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평면 유형

Search Result 224,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Effect of Open Floor Plan Design Property on Apartment Price (단위세대의 개방형 평면구성이 아파트가격에 미치는 영향)

  • Bae, Sang Young;Lee, Sang Youb
    • Korea Real Estate Review
    • /
    • v.27 no.1
    • /
    • pp.17-32
    • /
    • 2017
  • The openness of residential space directly affecting lighting, view, and ventilation leads to the variation of open floor plan type in apartment construction project. This study intends to substantiate the effect to the apartment price by design property of open floor plan based on actual design information of apartment and price. The open floor plan type and associated design property, and actual transaction price of apartment have been considered as variables for analysis by the hedonic price function model and artificial neural networks model.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the openness affects the price of apartment positively and the three sides open plan is the most preferred with the highest price.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implication to the developer in planning and design stage of apartment and the purchaser seeking the suitable price by floor plan design.

Autonomic Responses Related to the Floor Plan Configurations of One-room Units: Focus on 10 Types of Floor Plan Configurations (원룸 평면 구성에 따른 자율신경계 반응: 사례조사 기반의 10개 평면 유형을 중심으로)

  • Myung, Jee-Yeon;Kim, Kyu-Beom;Jun, Han-Jong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2 no.2
    • /
    • pp.101-108
    • /
    • 2019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verify differences in autonomic responses that are affected by the configurations of one-room type units using an electrocardiogram (ECG). Accordingly, 43 one-room units that were collected randomly were classified into ten different types of floor plan configurations mainly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bathroom and kitchen. An ECG was subsequently measured for each plan type and the average ratio of the LF/HF (Power in low frequency range/Power in high frequency range) was calculated to measure the comfort level of each space. The results revealed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LF/HF ratio between the plan types (p < 0.05) and provided compelling evidence suggesting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plan may affect the quality of one-room space. This approach appears to be effective in counteracting stress that may exacerbate psychological disorders in single person households.

한국 주택의 공간구조 변천에 대하여 -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평면분석

  • No, Hyeong-Rae
    • Korean Architects
    • /
    • no.2 s.382
    • /
    • pp.60-66
    • /
    • 2001
  • 우리나라 주거양식의 근대화는 단순히 전통한옥에서 현대의 주택, 아파트로의 교체가 아니라 일련의 연속적인 변화과정 속에서 시대를 살아온 사람들의 생활양식과 문화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주택이란 삶을 담는 그릇'이라는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주택이란 거주자의 가치관을 포함한 주생활양식과의 대응 속에서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주거양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또한 이러한 삶과 문화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의 배경 하에 과거 전통주택에서부터 근대화 이후의 여러 주택유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형을 포함한 우리 나라 주택이 가지는 공간구조의 변천을 시대적으로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통사회의 양반주택, 도시형한옥, 표준주택, 일반단독주택, 작가주택, 아파트에 이르는 다양한 주택유형을 포함하여 총 104개의 주택평면을 대상으로 공간구조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주택유형들이 보여주는 공간구조와 그 통시적 변화를 객관적이고 계량적인 방법론을 이용하여 관찰하고자 공간구문론의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주택형식에 따른 기능적 형상학을 뛰어넘는 사회학적 형태학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주거의 변천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개개의 주택형식에 대한 고려보다는 시대적 상황과 배경을 설명해주는데 용이한 대상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변화의 양상과 그러한 변화에 내재한 사회적 동인과 배경을 파악하고 이해하고자 하였다.

