의 기본틀이라고 말할 수 있다면 미래의 요구에 부응하는 학생들을 준비시키기 위하여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방향의 교과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은 재론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이미 진취적인 간호대학에서는 guided design systems approach 또는 integrated curriculum 등의 새로운 교과과정을 시도하고 있음은 알려진 사실이다. 물론 간호모델에 준한 교과과정을 발전시키는데 대한 장점과 이에 수반되는 여러가지 새로운 문제점에 대하여 많은 논란이 있으나 모든 교과과정이 처음 시도될 때부터 완전한 것이 있을 수 없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숙되는 것임을 감안해 볼 때 이러한 새로운 교과과정에의 시도는 미래의 새로운 간호방향에 필수적인 사업이라고 하겠다. 이러한 교과과정을 개발하는데 몇가지 게안점을 첨부하려 한다. (1) 새로운 교과과정의 개발은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교수진의 협력과 참여로 이루어져야 한다. (2) 비록 처음에는 어렵고 혼란이 있더라도 교과과정은 의학모델이 아닌 간호모델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3) 간호모델에서 다루어지는 개념들은 모두 직접 간호업무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선택되어야 한다. (4) 교과과정의 결과로 배출되는 학생들의 준비정도는 그 지역사회에 적합하여야 한다. (5) 그 지역사회의 고유한 문화적 요소가 포함되어야 한다. 아직 우리는 간호분야 내부의 갈등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시기에 있다. 우리 내부의 문제점을 잘 해결할 수 있을때 외부와의 갈등에 잘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내부의 갈등을 잘 해결하기 위한 힘을 모으기 위하여는 동반자, 즉 교수와 학생, 간호교육자와 임상간호원 등이 서로 진정한 의미의 동반자 될때 가장 중요한 해결의 실마리가 될 것이다.

  • PDF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Intelligent Decision Support System through Defense Ontology - Application example of Air Force Logistics Situation Management System (국방 온톨로지를 통한 지능형 의사결정지원시스템 구축 및 활용 - 공군 군수상황관리체계 적용 사례)

  • Jo, Wongi;Kim, Hak-Jin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25 no.2
    • /
    • pp.77-97
    • /
    • 2019
  • The large amount of data that emerges from the initial connection environm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a major factor that distinguishe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rom the existing production environment. This environment has two-sided features that allow it to produce data while using it. And the data produced so produces another value. Due to the massive scale of data, future information systems need to process more data in terms of quantities than existing information systems. In addition, in terms of quality, only a large amount of data, Ability is required. In a small-scale information system, it is possible for a person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system and obtain the necessary information, but in a variety of complex systems where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system accurately, it becomes increasingly difficult to acquire the desired information. In other words, more accurate processing of large amounts of data has become a basic condition for future information systems. This problem related to the efficient performance of the information system can be solved by building a semantic web which enables various information processing by expressing the collected data as an ontology that can be understood by not only people but also computers. For example, as in most other organizations, IT has been introduced in the military, and most of the work has been done through information systems. Currently, most of the work is done through information systems. As existing systems contain increasingly large amounts of data, efforts are needed to make the system easier to use through its data utilization. An ontology-based system has a large data semantic network through connection with other systems, and has a wide range of databases that can be utilized, and has the advantage of searching more precisely and quickly through relationships between predefined concepts. In this paper, we propose a defense ontology as a method for effective data management and decision support. In order to judge the applicability and effectiveness of the actual system, we reconstructed the existing air force munitions situation management system as an ontology based system. It is a system constructed to strengthen management and control of logistics situation of commanders and practitioners by providing real - time information on maintenance and distribution situation as it becomes difficult to use complicated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with large amount of data. Although it is a method to take pre-specified necessary information from the existing logistics system and display it as a web page, it is also difficult to confirm this system except for a few specified items in advance, and it is also time-consuming to extend the additional function if necessary And it is a system composed of category type without search function. Therefore, it has a disadvantage that it can be easily utilized only when the system is well known as in the existing system. The ontology-based logistics situation management system is designed to provide the intuitive visualization of the complex information of the existing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through the ontology. In order to construct the logistics situation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ontology, And the useful functions such as performance - based logistics support contract management and component dictionary are further identified and included in the ontology. In order to confirm whether the constructed ontology can be used for decision support,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a meaningful analysis function such as calculation of the utilization rate of the aircraft, inquiry about performance-based military contract. Especially, in contrast to building ontology database in ontology study in the past, in this study, time series data which change value according to time such as the state of aircraft by date are constructed by ontology, and through the constructed ontology, It is confirmed that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utilization rate based on various criteria as well as the computable utilization rate. In addition, the data related to performance-based logistics contracts introduced as a new maintenance method of aircraft and other munitions can be inquired into various contents, and it is easy to calculate performance indexes used in performance-based logistics contract through reasoning and functions. Of course, we propose a new performance index that complements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ly applied performance indicators, and calculate it through the ontology, confirming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constructed ontology. Finally,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failure rate or reliability of each component, including MTBF data of the selected fault-tolerant item based on the actual part consumption performance. The reliability of the mission and the reliability of the system are calculated. In order to confirm the usability of the constructed ontology-based logistics situation management system, the proposed system through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which is a representative model for measuring the acceptability of the technology, is more useful and convenient than the existing system.

