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폴리카르복실산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4초

카르복실화된 폴리카프로락톤디올을 가진 수분산 폴리우레탄의 제조와 특성(II) - 카르복실화된 소프트 세그멘트 조성과 평균 분자량의 영향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Waterborne Anionomers Based on Carboxylated Polycaprolactonediol - Effect of the Carboxylated soft-segment composition and Average molecular weight)

  • Sang-Woo Park;Dong-hoo Lim;Jung-Eun Yang;Dong-Jin Lee;Han-DO Kim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1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Proceedings of the Korean Textile Conference)
    • /
    • pp.363-366
    • /
    • 2001
  • PDF

폴리프로필렌/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블렌드 경사구조 및 표면조성 (Gradient Structures and Surface Composition of Polypropylene/Ethylene-Propylene Rubber Blends)

  • 김석제;이성구;이재홍;최길영
    • 접착 및 계면
    • /
    • 제2권4호
    • /
    • pp.24-31
    • /
    • 2001
  • 용융 흐름성이 다른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을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R) 또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단량체 고무(EPDM) 및 카르복실산 그룹을 갖고 있는 에틸렌 공중합체와 이축 압출기로 용융 혼합한 후 사출성형으로 고분자 블렌드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블렌드의 기계적 특성과 시편의 두께 방향에 따른 모폴로지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적외선 분광법(ATR-IR)을 이용하여 표면에서의 카르복실산 그룹의 상대적 피크 크기를 비교하였다. 단면의 모폴로지 조사에서 중앙부에는 PP 연속상에 고무 도메인이 골고루 혼합되어 있지만 표면쪽은 PP가 층을 이루고 있는 경사구조가 관찰되었다. PP의 흐름성이 클수록 블렌드의 인장강도 및 충격강도가 작아졌으며 EPR보다 EPDM을 고무성분으로 사용한 PP계 블렌드가 PP의 흐름성에 대한 영향을 적게 받았다. 또한 PP의 흐름성이 클수록 카르복실산 그룹이 표면에 많이 존재하였다.

  • PDF

키토산/폴리감마글루탐산 나노입자의 제조 및 중금속 제거에의 응용 (Preparation of Chitosan/Poly-${\gamma}$-glutamic Acid Nanoparticles and Their Application to Removal of Heavy Metals)

  • 성익경;송재용;김범수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9권4호
    • /
    • pp.475-479
    • /
    • 2011
  • 키토산은 천연고분자 물질로 다양한 물리화학적(다중양이온, 반응성 수산화기와 아미노기 그룹), 생물학적(생리활성, 생체적합성, 생분해성)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겔형성제로 폴리감마글루탐산을 이용하여 키토산 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나노입자는 폴리감마글루탐산의 카르복실기($-COO^-$)와 키토산의 아미노기($-NH_3^+$)사이의 이온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되었다. 키토산(0.1~1 g)을 100 ml 아세트산 용액(1% v/v)에 첨가한 후 상온에서 충분히 용해되도록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폴리감마글루탐산(0.1 g)은 상온에서 90 ml 증류수에 용해시켰다. 교반되고 있는 폴리감마글루탐산 용액에 키토산 용액을 주사바늘을 통해 상온에서 적가하였다. 입자의 평균 크기는 80~300 nm 범위에서 형성되었다. 키토산/폴리감마글루탐산 나노입자는 중금속 이온들($Cd^{2+}$, $Pb^{2+}$, $Zn^{2+}$, $Cu^{2+}$, $Ni^{2+}$)의 제거를 위해 콜로이드 상태의 흡착 물질로 사용되었다. 나노입자의 중금속 제거 능력은 $Cu^{2+}$ > $Pb^{2+}$ > $Cd^{2+}$ > $Ni^{2+}$ > $Zn^{2+}$의 결과를 보였다.

카드뮴-113 NMR을 이용한 폴리아크릴산의 카드뮴(Ⅱ) 이온에 대한 결합자리의 특성연구 (Characterization of the Nature of Cd(II) Ion Binding Sites on Poly(acrylic acid) Using$^{113}Cd$NMR)

