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폐쇄성 내만

검색결과 535건 처리시간 0.038초

폐쇄성 수면무호흡증후군 환자에서 사람백혈구항원 분석 (Analysis of HLA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 이상학;김치홍;안중현;강지호;김관형;송정섭;박성학;문화식;최희백;김태규;최영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9권3호
    • /
    • pp.298-305
    • /
    • 2005
  • 연구배경 : 폐쇄성 수면무호흡증후군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주된 위험요소로는 비만과 좁은 상기도, 비정상적인 머리-얼굴 구조 등이 알려져 있으며 유전적 요인 또한 가족내 집단적 발생하였다는 보고들에 의해 뒷받침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저자들은 HLA검사를 통하여 폐쇄성 수면무호흡증후군에서 유전학적인 배경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철야 수면다원검사로 진단한 25명의 폐쇄성 수면무호흡증후군 환자 (여자 1명과 남자 24명, 연령 30-66세)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조군은 200명의 건강한 한국인으로 하였다. HLA-A와 -B 대립유전자의 검사는 미세세포독성검사로 시행하였고 HLA-DRB1 유전자의 두번째 엑손의 다형성에 대한 분석은 PCRSSOP방법을 이용하여 시행하였다. 결 과 : HLA-A11 대립유전자의 빈도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후군 환자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다 (p<0.05). HLA-B 대립유전자의 빈도는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HLA-DRB1 유전자의 다형태 분석에서는 DRB1*09의 빈도가 폐쇄성 수면무호흡환자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다 (p <0.05). 환자군을 무호흡지수 45를 기준으로 경-중등증군과 중증군으로 나누어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중증군에서 HLA-DRB1*08의 빈도가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다 (p <0.05). 결 론 : 한국의 폐쇄성 수면무호흡증후군 환자에서 HLAA11과 DRB1*09가 폐쇄성 수면무호흡증후군과 관련되어 있고, HLA-DRB1*08이 이 질환의 중증도와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폐쇄성 수면 무호흡 증후군의 발생뿐 아니라 경중도 여부에도 유전적인 요소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폐쇄성 해역의 오염부하 특성과 해역환경변화 (Loading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Changes in Closed Coastal Water)

  • 이찬원;권영택;양기섭;장풍국;한성대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60-70
    • /
    • 1998
  • 국내에서 가장 전형적인 폐쇄성 해역인 마산만은 연안도시인 마산시와 창원시의 배수지역이다. 유역인구가 약 100만명으로 증가된 시점인 1993년 11월에 마산시 덕동하폐수종말처리장이 가동되기 시작하였으며, 그 유출수는 마산내만에서 약 15km 떨어진 옥계해역에 방류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마산만 유입부하의 분포가 어떻게 변화하였으며, 유입부하량과 유입오염물질의 성상은 어떠한 가를 규명하였다. 또한 마산만 유입부하 특성의 변화가 폐쇄성 연안 수질에 어떠한 영향을 주고 있는가를 연구하였다.

  • PDF

심내막염 환자의 동종대동맥편을 이용한 대동맥 근부 치환술 - 1례 보고 - (Aortic Root Replacement Using Aortic Homograft in Acute Bacterial Endocarditis One Case Report)

  • 임창영;이헌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8호
    • /
    • pp.819-822
    • /
    • 1997
  • 세균성 심내막염에 의한 대동맥판 폐쇄부전의 수술치료에 있어서, 우수한 혈역학적 기능과 염증에 대한 높은 저항력 때문에 동종대동맥판을 사용한 수술이 우선적으로 고려되고 있다. 수술방법중에서 대동 맥근부 치환술이 관상동맥하 부착법에 비하여 술 후 대동맥관 폐쇄부전이 적게 발생하는 장점을 갖는다. 46세의 남자가 세균성 심내막염에 의한 급성 대동백판 폐쇄부전 및 심부전으로 내원하였다. 내과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고 심부전이 점차 심해져서 20 m동종대동맥편을 이용한 대동맥근부 치환수술을 응급으로 시행하였다. 수술소견상 우관상판첨에 구멍이 나 있었고 좌, 우관상판첨사이의 교련에 심한 석회화가 있었다. 수술후 환자는 순조로이 회복되었고 심초음파검사상 이식된 동종동맥 판의 폐쇄부전소견 은 발견되지 않았다. 염증소견들도 술 후 8주간의 항생제투여로 소실되었다. 약물치료로 조절되지 않는 세균성 심내막염에 의한 급성 대동맥판 폐쇄부전을 동종동맥 판을 사용한 대동맥근부 치환수술로써 성 공적으로 치료하였다.

