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표준척도

검색결과 253건 처리시간 0.027초

소프트웨어 글로벌화 품질관리 프레임워크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oftware Globalization Quality Management Framework)

  • 이세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9D권1호
    • /
    • pp.29-38
    • /
    • 2012
  • 국내 최초로 소프트웨어 글로벌화 품질관리(Globalization Quality Management, GQM) 프레임워크를 설계하고 실제 산업 현장에 적용하였다. GQM은 글로벌화 경험이 미약한 국내 소프트웨어 업체를 대상으로 글로벌화 기술 적용 결과를 국제 표준에 적합한 수준으로 끌어올리기위한 지원 및 점검을 위한 도구이다. 소프트웨어 개발 주기에 따른 체크포인트 기반의 품질관리 프로세스, 글로벌화 기술지원 모델 및 품질점검 모델로 구성된 GQM은 폭포수를 비롯한 계획주도방법론과 애자일을 포함한 반복점증방법론을 모두 지원한다. GQM에 기반하여 31개 소프트웨어 업체를 대상으로 글로벌화 수준진단을 수행하고 5점 척도로 평가한 결과, 글로벌화 역량이 2.47, 글로벌화 준비도가 2.55로 나타났다. 또한, 글로벌화 기술 도입을 위한 선결요건은 국제화 기술을 반영한 제품 설계(32.9%)와 글로벌 요구사항 분석(28%)으로 조사되었다.

생활도로 보행환경 개선사업의 효과 연구 (Study on the Effects of Pedestrian Improvement Projects)

  • 임삼진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347-361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보행환경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찾기 위하여 시민 283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보행환경개선사업이 시행된 서울의 6개 지역을 선정하여 생활도로 보행 시 보행환경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리커트 5점 척도를 이용한 조사 결과 보행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 2.88 표준편차 1.12인 것으로 조사되어 만족도가 낮은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보행환경 만족도와 세부항목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보행환경 만족도와 상관계수가 높은 세부항목은 보행시 안전성(0.640), 걷고 싶은 느낌(0.603), 보행시 쾌적성(0.601), 산책하거나 대화를 나누기에 적당함(0.586) 등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는 생활도로 보행환경 개선사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안전을 중시하면서도 시설물을 설치하는 데 머물기보다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보다 적극적인 개념의 생활도로 환경정비 기법을 적용해야 할 것이며 주민참여가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SOA 소프트웨어의 사용성 평가 방법 (Usability Evaluation Method for SOA Software)

  • 이상효;양해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1575-1584
    • /
    • 2009
  • 서비스 품질의 향상 및 높은 재사용성과 확장성으로 인해, 최근 SOA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가트너(Gartner) 그룹에 따르면 2006년부터 2011년까지의 CAGR(연평균복합성장률:Compound Annual Growth Rate)이 35%에 이를 정도로 국내외 SOA 소프트웨어 시장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SOA 소프트웨어의 품질평가에 관해 국제표준에 따른 품질평가 방법의 개발에 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OA 소프트웨어의 사용성 품질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성에 관한 요구사항을 도출하여 척도화함으로써 품질을 시험하여 측정하고 그 결과를 적절한 기준에 따라 판정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를 수행하고 평가 사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SOA 소프트웨어의 사용성 품질 향상을 유도하고 전략기술 개발을 통해 객관성과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위상상관과 칼만 필터 움직임 예측을 이용한 동영상 안정화 (Video Stabilization using Phase Correlation and Kalman Filter-Based Motion Prediction)

  • 한학용;정효원;강봉순;허강인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06-111
    • /
    • 2009
  • 실시간 영상 안정화 기술은 손떨림에 의한 휴대용 카메라 혹은 외부적 조건에 의한 고정 카메라의 흔들림 보상에 이용된다. 본 논문은 비교적 큰 외부적 요인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동영상의 흔들림에 대한 대책에 관한 것이다. 동영상 안정화 파라메터로 이용되는 기준 프레임에 대한 현재 프레임의 변위를 얻기 위하여 DFT에 기반한 위상 상관법을 이용한다. 그리고 위상 상관지도에서의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탐색을 위하여 칼만 필터를 이용하여 탐색 범위를 추정하는 방법과 안정적인 성능과 실시간 처리에 필요한 조건을 실험적으로 찾아내고 그 조건을 제시한다. 중심 지점에 대한 평균밝기의 표준편차 값을 동영상 안정화의 성능 평가 척도로 제안하고 가상 흔들림 동영상과 실제 흔들림 동영상에 대하여 성능을 서로 비교하였다.