축산식품중(畜産食品中)의 Cholestrerol에 관(關)한 고찰(考察)

  • Han, Seok-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1995.11a
    • /
    • pp.1-48
    • /
    • 1995
  • 식생활은 인간 생활의 주체이고 먹는다는 것은 그 수단이다. 그중 중요한 하나의 명제는 인간이 놓여진 여러 환경에서 어떻게 건강을 유지하고 그 개체가 소유하고 있는 능력을 최대치까지 생리적으로 성장 발전시킴과 동시에 최대한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한 식물 섭취방법을 마이크로 레벨까지 해명하는데 있다. 인간은 일생동안 엄청난 양의 음식물을 먹는다(70세 수명일 경우 200만 파운드 즉 체중의 1,400배). 그러나 먹기는 먹되 자신의 건강과 장수를 위하여 어떤 음식을 어떻게 선택하여 어떻게 먹어야 하는 문제가 매우 중요하다. 최근 우리나라도 국민 소득이 늘면서 식생활은 서구화 경향으로 기우는 듯하다. 공해를 비롯한 수입식품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제기됨에 따라 자연식과 건강식을 주장하는 소리가 높이 일고 있다. 그중에는 축산 식품이 콜레스테롤 함량이 다른 식품에 비하여 높게 함유하고 있다는 것으로 심혈관질환의 주범인양 무차별 강조하는 나머지 육식공포 내지는 계란 등의 혐오감 마저 불러 일으키는 경향까지 있는 듯하다. 따라서 본논고에서는 축산식품중의 콜레스테롤 함량수준이 과연 성인병의 주범인지 아니면 다른 지방산과 관련해서 올바르게 평가하고 그 문제점과 대책을 개관해 보고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사람은 유사이래 본능적으로 주변의 식물이나 동물의 고기를 먹고 성장하여 자손을 증식시키고 어느 사이에 늙으면 죽음을 맞이 하는 싸이클을 반복하면서 기나긴 세월동안 진화를 하여 오늘날의 인간으로서의 자태를 이루었다. 유인원과 같은 인류의 선조들은 수렵을 통해 육식을 많이 하였을 것이므로 인간은 원래 육식동물이 아닐까? 구석기시대의 유물을 보면 많은 뼈가 출토되고 “얄타미라”나 “라스코” 동굴벽화가 선명하게 묘사되고 있다. 2. 우리나라 선조 승구족의 일파가 백두산을 비롯한 만주 송화강 유역에 유입되면서 수렵과 목축을 주요 식품획득의 수단으로 식품문화권을 형성하면서 남하하여 한반도 민족의 조상인 맥족(貊族)으로 맥적(貊炙)이라고 하는 요리(오늘날의 불고기)를 먹었다는 기록이 있다. 3. 인간의 수명을 190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서 뉴질랜드가 세계최장수국(호주는 2위)로서 평균수명은 남자 58세, 여자 69세인 반면 일본과 한국은 당시 남자 36세, 여자 37세이던 것이 일본은 1989년에 이르러 세계 최장수국으로 등장했으나 1990년 당시 뉴질랜드${\cdot}$호주 등은 목축 및 밀(小麥) 생산국가였기 때문이라는 것과 일본은 오늘날 합리적인 식생활 국가라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4. 우리나라 10대 사망원인중 (1994년도) 뇌혈관질환이 1위, 교통사고 2위, 암이 3위 순위로서 연령별로는 10~30대의 불의의 사고(교통사고), 40~60대는 암, 70대 이상은 뇌혈관질환이 가장 많다. 구미${\cdot}$일 7개국 정상국가들은 심질환 사망이 가장 높다. 5. 식생활의 변화에 있어서 우리나라는 주식으로 섭취해 왔던 곡류는 70년 대비 94년에는 0.7배 감소된 반면 육류 5배, 계란 2.4배, 우유는 무려 29.3배 증가되었다. 식생활 패턴이 서구화 경향으로 바뀌는 것 같다. 6. 71년도 우리나라의 지질섭취량은 국민 1인당 1일 평균 13.1g에 섭취에너지의 5.7%수준이었으나 92년도에는 34.5g으로서 총에너지 섭취량의 16.6%에 달하고 총섭취 지방질중 동물성 섭취 비율은 47%를 차지 한다. 