  • PDF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치료에 사용되는 하악전방이동장치-'바이오가드'의 안전성과 유효성 검증을 위한 전향적, 다기관, 단일군 및 비열등성 연구 (Safety and Efficacy of the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Bioguard' for the Treatment of Obstructive Sleep Apnea : A Prospective, Multi-Center, Single Group, and Non-Inferiority Trial)

  • 김형욱;황청풍;은헌정
    • 수면정신생리
    • /
    • 제23권2호
    • /
    • pp.84-92
    • /
    • 2016
  • 목 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치료에 사용되는 하악전방이동장치의 한 제품인 '바이오가드'의 유효성과 안정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방 법 :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으로 내원한 총 6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하악전방이동장치를 치료법으로 선택하여 전향적, 다기관, 비열등성 연구를 하였다. 일차적으로 설문지 및 야간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수면무호흡지수의 변화를 수술적 치료의 선행 연구 결과와 비교한 비열등성 연구를 하였고 이차적으로 수면의 질, 주간졸리움, 산소포화도, 코골이 비율의 변화를 '바이오가드' 사용전후와 비교하였다. 또한 이상반응발생을 조사하여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결 과 : 62명의 환자 중 중도 탈락한 3명을 제외한 59명에게서 MAD 치료 5주 뒤에 평가한 수면무호흡지수의 변화는(54%) 수술적 치료의 선행 연구 결과(45%)와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95% CI). 코골이 비율의 변화를 제외하고 수면무호흡지수, 수면의 질, 주간졸림증, 산소포화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을 보였다(p < 0.001). 총 62명 중 39명(62.9%)의 대상자에게서 총 85건의 이상반응이 보고되었으며 대부분(78건, 91.8%)의 경우 경증으로 보고되었고 중증으로 보고된 2건의 경우는 바이오가드와의 연관성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결 론 : 하악전방이동장치의 한 제품인 '바이오가드'는 코골이와 수면무호흡 환자에게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방법이다. 따라서 기존의 비가역적인 수술 치료법을 시도하기 전에 적용하는 대체치료법으로써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진행성 폐암에서 광역동 치료로 호전된 5례에 관한 임상적 경험 (Clinical Experience of Photodynamic Therapy in Five Patients with Advanced Lung Cancer)

  • 김양기;이영목;김기업;어수택;김용훈;박춘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7권1호
    • /
    • pp.72-77
    • /
    • 2004
  • 연구배경 : 폐암의 말기에 관찰되는 기도 폐쇄는 호흡곤란, 기침, 객혈 및 발열 등을 일으키고 반복적인 호흡기계 감염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방사선 치료, 항암화학요법 또는 수술적 치료를 받았기 때문에 더 이상 치료를 할 수 없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기도 폐쇄를 호전시키기 위한 보조적인 방법으로 광역동 치료가 한 방법임이 알려져 있다. 방 법 : 기도 폐쇄가 관찰되는 폐암 환자에게 기관지 내시경 시행 48시간 전에 광감작물질인 porfimer sodium (Photofrin$^{(R)}$)을 kg당 2mg으로 정맥주사 후 일광화상 및 광과민반응을 방지하기 위해 직사광선을 차단시켰다. Light source는 diode laser를 이용하였고, light dose는 180-200 $joul/cm^2$, 방사하는 빛의 강도는 400 $mW/cm^2$ 으로 하였으며 interstitial irradiation 및 cylindrical diffuser 를 이용하여 630nm의 레이져를 조사하였다. 시행 48시간 후 기관지내시경을 시행하여 괴사된 조직을 제거하고 남아있는 종양 부위에 대해 재조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 폐암 수술 후 수술부위의 국소적인 재발을 보인 경우가 1예, 기도 폐쇄로 인한 호흡곤란을 호전시키기 위해 시행한 경우가 4예였다. 광역동 치료를 통해 종양조직의 선택적인 괴사를 관찰할 수 있었고 괴사조직을 제거한 후에는 기도 폐쇄가 4예에서 호전되었다. 광역동 치료 종결 후 호흡곤란 및 활동도가 호전된 경우가 3예에서 관찰되었고 폐쇄성 폐렴으로 인한 객담 및 발열의 소견 및 기관지암에 의한 객혈의 경우에도 광역동 치료 후 호전되었다. 결 론 : 기도 폐쇄가 관찰되는 폐암 환자에서 보존적인 치료 방법으로 기관지내시경을 이용한 광역동 치료는 호흡곤란, 반복적인 호흡기계 감염 및 객혈 등을 호전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 중의 하나이다.

