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포장용수량

Search Result 99,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The Comparison of Electrical Conductivity for Soil Solutions Extracted in Field Capacity and Saturation-Paste (포장용수량과 포화 반죽 토양용액의 전기전도도 비교)

  • Lee, Ye-Jin;Lee, Jong-Sik;Yang, Jae-E.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43 no.6
    • /
    • pp.776-781
    • /
    • 2010
  • Estimating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saturation-paste (SP) is a common method to assess soil salinity. To assess soil salinity realistically, it is important to extract soil solution under field capacity. However, few studies on salinity assessment have been conducted for soil solution extracted under field capacity (-33 kPa; FC) moisture condition due to difficulty in soil solution extra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whether saturation-paste can represent field condition. Soil solutions were extracted from 22 soils in the plastic film house (PFH) and 18 soils in the reclaimed land (RL) at saturation and field capacity moisture conditions. Those were analyzed for pH, EC, cations ($K^+$, $Ca^{2+}$, $Mg^{2+}$, $Na^+$) and anions ($Cl^-$, ${NO_3}^-$, ${PO_4}^{3-}$, ${SO_4}^{2-}$). Both cations and anions of soil solution extracted from FC showed high correlations with ions extracted from SP in the PFH and the RL, except for ${NO_3}^-$, ${PO_4}^{3-}$ in the RL. Results of the t-test, the ECe and $EC_{FC}$ were not significant at significance level 0.05. The slopes of the equations between $EC_{FC}$ and ECe at more than sand 50% soils were higher than less than sand 50% soils, and differences of saturation percentage between SP and FC showed larger as increasing sand percentage. EC was related to soil water retention by soil texture. To determine the EC, soil texture and other soil properties which effect the soil moisture should be considered.

Sensitivity Analysis of the Leachate Level of a Landfill to Hydraulic Properties of Cover Soil and Waste (매립장의 복토재와 폐기물 수리특성에 대한 침출수위의 민감도 분석)

  • 주완호;장연수;김용인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oundwater Environment
    • /
    • v.5 no.2
    • /
    • pp.110-115
    • /
    • 1998
  • In this paper, the sensitivity of the leachate level is analyzed using the program HELP to reduce the high leachate level on the landfill. Hydraulic parameters analyzed were porosity, field capacity, wilting point and initial water content of cover soil and waste. Also, the influenc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itial water content and the field capacity on the leachate level in the landfill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ensitivity analysis show that the increase of the porosity and the wilting point decreases the leachate level, while the increase of the field capacity and the hydraulic conductivity increases the leachate level. Major parameters to the change of the leachate level were the hydraulic conductivity in the case of cover soil and the porosity, the field capacity and the initial water content in the case of waste.

  • PDF

Calibration and Validation of a Streamflow Network Model for Predicting discharge on a Downstream River of a Reservoir (저수지 하류의 유량 모의를 위한 하천망 모형의 보정 및 검정)

  • Song, Jung Hun;Kang, Moon Seong;Song, In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32-432
    • /
    • 2015
  • 농업용 저수지의 하류유역은 저수지로부터 농업용수를 공급받는 관개지구와 산림지 등 관개를 실시하지 않는 비관개지구의 수문순환이 복합적으로 연계된다. 이러한 저수지 하류유역의 하천유량은 배후 유역에서 발생하는 유역 유출량, 관개지구의 농업용수 회귀수량, 저수지에서 방류되는 환경용수 방류량과 제한수위 및 만수위 방류량, 그리고 지하수 유출량 등으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 하류의 하천유량 구성 요소를 해석하는 하천망 모형을 구성하였고, 대상지구의 자료를 구축하였으며, 모형의 보정 및 검정을 수행하였다. 비관개지구의 유출량 모의는 수정 3단 Tank 모형을 이용하였다. 관개지구의 배수량은 논 포장 배수량과 용수로 배수량을 구분하여 모의하며, 논 포장 배수량은 논 물수지식을 기반으로 모의하였다. 저수지 방류량은 저수지 유입량과 저수지 운영방식을 고려하여 모의하도록 구성하였다. 하도 추적은 Muskingum 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 대상지로 이동저수지 유역을 선정하여 기상, 지형, 수문, 그리고 영농 자료를 수집하여 모형의 입력 자료를 구축하였다. 모형의 평가를 위한 통계적 지표는 Nash-Sutcliffe efficiency (NSE), root mean square error-observations standard deviation ratio (RSR), 그리고 percent bias (PBIAS)를 이용하였다. 보정 및 검정 결과 구성된 모형의 모의 결과는 실측치의 경향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 농촌유역 물순환에 대한 이해를 넓히며, 저수지 하류유역 유량 해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Grain Yield and Seed Quality of Rice Plants as Affected by Water-saving Irrigation (절수관개방법이 벼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 Choi Weon-Young;Park Hong-Kyu;Moon Sang-Hoon;Choi Min-Gyu;Kim Sang-Su;Kim Chung-Kon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8 no.3
    • /
    • pp.141-144
    • /
    • 2006
  • This experiment investigated seed yield and grain quality of rice plants treated with different irrigation methods (water supply until complete saturation, field capacity, and surface soil crack) compared with a conventional irrigation method (inundation). Each treatment began 20 days after transplanting and ended 35 days after heading. There was an 8, 18 and 18% reduction in irrigation water in the three treatments, respectively. Rice yield with complete saturation treatment was similar to that of conventional irrigation, while those of field capacity and soil crack were less by 7 and 13%. The ratio of filled grain was lower and amylose content was higher in the water-saving irrigation than those from conventional irrigation.