국민 평균 혈청콜레스테롤 농도는 80년에 비해 88년에는 11%가 증가되었고 80년에 210mg/dl 이상 되는 콜레스테롤 혈증인 사람의 비율이 5%에서 88년에는 23%로 크게 증가했다. 7. 세계 정상국가들의 단백질 즉 축산식품의 섭취는 우리나라보다 적게는 2배, 많게는 6~7배 더 섭취하고 90년도 우리나라의 지질섭취량은 일본의 1/3수준에 불과하다. 8. 콜레스테롤은 인체를 비롯한 모든 동물체에 필수적으로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체내 존재하고 있는 총량은 90~150g, 이중 혈청콜레스테롤은 4%(6g)를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아주 적은 콜레스테롤에 일희일비(一喜一悲) 논쟁은 60~70년 끄러오고 있다. 9. 콜레스테롤의 생체내 기능으로서는 (1) 세포벽의 지지물질 (2) 신경세포 보호막물질 (3) 담즙산의 합성 (4) 비타민 D의 합성 (5) 임신시에 반듯이 필요한 분자 (6) 기타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필수적인 물질이다. 10. 우리가 식이를 통해서 섭취 콜레스테롤을 550mg정도를 섭취한다고 하더라도 이 정도의 양은 배설 소모되는 양과 거의 맞먹는 양이다. 피부와 땀샘에서 소실되는 양만도 100~300mg에 달하기 때문에 미국농무성에서 섭취량을 300mg로 제한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11. 콜레스테롤 운반체로서의 지단백질은 그 밀도가 낮은 것으로부터 킬로미크론(chylomicron), 초저밀도 지단백질(VLDL), 저밀도 지단백질(LDL) 및 고밀도 지단백질(HDL)으로 나누는데 LDL은 혈청콜레스테롤 중 약 70%, HDL은 약20%를 함유한다. 12.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열거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1) 음식을 통해서 섭취되는 콜레스테롤 중 단지 10~40%정도가 흡수되고, 체내에서 합성되는 콜레스테롤이 증가할수록 식이콜레스테롤은 실제 혈청콜레스테롤 수준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식이중함량에 대하여 공포를 느끼고 기피할 필요가 없다. 2) 고도불포화지방산, 단가불포화지방산, 포화지방산의 비 즉 P/M/S의 비가 균형되도록 권장한다. 3) 동맥경화를 비롯한 성인병의 원인이 되는 혈전증에는 EPA의 양을 높여줌으로서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다. 4) 오메가6지방산 아라키도닉산과 오메가3지방산인 EPA로 유도되는 에이코사에노이드 또는 프로스타노이드는 오메가6와 3지방산을 전구체로 하여 생합성되는 중요한 생리활성 물질이다. 5) 사람은 일반적으로 20세에서 60세까지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이 증가하고 60세 이후부터는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며 심장보호성 HDL-콜레스테롤은 감소하는 반면에 죽상경화성 LDL콜레스테롤은 증가한다. 6) 높은 HDL콜레스테롤 수준이 심장병 발생 위험요인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좋은 HDL이라 부르고, LDL은 나쁜 콜레스테롤이라 부르기도 하는데, 이것은 유전적 요인보다도 환경적 요인이 보다 큰 영향을 미친다. 7) 이것은 생활 형태와 영양섭취상태를 포함해서 개인적 생활패턴에 영향을 받는다. 8) 많은 실험에서 혈중 콜레스테롤 상승은 노년의 가령(加齡)에 적응하기 위한 자연적 또는 생리적인 세포의 생화학적이고 대사적인 기능을 위해 필수적일 수 있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이 점으로 미루어 노년의 여성들을 위한 콜레스테롤 농도를 200mg/dl이 가장 알맞은 양이 아닌 듯하다. 9) 스트레스는 두가지 모양으로 유발되는데 해로은 스트레스(negative), 이로운 스트레스(positive)로서 긴장완화는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10% 떨어진다. 10) 자주 운동을 하는 사람들은 혈중 HDL콜레스테롤치가 운동을 하지 않는 사람보다 높다. 