응급실에 내원한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의 호흡곤란 속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Dyspnea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in the Emergency Department Visits)

  • 양진주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813-821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escriptors of dyspnea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in patients with COPD at ED visit. Method: The study design was a descriptive survey, and 46 patients with COPD complaining of dyspnea were participated during their visits to the ED of C university hospital in G city, from October 1, 2004 to April 8, 2005. Result: The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dyspnea at the time of decision to the ED visit were short of breath (71.7%), tight (32.6%), hard to breathe (15.2%), smothering or suffocating (10.9%), gasping (8.7%), couldn't breathe (6.5%), constricted (2.2%), and hunger for air (2.2%). In the item of dyspnea checklists, My chest felt tight was the most common description among subjects. As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of dyspnea checklists, the first factor was characterized rapid and shallow, the second was suffocating/smothering, the third was hunger for air, and the fourth was constricted.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a checklist of dyspnea descriptors based on this findings would be utilized as a tool of initial and ongoing assessment for dyspneic patients with COPD in the ED after identify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checklist.

  • PDF

신생아 담즙 정체증에서 무담즙변의 유무와 $Tc^{99m}$ DISIDA 간담도 주사 결과간의 상관성과 생화학적 검사의 차이에 관한 연구 (The Correlation between Acholic Stool and the Result of $Tc^{99m}$ DISIDA Hepatobiliary Scintigraphy and Biochemical Test in Neonatal Cholestasis)

  • 주은영;안연모;김용주;문수지;최윤영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5권1호
    • /
    • pp.51-61
    • /
    • 2002
  • 목적: 신생아 담즙 정체증 환아의 감별을 위해 $Tc^{99m}$ DISIDA 간담도 주사 검사 상 신생아 간염과 간외 담도 폐쇄증 의증의 임상증상, 이학소견, 생화학 검사 등을 비교하고, 무담즙변과 $Tc^{99m}$ DISIDA 간담도 주사 검사의 관련성을 비교함으로서 진단에 도움을 얻고자 하였다. 방법: 1993년 6월부터 2001년 1월까지 한양대학병원 소아과 및 소아외과에 직접반응형 고빌리루 빈혈증을 주소로 입원했던 4개월 미만의 환아 중 $Tc^{99m}$ DISIDA 간담도 주사를 시행한 29명의 환아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간외 담도 폐쇄증 의증은 9명이고 신생아 간염은 20명으로 임상증상 및 이학적 소견, 생화학적 검사, $Tc^{99m}$ DISIDA 간담도 주사 결과를 조사하였다. 결과: 1) 간외 담도 폐쇄증 의증 환아가 신생아 간염보다 더 빨리 진단되고, 두 집단 모두 정상체중, 만삭아가 대부분이고, 남아에서 호발했다. 황달은 두집단 모두에게, 무담즙변은 간외 담도 폐쇄증 의증환아 모두에게 나타났으며 신생아 간염은 무담즙 변이 10%에서만 나타났다. 2) 내원 당시 검사상 direct bilirubin이 간외 담도 폐쇄증 의증일 때는 $6{\pm}2.6$ mg/dL, 신생아 간염은 $4.0{\pm}2.5$ mg/dL로 간외 담도 폐쇄증 의증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고, 간외 담도 폐쇄증 의증은 소변 bilirubin이 더 많이 나타났다. 3) 간외 담도 폐쇄증 의증에서 direct bilirubin, total bilirubin, ALT, AST, ALP의 정상화되는 기간이 좀 더 오래 걸렸다. bilirubin 수치의 호전을 보이는 비율은 비슷했고 간외 담도 폐쇄증 의증이 심화되는 경우가 22.2%로 더 많았고 주로 수술 후 부작용에 의한 것이었다. 4) 무담즙변 환아 중에 $Tc^{99m}$ DISIDA 간담도 주사 상 소장 내 방사활성이 있는 환아가 18.2%였고, 방사활성이 없는 환아가 81.8%로 나타났고, 간외 담도 폐쇄증 의증으로 판단되어 수술한 환아가 63.6%로 나타났다. 5) 무담즙변 여부와 $Tc^{99m}$ DISIDA 간담도 주사 결과간의 상관계수에서 r 값은 -0.858로서 절대값이 1에 가깝고 음수로 이는 역상관 관계가 높아 무담즙변 환아와 방사활성이 없을 경우, 담즙변 환아와 방사활성이 있는 경우간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6) 무담즙변 환아 중$Tc^{99m}$ DISIDA 간담도 주사 검사 상 소장 내 방사활성이 없는 환아에서 total bilirubin이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고, direct bilirubin, total bilirubin, ALT, AST도 증가되어 있었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 7) $Tc^{99m}$ DISIDA 간담도 주사 검사 상 소장 내 방사활성이 있는 환아 중 무담즙변이 없는 경우에 ALT가 유의하게 높았고, direct bilirubin, total bilirubin, AST는 유의하지 않게 높았으며 무담즙변일 경우에는 ALP, 소변 bilirubin 양성률이 더 높았지만 유의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이에 대해서는 더 많은 환자에 대한 검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결론: 간외 담도 폐쇄증 의증 환아는 무담즙변, direct bilirubin 4 mg/dL 이상, 소변 bilirubin 양성, $Tc^{99m}$ DISIDA 간담도 주사 검사 상 방사활성이 없을 때 가능성이 높다. 간외 담도 폐쇄증 의증에서 수술 후 검사결과의 정상화되는 기간이 좀 더 오래 걸리고, 호전되는 경우는 간외 담도 폐쇄증 의증, 신생아 간염이 각각 66.7%, 70%로 두 군이 비슷했다. 심화되는 경우는 간외 담도 폐쇄증 의증에서 더 많았고 주로 수술 후 부작용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며 오히려 수술하지 않은 2명에서 특별한치료 없이 호전 양상을 보이기도 했다. 무담즙변 환아 중 방사활성이 없는 환아에서 total bilirubin이 유의하게 증가되었고, 방사활성이 있는 환아 중 무 담즙변이 없는 경우에 ALT가 오히려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나 더 많은 환자군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본다. 무담즙변과 소장 내 방사활성이 없는 경우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지만 무담즙변 11명 중 2명(18.2%)에서 소장 내 방사활성이 관찰되었다는 점, 소장 내 방사활성이 없는 환아 9명중 수술 없이도 호전된 환아가 2명(22.2%)으로 관찰되었다는 점등은 무담즙변이 있다는 것과 소장 내 방사활성이 없다는 것만으로 간외 담도 폐쇄증으로 판단될 수 없으며 경피 간침 생검이나 시험 개복술로 확진하여야 한다는 것을 말해 준다.