Effedts soil moisture on Photosythess , Transpiration and Stomatal resistance in Sorghums I. On seasonal changes (토양수분이 수수류의 광합성 , 증산량 및 기공저항에 미치는 영향 I. 광합성과 증산량의 계절간 변화)

  • 한흥전;류종원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 /
    • v.6 no.1
    • /
    • pp.53-59
    • /
    • 1986
  • The effects of soil moisture on seasonal changes of photosynthesis, transpiration and stomatal resistance were studied in sorghum (Pioneer 931) and sorghum - sudangrass hybird (Pioneer 988) at Suweon in 1985. Soil moisture was maintained with approximately 100, 80, 60 and 40% of field moisture capacity in large concrete pot (12m length $\times$ 1m width $\times$ 1m depth). 1. Photosynthesis and transpiration showed a sharp seasonal changes and reacted similarly to water stress and environmental factors, and were the highest in the middle of August, and were the lowest in the beginning of October. Sorghum - sudan hybird had better photosynthesis, transpiration and stomatal control than those of sorghum in hot summer season. 2. The rate of photosynthesis of 60 and 80% field moisture capacity was higher than that of 100 and 40% throughout growing season, but the effect of soil moisture on photosynthesis varied seasonally by climate factors. Optimum soil moisture was 60% in early summer and fall, and was 60 - 80% in hot summer season. 3. Drought and over-moisture affected physiological metabolism of plant, and so the dry matter yield of 40 and 100% field moisture capacity decreased by 70% compared with that of 60% field moisture capacity.

  • PDF

A modification of SWMM to simulate permeable pavement, and the effect analysis on a release of treated wastewater and the permeable pavement (투수성 포장을 고려한 SWMM의 수정 및 하수처리 재이용수와 투수성 포장의 효과분석)

  • Lee, Jung-Min;Lee, Sang-Ho;Lee, Kil-Seo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9 no.2 s.163
    • /
    • pp.109-120
    • /
    • 2006
  • Permeable pavement and release of treated wastewater into streams can increase streamflow of urban streams for a dry weather period. A SWMM code was modified to have a permeable pavement option. The modified SWMM was applied to continuous simulations of urban runoff from Hakuicheon watershed and it was used to analyse the effect of a permeable pavement installation and the reuse of treated wastewater. A critical error in the pan coefficient multiplication was also corrected in the modificati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reuse of treated wastewater is as follows: The low flow ($Q_{275}$) increases by 1.63 times as much as the current one and the drought flow ($Q_{355}$) increases by 3.57 times as much as the current one. If the impervious area in the Hakuicheon watershed is replaced with the permeable pavement area by 10 percent, the low flow and the drought flow increases by 3 percent and 17 percent,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s the effectiveness of the release of treated wastewater into stream to increase urban streamflow. The permeable pavement installation also play a minor role in the drought flow increase.

Analysis of Reclaimed Wastewater Irrigation on Paddy Rice Yield Using DSSAT (작물생육모형을 이용한 하수처리수의 농업용수 재이용에 따른 논벼 수확량 분석)

  • Jeong, Han-Seok;Seong, Chung-Hyun;Jung, Ki-Woong;Kim, Kwang-Min;Park, Seu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68-468
    • /
    • 2011
  • 작물생육모형은 다양한 환경조건 하에서 주요 작물에 대한 생육 및 생산량의 종합적인 모의가 가능하며, DSSAT(Decision Support System for Agrotechnology Transfer)의 경우 지난 20여 년간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서 작물생육을 모의하는데 사용되어왔다. 또한, 하수재이용은 물 부족을 겪는 많은 국가에서 주요한 대체수자원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생활용수, 공업용수, 농업용수 등의 다양한 형태로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DSSAT을 이용하여 하수 처리수의 농업용수 재이용에 따른 논벼의 수확량을 모의하고 분석하였다. 하수처리수의 농업용수 재이용에 따른 논벼 수확량 분석을 위하여 기상, 토양, 관개량 및 관개수 수질 등의 입력자료를 구축하였다. DSSAT을 이용한 논벼 수확량의 모의치와 수원시 하수처리장 인근에 조성된 시험포장에서 실측한 4년간(2006년~2009년)의 수확량 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작물생육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DSSAT을 이용한 논벼 수확량의 모의치는 실제 수확량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줌으로서 하수재이용에 따른 논벼 수확량 분석에서 작물생육모형이 적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nalysis of Water Balance in Paddy Fields using Open Source SWMMModel (Open source SWMM모형을 활용한 논배수로 물수지 분석)