  • PDF

GMPLS 기반 광인터넷 제어평면의 기능 및 시스템 적용

  • Kim, Yeong Hwa;Yang, Seon Hui;Kim, Yeong Seon
    • The Magazine of the IEIE
    • /
    • v.30 no.2
    • /
    • pp.50-50
    • /
    • 2003
  • 광교환 및 광라우팅 기술은 광인터넷에 접속되는 이용자가 원하는 인터넷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대상 목적지를 찾아 최단 시간내에 접속시켜 주기 위해 광인터넷 제어평면을 이용한다 GMPLS기반 광인터넷 제어평면은 노드간 신호 유형 및 신호속도, 그리고 전송 프레임 구조 등과 무관한 호/연결 접속 능력을 제공하기 위해 기존의 계층 2.5 스위칭 구조인 MPLS개념에 계층 1스위칭 구조로까지 확장된 개념이다. 이 확장된 개념을 기능 구조화하고 시스템화하기 위해서는 표준화 상황 및 기술개발 동향을 분석하고, 노드간 상호연동성을 보장할 수 있는 현실적인 시나리오와 기능 구조를 우선 결정해야한다.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 엔지니어링 관점에서 광인터넷 제어평면의 개념 단계에서부터 시스템 단계에 이르기까지 표준화 상황, 제어평면 기능, 그리고 시스템 적용 등을 단계적으로 기술함으로서, 제어평면 관련 광인터넷 시스템에 좀더 가까이 다가서고자 한다.

GMPLS 기반 광인터넷 제어평면의 기능 및 시스템 적용

  • 김영화;양선희;김영선
    • The Magazine of the IEIE
    • /
    • v.30 no.2
    • /
    • pp.160-168
    • /
    • 2003
  • 광교환 및 광라우팅 기술은 광인터넷에 접속되는 이용자가 원하는 인터넷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대상 목적지를 찾아 최단 시간내에 접속시켜 주기 위해 광인터넷 제어평면을 이용한다 GMPLS기반 광인터넷 제어평면은 노드간 신호 유형 및 신호속도, 그리고 전송 프레임 구조 등과 무관한 호/연결 접속 능력을 제공하기 위해 기존의 계층 2.5 스위칭 구조인 MPLS개념에 계층 1스위칭 구조로까지 확장된 개념이다. 이 확장된 개념을 기능 구조화하고 시스템화하기 위해서는 표준화 상황 및 기술개발 동향을 분석하고, 노드간 상호연동성을 보장할 수 있는 현실적인 시나리오와 기능 구조를 우선 결정해야한다.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 엔지니어링 관점에서 광인터넷 제어평면의 개념 단계에서부터 시스템 단계에 이르기까지 표준화 상황, 제어평면 기능, 그리고 시스템 적용 등을 단계적으로 기술함으로서, 제어평면 관련 광인터넷 시스템에 좀더 가까이 다가서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Plan Type of the Urban LDK House in Japan - By the Combination of Plan Composition Elements - (일본 도시LDK형 주택의 평면유형에 관한 연구 - 평면구성요소의 조합을 통해서 -)

  • Park, Chan;Kim, Jeong-Gyun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 /
    • v.24 no.1
    • /
    • pp.41-49
    • /
    • 2013
  • In this research, a representative type of the housing plan was extracted on the basis of elements that exert the influence on the discrimination of the plan type, in other words, plan composition. Firstly, 'connection type of the room' and 'composition type of LDK (living room, dining room and kitchen)' were selected as elements of the plan type. Secondly, three forms of 'connection type of the room' became clear namely 'middle corridor type', 'living room centered type' and 'entrance hall type', as the factors that discriminate plan composition specifically. Thirdly, 'LD/K type' and 'L/D/K type' were confirmed as the factors in 'composition type of LDK'. Finally, four combinations of plan type, such as 'living room centered type-LD/K type', 'middle corridor type-LD/K type', 'living room centered type-L/D/K type' and 'entrance hall type-LD/K type' were confirmed as the representative types. These four combinations are the representative plan types of the urban LDK houses in Japan.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Experience Exhibition Based on Tangible User Interface (TUI(Tangible User Interface)기반의 어린이 체험전시 특성 분석 연구)

  • Lee, Tae-Eun;Lee, Chang-Woo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3
    • /
    • pp.341-348
    • /
    • 2020
  • This study is a basic research towards diffusion of discourse regarding TUI-based experience exhibition. In that purpose this study tries to find out the development type of children's experience exhibition using TUI by analyzing children's experience exhibition phenomena that are changing in digital environment. For the sake of this research, cases of experience exhibitions were analyzed and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based on TUI(Tangible User Interface) and on the types of tangibles. As results of this study, TUI elements were found in the order of interactive planes, connection of bits and atoms, and environmental media and Tangibles were ranked in the order of stuff, planes, devices, and space types. This fact shows that TUI is actively used in experience exhibitions where children's active participation and extended experience is necess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