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평균주가

Search Result 8,034,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Studies on the Hereditary Characters and Some Economical Traits of Korean Native Ogol Fowl IV. Body Growth and Meat Production Ability (한국재래오골계의 유전 및 경제형질에 관한 연구 IV. 체성장과 산육능력)

  • 한성욱;오봉국;김상호
    • Korean Journal of Poultry Science
    • /
    • v.15 no.1
    • /
    • pp.1-19
    • /
    • 1988
  • A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meat production ability of Korean native Ogol fowl (Natural Monument No, 265).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provide basal data necessary for preserve of purebred and improvement of meat production ability of this breed. A total 300 chickens were used in this study. All the chickens were ad libitum fed broiler starter during period from 0 to 4 weeks of age and broiler finisher during period from 5 to 16 weeks of age. The investigated items are as follows; body weight; growth rate: weight of edible end inedible parts; and body shape components.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verage body weight in male, female, and unsexed, of native Ogol fowls were $659.0{\pm}154.9$, $588.3{\pm}68.0$ and $623.7{\pm}121.9$ at 8 weeks of age, and $938.1{\pm}72.6$, $810{\pm}104.4$ and $874.1{\pm}109.4$g at 10 weeks of age, respectively. 2. The growth rates, unsexed, during periods 2~4, 4~6, 6~8 and 8~10 weeks of age were 166, 106, 41 and 40%, respectively. 3. The growth pattern of total edible parts in both sexes were highly significant by weeks. Total weight of edible parts in male and female were $395.4{\pm}$ and $355.6{\pm}42.0$g at 8 weeks of age, $597.5{\pm}$47.2 and $518.7{\pm}98.5$69.7g at 10 weeks of age. Percentage of total edible parts, unsexed, were 60~63% of body weight during periods from 8 to 10 weeks of age. 4. Edible giblet, unsexed, at age of 8 and 10 weeks were 4~6% of body weight. 5. Percentage of body weight of inedible part were on the decreased by weeks. The amount of blood blooded, feather plucked, inedible viscera and total inedible parts, unsexed, at 8 weeks of age were 4, 7, 12 and 31% of live body weight, respectively. 6. Except breast angle and shank diameter, the other body shape components significantly grew from 2 to 10 weeks of age. Different between male and female at 8 weeks of age were significant in breast girth, keel length, drumstick girth and shank diameter. 7. In both sexes, high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live body weight and several other body shape component, i. e., breast girth, drumstick girth, and edible part.

  • PDF

Correlation Analysis with Modified Barthel Index and Motor Assessment Scale in Stroke Patients (뇌졸중환자의 기능평가척도로서의 MBI와 MAS의 상관성분석)

  • Ko, Seong-Gyu;Jun, Chan-Yong
    •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 /
    • v.20 no.1 s.37
    • /
    • pp.52-59
    • /
    • 1999
  • 연구목적 : 뇌졸중환자에 기능회복도의 측정을 위해 가장 신뢰도가 높은 MBI에 대해서 순수하게 뇌졸중환자의 운동기능평가만을 위해 고안된 MAS의 상관성을 각 기간별로 분석하여 MAS의 운동기능평가척도로서의 객관성에 대해 연구한다. 또 한편으로 경과시간에 따른 운동기능 회복도의 차이를 전체그룹과 사상그룹에서 평가한다. 연구방법 : 1998년 1월부터 1998년 6월까지 6개월에 걸쳐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속한방병원 내과에 입원하여 뇌졸중으로 진단된 환자 중 의식과 언어상태가 명료한 3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입원직후 사상의학과에 의뢰하여 QSCCII 시스템에 의하여 체질진단을 받은 후 본원 운동기능평가실에서 입원직후, 입원 후 2주와 4주 등 3회에 걸쳐 Modified Barthel Index(MBI)와 Motor Assessment Scale(MAS)을 시행하였다. 각 환자에 대한 검사는 2명의 한방순환기내과 전문의와 전공의에 의해 환자에 대한 사전 정보 없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 통계처리는 상관분석을 위해서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사상체질에 있어서 각 경과시간에 따른 점수변화는 Repeated ANOVA, 일반적특성 분석에는 Descriptive analysis가 사용되었고, 프로그램은 SPSS/PC+ 7.5 version을 사용하였다. 1. 뇌졸중 환자의 사상의학적인 분포는 태음인이 56.3%로 가장 많았고, 소양인이 28.1%, 소음인이 12.5%, 태양인이 3.1%이었으며, 연령별로는 50대가 32.6%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연령은 60.9세였다. 2. 경과시간에 따른 사상체질간의 MBI, MAS 평균점수변화는 MBI, MAS 모두 반복측정 분산분석 결과 입원당시와 2주 후, 입원당시와 4주 후에서 모두 P<0.001의 범위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경과시간과 사상체질간의 교호작용은 없었다. 3. MBI, MAS 모두 각 항목과 기능별 분류군에서도 경과시간에 따른 평균점수의 변화는 P<0.001 범위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여 한방치료의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4. MBI와 MAS의 경과시간별 Pearson 상관성 분석결과 입원당시의 MBI와 입원당시의 MAS에서, 2주 후의 MBI와 입원당시, 2주 후, 4주 후의 MAS에서, 4주 후의 MBI와 입원당시, 2주, 4주 후의 MAS에서 모두 높은 상관성을 보여, 두 평가방법 간에는 상관성이 높다고 본다.