  • 정근호;구자응;신현상;문희정
    • 대한화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44-49
    • /
    • 1996
  • 카드뮴-113 NMR을 이용하여 수용액속에서 카드뮴 이온과 유기산(아세트산, 벤조산 및 프로판산)과의 결합 특성을 알아보았고 여기서 얻어진 결과를 폴리아크릴산(PAA)의 결합자리의 특성연구에 응용하였다. 유기산에 결합된 카드뮴 화합물의 카드뮴-113 NMR 화학적이동 결과 분석으로부터, $CDL^+$$CDL_2$(L:카르복실기) 화학종에 해당하는 화학적이동값은 각각 -22에서 -24ppm과 -39에서 -40ppm의 범위를 나타냈다. 카드뮴과 폴리아크릴산 화합물에서는 폴리아크릴산 대 카드뮴의 농도비를 12에서 118eq/mol로 증가시킬 때 화학적 이동값이 -36.6ppm에서 -38.2ppm으로 변하였다. 또한, 폴리아크릴산 대 카드뮴의 농도비를 고정시키고 ([PAA]/[Cd] = 39ep/mol) 용액의 pH를 1에서 6까지 변화시킬 때 화학적이동값은 1.6ppm에서 -37.6ppm으로 변하였다. 이 결과는 폴리아크릴산 대 카드뮴의 농도비 변화 실험에서 주화학종은 1:2 착물($CdL_2$)이고 농도비가 증가하면 1:2 착물형성도 증가하는 것을 보여준다.또한, 낮은 pH에서는 1:1착물($CdL^+$)이 우세하고 pH가 증가하면서 1:2 착물($CdL_2$)이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블록 및 랜덤 가교 술폰화 폴리이미드막의 제조 및 연료전지특성 평가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rosslinked Block and Random Sulfonated Polyimide Membranes for Fuel Cell)

  • 이영무;박치훈;이창현;정연석
    • 멤브레인
    • /
    • 제16권4호
    • /
    • pp.241-251
    • /
    • 2006
  • 본 연구에서, 랜덤(r-) 및 블록(b-) 구조를 가지는 가교 공중합 폴리이미드를 N,N-bis(2-hyoxyethyl)-2-aminoethanesulfonic acid와 pentanediol을 가교제로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비교를 위하여 가교되지 않은 r- 과 b- 술폰화 공중합 폴리이미드도 제조하였다. 술폰산기의 조성에 강한 의존성을 보이는 이온교환능 값은 r- 과 b- 술폰화 공중합 폴리이미드에서 서로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다. 카르복실산 기의 dimerization을 통한 물리적 가교현상은, 가교되지 않은 b- 술폰화 공중합 폴리이미드 고분자의 평균 사슬 거리를 감소시켰으며, 결과적으로 함수율과 메탄올 투과도를 r- 술폰화 공중합 폴리이미드보다 감소시켰다. 동시에, 고분자의 평균 사슬 거리의 감소는 단위 부피당 fixed-charged 이온의 함량을 증가시켰고, 이렇게 높아진 liked-charged 이온 밀도는 b- 술폰화 공중합 폴리이미드의 수소이온 전도도의 향상에 기여하였다. 가교제 및 고분자 구조에 상관없이, 가교구조의 도입은 고분자 사슬간의 평균 거리를 감소시켰고, 메탄올 투과도를 낮추었다. 반면에, 수소이온 전도도는 향상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수소이온의 전달을 담당하는 친수성 채널이 효과적으로 형성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러한 경향은 술폰산기를 가진 가교제로 가교된, r- 술폰화 공중합 플리이미드에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플라스틱 코팅용 Poly(Urethane-MMA) 혼성 에멀젼 합성 및 특성 연구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oly(Urethane-Methyl methacrylate) Hybrid Emulsion as a Plastic Coating Resin)

  • 염지윤;백경현;이준영;이경배;유병원;김중현
    • 접착 및 계면
    • /
    • 제8권1호
    • /
    • pp.8-14
    • /
    • 2007
  • 폴리우레탄에 아크릴기가 도입된 poly(urethane-methyl methacrylate) 혼성 에멀젼 코팅 수지는 플라스틱 코팅 수지로써 열적, 기계적 물성 및 내화학성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프리폴리머 혼합 공정과 무유화 중합 방법을 이용하여 수분산된 poly(urethane-methyl methacrylate) 혼성 에멀젼을 합성하였다. 즉, 폴리우레탄 프리폴리머 합성 단계에서 2,2-bis (hydroxymethyl) propionic acid (DMPA)을 투입하고 methyl methacrylate (MMA) 단량체를 투입한 후, triethylamine (TEA)을 이용하여 DMPA의 카르복실기를 중화시켜 친수성기를 도입하였다. 이를 수분산시켜 안정한 액적을 형성시킨 후, 사슬연장 및 무유화 중합 방법에 의해 합성반응을 진행하였다. 이때 제조공정 조건 및 아크릴계 단량체의 함량을 달리하여 poly(urethane-methyl methacrylate) 혼성 에멀젼의 다양한 샘플을 얻으며, 수분산 샘플의 물성(인장강도, 점도, 부착성 등) 및 코팅필름의 특성을 평가 비교하였다.