  • PDF

일부 대학생의 구강건강신념과 주관적 구강건강 인지-지각요인의 상관관계에 대한 융합 연구 (Convergence Study on Correlation about Oral Health Beliefs and Subjective Oral Health Awareness-Perception Factors in Some University Students)

  • 임선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201-209
    • /
    • 2019
  • 일부 대학생의 구강건강신념과 주관적 구강건강 인지-지각요인의 융합연구로 2019년 4월 1일부터 6월 14일까지 동의한 학생 2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통계분석은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test로 실시하였다. 구강건강신념은 유익성이 3.87점이었고, 구강건강지식 11.9점, 5점척도인 구강건강중요성 1.50점, 구강건강관심 2.36점, 구강건강상태는 2.67점으로 나타났다. 구강건강신념과 주관적 구강건강 인지-지각요인과의 상관관계는 구강건강신념은 구강건강지식(r=0.294, p<0.01)과 구강건강상태(r=0.406, p<0.01)에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대학생의 구강건강신념의 변화와 주관적 구강건강 인지-지각 능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끊임없는 구강보건교육의 필요하며, 대학생의 특성에 맞는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가려진 얼굴의 인식 (Recognition of Occluded Face)

  • 강현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682-689
    • /
    • 2019
  • 부분 기반 영상 표현(part-based image representation)에서는 영상의 부분적인 모습을 기저 벡터로 표현하고 기저 벡터의 선형 조합으로 영상을 분해하며, 이 때 기저 벡터의 계수가 곧 물체의 부분적인 특징을 의미하게 된다. 본 논문에는 부분 기반 영상 표현 기법인 비음수 행렬 분해(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 NMF)를 이용하여 얼굴 영상을 표현하고 신경망 기법을 적용하여 가려진 얼굴을 인식하는 얼굴 인식을 제안한다. 표준 비음수 행렬 분해, 투영 경사 비음수 행렬 분해, 직교 비음수 행렬 분해를 이용하여 얼굴 영상을 표현하였고, 각 기법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인식기로는 학습벡터양자화 신경망을 사용하였으며, 인식기에서의 거리 척도로는 유클리디언 거리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전통적인 얼굴 인식 방법에 비하여 제안한 기법이 가려진 얼굴 인식에 보다 강인함을 보인다.

임신성 당뇨병 임부와 정상 임부의 스트레스, 우울, 피로 및 수면의 질에 관한 서술적 조사연구 (A descriptive survey study of stress, depression, fatigue & sleep quality in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and normal pregnancy)

  • 황인명;허명행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369-379
    • /
    • 2021
  • 본 연구는 임신성 당뇨병 임부와 정상 임산부의 스트레스, 우울, 피로 및 수면의 질을 비교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연령, 임신주수, 출산 횟수가 일치하는 임신성 당뇨병 임부 49명과 정상 임부 51명이었다.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 숫자 척도, Canopy9 RSA(IEMBIO, Gangwondo, Korea)장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for window version 24.0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two sample t-test, Fisher's exact test, x2-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임신성 당뇨병 임부는 임신 전 체중(t=3.698, p<.001)이 높고 임신 중 스트레스(t=4.505, p<.001), 우울(t=4.564, p<.001), 피로(t=3.709, p<.001)가 높았기 때문에 임신 전 체중 관리가 중요하며, 임신성 당뇨병 임산부의 스트레스, 피로, 우울을 완화하는 간호가 필요하다.