육체적인 운동의 정도와 혈중 HDL콜레스테롤 농도와는 정비례한다. 11) 흡연은 지방을 흡착시키므로 혈전증의 원이이 되며 혈관속의 HDL농도를 감소시킨다. 12) 에너지의 과잉섭취에 의한 체중 증가느 일반적으로 지단백질대사에 영향을 미치고, 간에서는 콜레스테롤 과잉 생산과 더불어 VLDL콜레스테롤의 LDL콜레스테롤 혈증을 나타냄으로 운동과 더불어 비만이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13. 콜레스테롤 함량에 대한 조절기술 1) 식품의 우열을 평가할 때 단순히 동물성 또는 식물성 식품으로 분류해서 총괄적으로 논한다는 것은 지양되어야 한다. 이것은 그 식품에 함유하고 있는 지방산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기 때문이다. 2) 인체의 원할한 기능 유지를 위해서는 P /M /S비율 뿐만 아니라 섭취 지방질의 오메가6 /오메가3계 지방산의 비율이 모두 적절한 범위에 있어야 하며 한두가지 지방산만이 과량일 때는 또 다른 불균형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3) 닭고기는 오메가6지방산 함량을 높이기 위하여 사료중에 등푸른 생선이나 어분이나 어유를 첨가하여 닭고기는 첨가수준에 따라 증가됨을 알 수 있다. 4) 오늘날 계란내의 지방산 조성을 변화시켜 난황내의 오메가 3계열 지방산 함량을 증가시킨 계란의 개발이 활발해졌다. 14. 계란 콜레스테롤에 대한 소비자들의 부정적 인식을 불식시키고자 계란의 클레스테롤 함량을 낮추는 과제가 등장하면서 그 기술개발이 여러모로 시도되고 있으나 아직 실용 단계에 이르지 못했다. 15. 계란의 콜레스테롤 문제에 대한 대책으로서 난황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방법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16. 계란 중 콜레스테롤 함량 분석치는 표현 방식에 따라서 소비자들을 혼란시킬 가능성이 있다. 또한 과거에는 비색법으로 분석했으나 오늘날은 효소법으로 분석하면 분석치에 상당한 차이가 있다. 17. 소비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고 버터 소비를 촉진시키기 위해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물리적${\cdot}$생물학적 방식이 제안되어 있으나 현장적용이 가능한 것은 아직 없다. 18. 우리나라에서 이미 시판되고 있는 DHA우유가 선보였고 무콜레스테롤 버터의 경우 트란스(trans)형 지방산에 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많을 것이다. 끝으로 국가 목표의 하나는 복지사회 건설에 있고 복지국가 실현에는 국민 기본 욕망의 하나인 식생활 합리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소득이 늘고 국가가 발전해감에 따라 영양식${\cdot}$건강식 및 기호식을 추구하게 됨을 매우 당연한 추세라 하겠다. 우리의 식생활이 날로 향상되어 지난날의 당질 위주에서 점차 축산물쪽으로 질적 개선이 이루어진다는 것은 고무적임에 틀림없다. 이 축산물을 통한 풍요로운 식의 문화를 창출하면서 건강과 장수 그리고 후손에 이르기까지 번영하고 국가 경쟁력 강화에 심혈을 기우려야 할 때이다.