  • Kim Beom gu;Choo In Kyo;Kareem Kola Yusuff;Jung Young 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03-403
    • /
    • 2023
  • 도시화로 인한 생활, 공업, 농업용수의 수요는 증가하지만,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댐 건설은 생태계의 단절, 수몰 지역 생성 등의 이유로 비판적인 여론이 많아 신규 수자원 확보가 어려워지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신규 수자원을 확보하기보다 기존 수자원의 물관리 체계를 개선하고 합리적인 물 배분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중 농업용수의 회귀 수량에 대하여 알아볼 필요가 있다. 수리 시설물에서 공급된 농업용수는 전량 작물에 의해 소비되는 것이 아니며, 포장으로 공급되지 않고 용수로를 통해 배수되기도 한다. 포장으로 공급된 수량은 물꼬를 넘어 배수되기도 하고, 일부는 침투되어 지하수를 통해 흘러나가기도 한다. 이 와 같이, 농업용수 공급량 중 소모되지 않고 하천으로 유입되는 수량을 관계 회귀 수량이라 한다. 따라서 본연구에서는 농업에 소모되지 않고 하천으로 유입되는 회귀수량을 정확히 조절할 수 있도록 농업용수 회귀수량을 계산하는 모델을 구현하였다. SWMM(Storm Water Management Model)은 도로, 도랑, 관로, 초지 등 주로 도시지역의 강우-유출-지표면 유출을 해석하는 모델이며 농지의 수로네트워크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용수로를 개수로로 고려하여 테스트베드 모형을 구축할 것이다. SWMM은 농업용수 물순환 모의를 위해 이미 활용되고 있으나 논에서의 증산량이 미반영되며 수혜지역 내의 지하수위가 미반영 되는 등 정확한 물순환 모의를 위해서 한계점 개선이 필요하다. 이 한계점 개선을 위해서 회귀수량 공식을 c언어로 구현 후 EPA SWMM의 소스코드를 활용하여 회귀수량 추정이 가능한 SWMM을 구현하였다. 해당 연구를 통해 농업용수의 회귀수량을 계산하여 정확한 물수지 분석이 가능하여 농업지역의 수자원 확보에 도움을 줄 것이다.

  • PDF

Agricultural Water Supply and Allocation using SWMM Model (SWMM 모형을 이용한 농업용수 물공급 및 분배 모의)

  • Shin, Ji-Hyeon;Nam, Won-Ho;Bang, Na-Kyoung;Kim, Han-J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29-129
    • /
    • 2020
  • 전국적으로 약 18,000여개가 축조되어 있는 농업용 저수지는 국내농업용수 사용량 중 약 60%를 공급하는 핵심 농업기반시설로서 홍수기에 풍부한 수량을 저류한 후 관개기 혹은 갈수기에 주로 논벼 재배지역에 용수를 공급한다. 최근에는 가뭄에 의한 피해 심각성이 증가함에 따라 농업용 수확보대책 수립, 저수지 준설, 관정개발, 양수저류 등의 다양한 대응 방안을 마련하여 농업가뭄 극복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농업용수공급은 현장 물관리자의 경험을 토대로 공급되고 있어 공급량 관리가 정성적이고 제한적인 한계가 발생한다. 따라서, 농업용수의 효율적인 물 관리, 수원공으로부터 물공급의 합리적인 분배, 말단 수로 및 포장까지 안정적인 용수공급을 위한 물공급 및 분배 효율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서산지역의 신송저수지를 대상으로 2019년 5월부터 8월까지 통수일지 자료를 활용하여 농업용수 물공급 및 분배 모의, 관개효율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부정류해석이 가능한 SWMM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모형을 기반으로관개지구 용수공급 체계 네트워크와 들녘별로 용수공급이 가능하도록 구축하였고, 해당 지구의 실제 통수 시 수위 유량 계측을 통해 모델의 필수 변수 입력자료를 구축하였다. 전체면적 대비 수혜면적 비율과 전체 관개량 대비 해당 간선의 관개량 비율의 비교를 통해 수혜면적에 따른 관개효율을 분석하였으며, 각 수로별 공급량 대비 관개량 비율을 산정하여 수로별 관개효율을 분석하였다. 농업용수공급 효율 평가 결과는 수혜면적의 용수부족지역 파악, 시기별 용수배분의 공간적인 분포 모니터링 등 농업용수 이수대책에 활용하여 농업가뭄 상황 시 효율적인 물 배분 및 관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