  • PDF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하이브리드 에멀젼의 합성 및 경화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ring Characteristics and the Synthesis of Polyurethane Acrylate Hybrid Emulsion)

  • 한상훈;박동원
    • 공업화학
    • /
    • 제17권2호
    • /
    • pp.132-137
    • /
    • 2006
  • Methyl methacrylate (MMA), 2-hydroxy ethylmethacrylate (2-HEMA), n-butyl acrylate (n-BA) acrylic acid (AAc)를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로 사용하고 친수성기인 카르복실 말단기를 갖는 수분산성 폴리우레탄을 시드로 하여 시드중합 방법을 이용한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하이브리드 에멀젼을 합성하였다. 합성된 혼성 에멀젼의 입자경과 폴리우레탄 수분산체의 입자경과 단독 아크릴레이트 에멀젼의 입자경 그리고 수분산 폴리우레탄과 아크릴레이트 에멀젼을 기계적으로 브랜드한 혼합물의 입자경을 입도 분석기를 이용하여 입자의 크기 및 분포를 측정하였고 하이브리드한 에멀젼은 기계적으로 브랜드한 에멀젼보다 평균입자경이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수분기 용매에 대한 팽윤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물리 화학적 물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폴리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하이브리드 에멀젼에 멜라민 포름알데히드 경화제의 첨가에 따른 효과를 비교하였다.

애기똥풀 추출액에 대한 Polycarboxylic Acid 처리 면직물의 염색특성 연구 (A Study on the Dyeing Property of Polycarboxylic Acid Treated Cotton Fabrics with Chelidonium majus Extracts)

  • 최경은;강성일;이전숙;정용식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43-50
    • /
    • 2006
  • The main colorant of Chelidonium majus extracts is a berberine which shows relatively good dyeability onto silk fabrics in the appropriate dyeing conditions without mordant, But cotton fabrics are difficult to dye with berberine because of the low substantivity the cationic to cellulosic fibers. we treated cotton fabrics using three types of polycarboxylic acid, DL-malic acid, citric acid, 1,2,3,4-butanetetracarboxylic acid(BTCA) to increase dyeability of Chelidonium majus extracts onto cotton fabrics. As a result the cotton fabrics treated with polycarboxylic acid could be dyed with Chelidonium majus extracts and also showed yellow vividly. The dye uptake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number of carboxy groups. And so dye uptake resulted the largest in the BTCA solutions which have four carboxylic groups in the molecular unit. The optimal dyeing temperature a of Chelidonium majus extracts onto polycarboxylic acid treated cotton fabrics were $60^{\circ}C$. The dye equilibrium was reached 20 minutes after dyeing. Neutral pH of dye solutions showed in higher K/S value than acidic or alkaline conditions. But the colorfastness to washing and light according to polycarboxylic acid treat was not enhance.

  • PDF

탄소나노튜브의 분산성에 미치는 표면개질의 영향 (Effects of the Surface Modification on the Dispersion of Carbon Nanotube)

  • 김성수;김형중;유영재;이성구;최길영;이재흥
    • 접착 및 계면
    • /
    • 제4권4호
    • /
    • pp.22-27
    • /
    • 2003
  • 탄소나노튜브(CNT)의 분산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HNO_3$$H_2SO_4$를 사용하여 표면을 개질하였고, 적외선 분광법(FT-IR)과 산-염기 적정법을 통하여 CNT의 표면에 카르복실산이 도입된 것을 확인하였다. CNT의 분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초음파를 이용하여 톨루엔, 디메틸포름아마이드 (DMF) 및 N-메틸피롤리돈(NMP) 등의 유기용매에 개질 전(rCNT) 및 개질 후(mCNT)를 각각 분산시키고, 실시간 광학현미경(real-time video microscope)으로 분산거동을 관찰하였다. rCNT에 비해 mCNT가 극성이 큰 DMF 및 NMP 용매에 분산이 잘 되었으며 비극성인 톨루엔에는 분산성이 나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DMF에 CNT를 분산시킨 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를 용해시키고 이를 필름으로 제조한 후 주사전자현미경(SEM)을 통하여 분산형태를 관찰한 결과 mCNT의 분산성이 우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