  • PDF

고령에서 일측성 간질성 폐질환으로 보이는 일측성 폐정맥 폐쇄: 흉부 X선 사진의 시계열적 변화와 문헌 고찰 (Unilateral Pulmonary Vein Atresia Initially Presenting as Interstitial Lung Disease in an Elderly Female: Serial Chest Radiograph Changes and Its Literature Review)

  • 심영우;박종민;박병건;임재광;신경민;김영선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2호
    • /
    • pp.372-377
    • /
    • 2022
  • 일측성 폐정맥 폐쇄는 총폐정맥이 좌심방내로 연결되는 못하는 드문 심혈관계 기형이다. 일측성 폐정맥 폐쇄는 흔히 어린 시기에 진단이 되며, 성인이 된 이후에 진단이 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성인 환자에서 활동 시 호흡곤란과 객혈이 흔한 임상증상이다. 폐실질의 이상은 폐정맥 폐쇄의 간접적인 소견이며, 간질성 폐질환으로 나타날 수 있다. 우리는 62세 여자 환자에서 일측성 간질성 폐질환을 보이는 일측성 폐정맥 폐쇄의 증례와 12년간의 흉부 X선 사진 소견의 변화를 보고하고자 한다.

다발성 횡문근육종으로 인해 출생직후 발생한 좌심실유출로 폐쇄 (Postnatal left Ventricular Outflow Tract Obstruction Caused by Multiple Rhabdomyoma Tumors)

  • 송승환;전태국;최민석;양지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6호
    • /
    • pp.725-728
    • /
    • 2010
  • 횡문근육종은 영아에서 발생하는 가장 흔한 심장 내 양성종양으로 많은 수에서 그 크기가 감소하여 자연 소멸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일부 환자에서는 성장의 기능적 문제를 야기하여 수술적 치료를 필요로 하기도 한다. 환아는 산전 초음파에서 심실 내 다발성 종양이 발견되었으며 출생 직후부터 심한 좌심실 유출로 폐쇄로 인한 심장기능부전이 발생하였다. 생후 1일째 응급으로 수술을 시행하였으며 대동맥 절개를 통한 경판막 접근법으로 유출로를 막고 있는 종양의 일부분만을 절제하였다. 수술 후 시행한 초음파에서 유출로 폐쇄가 완전히 없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3년간 정기적으로 경과 관찰한 결과 남아있는 종양은 그 크기가 점차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