  • PDF

Sovereignty and Wine Vessels: The Feast Culture of the Goryeo Court and the Symbolic Meaning of Celadon Wine Vessels (고려 왕실의 연례 문화와 청자 주기(酒器)의 상징적 의미: 왕권과 주기(酒器))

  • Kim Yun-jeong
    • MISULJARYO - National Museum of Korea Art Journal
    • /
    • v.104
    • /
    • pp.40-69
    • /
    • 2023
  •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celadon wine vessels and royal banquets by focusing on their unique forms. It explores the symbolism in their forms and designs and the changes that took place in the composition of these vessels. By examining the royal annals in Goryeosa (The History of the Goryeo Dynasty), the relation of celadon wine vessels and royal banquets is examined in terms of the number of banquets held in the respective reigns of the Goryeo kings, the number of banquets held by type, and the purpose of holding them. A royal banquet was a means of strengthening the royal authority by reinforcing the hierarchy and building bonds between the king and his vassals. It was also an act of ruling that demonstrated the king's authority and power through praise of his achievements and virtues. Royal banquets were held most often during the reigns of King Yejong (r. 1105-1122), King Uijong (r. 1146-1170), King Chungnyeol (r. 1274-1308), and King Gongmin (r. 1351-1374). Particular attention is paid here to the changes in the types and forms of celadon wine vessels that occurred starting in the reigns of King Yejong and King Chungnyeol, which is also the period in which the number of royal banquets increased and royal banquet culture evolved. The king and his subjects prayed for the king's longevity at royal banquets and celebrated peaceful reigns by drinking and performing various related acts. Thus, the visual symbolism of vessels for holding, pouring, or receiving alcohol were emphasized. Since the manner of drinking at a banquet was exchanges of pouring and receiving alcohol between the king and his subjects, the design of the ewers and cups had a significant visual impact on attendees. It can be seen, therefore, that decorating wine vessels with Daoist motifs such as the immortals, luan (a mythological bird), turtle dragons, fish dragons, and gourd bottles or with Confucian designs like hibiscus roots was intended as a visual manifestation of the purpose of royal banquets, which was to celebrate the king and to pray for both loyalty and immortality. In particular, the Peach Offering Dance (獻仙桃) and Music for Returning to the Royal Palace (還宮樂), which correspond to the form and design of celadon wine vessels, was examined. The lyrics of the banquet music embodied wishes for the king's longevity, immortality, and eternal youth as well as for the prosperity of the royal court and a peaceful reign. These words are reflected in wine vessels such as the Celadon Taoist Figure-shaped Pitcher housed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the Bird Shaped Ewer with Daoist Priest in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only Goryeo celadon wine vessels reflect this facet of royal banquet culture in their shape and design. The composition of wine vessel sets changed depending on the theme of the banquet and the types of liquor. After Goryeo Korea was incorporated into the Mongol Empire, new alcoholic beverages were introduced, resulting in changes in banquet culture such as the uses and composition of wine vessel sets. From the reign of King Chungnyeol (r. 1274-1308), which was under the authority of the Yuan imperial court, royal banquets began to be co-hosted by kings and princesses, Mongolian-style banquets like boerzhayan (孛兒扎宴) were held, and attendees donned the tall headdress called gugu worn by Mongol women. During the reign of King Chungnyeol, the banquet culture changed 132 banquets were held. This implies that the court tried to strengthen its authority by royal marriage with the Yuan court, which augmented the number of banquets. At these banquets, new alcoholic drinks were introduced such as grape wine, dongnak (湩酪), and distilled liquor. New wine vessels included stem cups, pear-shaped bottles (yuhuchunping), yi (匜), and cups with a dragon head. The new celadon wine vessels were all modeled after metal wares that were used in the Yuan court or in the Khanates. The changes in the celadon wine vessels of the late Goryeo era were examined here in a more specific manner than in previous studies by expanding the samples for the study to the Eurasian khanates. With the influx of new types of wine vessels, it was natural for the sets and uses of Goryeo celadon wine vessels to change in response. The new styles of celadon wine vessels linked the Goryeo court with the distant Khanates of the Mongol Empire. This paper is the beginning of a new study that examines the uses of Goryeo celadon by illuminating the relations between royal banquets and these unique celadon wine vessels that are stylistically different from everyday vessels. It is to be hoped that more studies will be conducted from diverse perspectives exploring both the usage of Goryeo celadon vessels and their use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