집단회상 프로그램이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oup Reminiscence Program on Self-esteem and Depression of Elderly People)

  • 홍미연
    • 보건의료생명과학 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457-464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회상 프로그램이 노인의 자아존중감향상과 우울감소에 효과적인지를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N시에 소재하는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65세 이상 남녀 노인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군(n=10)과 통제군(n=10)으로 무선 할당 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측정 도구에는 자아존중감, 한국형 우울 척도(GDS-K)를 사용하였다. 실험집단은 주 1회 총 10회기에 걸쳐 80분씩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같은 기간 동안 통제집단에 대해서는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집단별 사전·사후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 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자아존중감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 우울감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DP 알고리즘에 의한 발음사전 전처리와 문맥종속 자소별 MLP를 이용한 영어 발음사전 생성기의 개선 (Improvements of an English Pronunciation Dictionary Generator Using DP-based Lexicon Pre-processing and Context-dependent Grapheme-to-phoneme MLP)

  • 김회린;문광식;이영직;정재호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21-27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가변어휘 단어 인식기에 사용하기 위한 개선된 MLP 기반 영어 발음사전 생성기를 제안한다. 가변어휘 단어 인식기는 인식대상 도메인이 수시로 바뀌는 상황에서 현재의 인식 도메인에 의해 결정되는 임의의 한국어 어휘들에 대해 처리 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을 영어 단어에 대해서도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미리 정의된 사전에 포함할 수 없는 영어 고유명사와 같은 단어의 발음열을 구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영어 발음사전 생성기를 구현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각 자소를 음소로 변환해 주는 문맥종속 다층 퍼셉트론 구조를 제안한다. 각 자소별 다층 퍼셉트론을 훈련하기 위해서는 표준 발음사전으로부터 각 자소에 대응하는 음소 학습용 데이터를 준비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적절한 거리척도를 사용하는 동적 프로그래밍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훈련 및 평가를 위한 데이터로는 116,191개 영어 단어의 발음사전을 사용하였다. 평가 결과 각각 30~50개의 히든 노드를 가지는 26개 자소별 MLP와 예외 자소 발음사전을 가지고 표준 발음사전에 대하여 72.8%의 단어 정확도를 얻었으며, 이것은 기존의 규칙 에 기반한 발음사전 생성의 정확도인 24.0% 보다 매우 우수한 결과임을 보여주었다.

  • PDF

안경광학과 재학생과 안경사의 안경광학과 교과과정 분야별 유용도 - 경기지역 3년제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Usefulness of the Classification in Ophthalmic Optics' Curriculum for Students and Optometrist - Focusing on Three-year Educational System in Gyeonggi Province -)

  • 이옥진;박희경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13-428
    • /
    • 2013
  • 목적: 안경광학과 재학생과 안경사를 대상으로 안경광학과 교과과정 분야별 유용도를 조사하여 교과과정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방법: 안경광학과 재학생 292명과 산업체 재직 안경사 123명을 대상으로 교과과정 유용도(5점 척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통계분석을 하였다. 결과: 교과과정 유용도의 평균은 안경사(3.89)가 재학생(3.71)보다 높았다. 재학생의 교과과정 분야별 유용도는 검안학분야가 가장 높았고(4.55) 안경사는 임상실습분야가 가장 높았다(4.48). 재학생과 안경사의 분야별 교과목의 유용도는 안광학분야, 안과학분야, 안경학분야, 전공기초분야, 안경사관련분야, 외국어분야에서 유의한 차이(p<.05)가 있었으나 검안학분야와 콘택트렌즈분야는 유의한 차이 없이 공통적으로 유용도가 높았다. 재학생의 교과목 유용도는 성별, 학년, 연령, 희망진로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안경사의 교과목 유용도는 성별, 연령, 학력, 경력, 근무처, 직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안경광학과 표준교과과정을 위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하며 재학생과 안경사의 교과과정에 대한 유용도와 요구가 반영된 교과과정의 개발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