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표비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2초

가미시마 야츠시로 신사(神島八代神社) 소장 재갈의 계보 (Lineage of Horse Bridle Kept in Yatsushiro Shrine in Kamishima)

  • 시미즈 야스지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9권4호
    • /
    • pp.156-179
    • /
    • 2016
  • 일본 이세만(伊勢灣) 바다의 가미시마(神島)에 있는 야츠시로(八代) 신사에는 거울을 중심으로 한 많은 중요문화재가 소장되어 있다. 그 중에 표비(??)가 포함되어 있는데, 통일신라시대 및 고려시대의 마구 계보와 연결되고 있음을 확신할 수 있다. 그와 유사한 사례를 포함하여 형식분류와 야츠시로 신사 소장 재갈의 위치 정립을 시행하였다. A형 재갈은 3형식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야츠시로 신사 소장 재갈의 연대는 상대적으로 가장 늦은 단계의 형식에 속한다. 또한 이들 재갈을 제작하던 공방은 철기제작, 청동기제작, 단조 및 주조 기술을 보유하고 있던 공방이지만, 그 가운데 철기제작 기술과 형태를 우선하는 공방군으로 볼 수 있었다. 이들 재갈을 말에 장착했을 때, 외부에서 보이는 부분을 동합금으로 제작하고 함(銜) 및 입문(立聞)의 각부는 철 소재로 하는 등 청동기제작기술과 철기제작기술을 복합시켜 장식성과 실용성을 높이는 제작과정을 보이고 있다.

삼국시대 원환비고 (A Study of Ring type Bits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 이상률
    • 고문화
    • /
    • 65호
    • /
    • pp.31-55
    • /
    • 2005
  • 원환비는 한 개의 독립된 원환이 재갈멈추개의 역할을 하는 특징적인 재갈로서 삼국시대, 특히 6세기대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중남부지방에서 유행하였다. 그 형태는 원환 자체 혹은 입문에 따라 다양하나 우리나라의 경우 입문이 없는 정원형 원환이 주류이다. 그래서 다양한 형태의 입문이 발달한 일본의 원환비와 좋은 대비를 이룬다. 원환비의 출현은 6세기1/4분기에 백제와 (대)가야지역에서 비롯되며 이로부터 신라, 일본으로 전파되면서 기존의 표비나 판비와 더불어 새로운 마장문화를 형성해 나갔다. 원환비의 변화는 함, 인수, 원환 등 각 구성요소와 이들의 연결방법을 통해 살필 수 있다. 각 구성요소의 경우 함은 3연식에서 2연식으로, 인수는 두가닥에서 한가닥으로 변하며 원환은 처음에 크게 제작되다가 점차 크기가 줄어드는 특징이 있다. 또한 철봉의 단면은 원형에서 방형으로 변해 나간다. 원환비에서 가장 주목되는 변화는 이들 구성요소의 연결방법이다. 처음에는 유환이 있고 원환이 함외환에 걸린 형식을 백제와 가야가 공유한다. 그러나 5세기2분기를 전후하여 백제에서는 유환이 없는 형식으로의 빠른 변화가 상정되며 이후 이것이 주류를 점한다. 또한 원환은 유환의 유무와 상관없이 함외환에 걸리는 특징이 있다. 이에 비해 가야에서는 일정기간 동안 유환을 더욱 활용한다. 그래서 함외환에 걸려 있던 원환을 유환에 걸기도 하며 때로는 유환의 기능이 극대화된 상황에서 이를 변모, 종국에는 유환을 원환화한 새로운 형식을 채용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후 가야에서 점차 유환이 없는 형식이 유행하는데, 이를 통해 6세기대 백제마구의 가야 확산의 일면을 엿볼 수 있다.

  • PDF

물두꺼비의 (Bufo stjnegeri Schmidt) 피부과립선의 미세구조 및 분비과립 형성에 관한연구 (Ultrastructural Observations on the Cutaneous Granular Glands and Excretory Granule Formation in the Water Toad, Bufo steinegeri Schmidt)

  • 문명징;도금영;김창환;김우갑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22-132
    • /
    • 1988
  • 물두꺼비의 (Bufo stjnegeri Schmidt) 피부 과립선의 미세구조 및 분비과립의 형성과정을 광학 및 전자현미경으로 고나찰하였다. 과립선은 선강이 진피에 있고 선분비선이 표비와 연결되어 체외로 개구된 단포상선으로서 외부의 근상표피층과 내부의 선상표피층 이외에 세포연접장치가 발달된 다른 한 종류의 세포집단이 분비관 근처로 분포하고 있었다. 선상피세포는 세포간의 경계가 없는 다핵성 단세포의 형태로 관찰되었으며, 세포질내에는 방분분비에 의해 체외로 방출되는 과립성 분비물질들이 치밀하게 집적되어 있었다. 한겹의 한계막에 의해 둘러싸인 이 과립들은 선상세포의 기저부에 분포하는 활면소포체로부터 기원하며 형성단계에 따라 4종의 과립형이 구분되었다.

  • PDF

울진 소광리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산림식생의 조성 및 구조 (Vegetation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Sogwang-ri Forest Genetic Resources Reserve in Uljin-gun, Korea)

  • 김학윤;조현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88-201
    • /
    • 2017
  • 경상북도 울진군에 위치한 소광리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산림식생의 조성 및 구조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ZM학파의 식물사회학적 연구방법으로 총 272개 식생자료를 수집한 후, 표비교법과 TWINSPAN법을 병용하여 산림식생 유형을 구분하고 그 생태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산림식생 유형은 모두 7개 유형이 구분되었으며, 신갈나무, 소나무, 진달래, 싸리 등이 특징짓는 '사면 능선형'과 층층나무, 들메나무, 산뽕나무, 산수국 등이 특징짓는 '계곡 요(凹)지형'의 두 그룹으로 대별되었다. 식생단위의 구성 체계는 2개 군락군, 4개 군락, 그리고 6개 아군락으로 나타났다. 구분된 산림식생 유형별 단위면적당 구성종의 총피도, 중요치, 종다양성 등의 구성적 특성도 파악하였다. 산림식생의 공간분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1/5,000 대축척 현존상관식생도를 작성하였다. 보호구역의 핵심 보호대상 군락인 금강소나무 우점 임분은 자연적 및 인위적 영향으로 그 조성과 구조적 특성에 있어 이미 잠재자연식생인 신갈나무림의 아형 (subtype)으로 나타나고 있어 향후 보호구역 금강소나무림의 지속적인 자기유지를 유도하는 적절한 보전대책 수립이 시급히 필요해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