  • PDF

Accuracy evaluation of llluminance Calcuation methods Compared with the Monte-Carlo Simulation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위한 기준으로 한 조도 계산법의 정확도 평가)

  • 김창섭;심상만
    • Th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0 no.2
    • /
    • pp.45-53
    • /
    • 1996
  • 평균조도 계산법 중에서 국내에서 주로 사용되는 3배광법과 ZCM의 정확도를 비교하고, 그 적용한계를 파악하였다. 비교방법은 전반확산형 조명기구와 직접식 조명기구에 대하여 3배광법과 ZCM에 의한 조명률을 계산하고, 이 값들을 이용하여 여러 상황하에서의 평균조도를 계산하였다.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으로 동일상황에서의 조도값을 구하고, 이 값과 3배광법과 ZCM의 조도값을 각각 비교하였다. MCS법의 정확도는 Moon위 해석적인 방법과 비교하여 입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방의 크기에 따른 평균조도 비교에서 전반확 형 조명기구와 직접식 조명기구의 경우 3배광법 보다 ZCM이 평균조도 오차가 적었다. 2. 광원의 수 변화에 따른 평균조도 비교에서 직접식 조명기구의 경우 3배광법은 광원의 수가 증가할수록 평균조도 오차가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였고 ZCM 은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3. 실내면 반사율 변화에 따른 비교에서 직접식 조명기구의 경우 오차 범의가 3배광법에서 크고 ZCM에서 적게 나타냈다. 4. 방의 형태 변화에 따른 평균조도 비교에서 직접식 조명기구의 경우 방의 폭이 좁고 길이가 긴 공간에서 3배광법과 ZCM모두 오차가 크게 낱났다. 또 정방형에서 가까울수록 오차는 작아지면서 3배광법 보다 ZCM의 오차가 적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에서 혼용되고 있는 3배광법과 ZCM중에서 정확도가 높은 ZCM선택이 바람직하다.

Dual Plate Fixation for Periprosthetic Femur Fracture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대퇴골 삽입물 주위 골절의 이중 금속판 고정술)

  • Kim, Dong Hwi;Cha, Dong Hyuk;Ko, Kang Yeol
    •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 /
    • v.56 no.1
    • /
    • pp.26-33
    • /
    • 2021
  •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results of dual plate fixation for periprosthetic femur fracture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TKA). Materials and Methods: From October 2007 to February 2013, 23 cases of periprosthetic femur fracture after TKA were treated at the author's hospital. There were 13 cases of fixation using a medial and lateral dual plate when the stability of the fracture site could not be achieved by one side fixation with a follow-up of more than one year. The cases included no loosening of the femoral component in fractures that were categorized as Lewis-Rorabeck classification II and supracondylar comminuted fractures and elongation of the fracture line to the lateral epicondyle of the femur or stem in the medullary canal. The mean age was 72 years (65-82 years), and 11 cases were female. Three cases had a stem due to revision. The mean bone marrow density was -3.2 (-1.7 to -4.4), and the mean period from primary TKA to periprosthetic fractures was 28 months (1-108 month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23 months (12-65 months). The medial fracture site was first exposed via the subvastus approach. Second, the supplementary plate was fixed on the lateral side of the fracture using a minimally invasive plate osteosynthesis technique. The average union time, complications, and Hospital for Special Surgery Knee Score (HSS) at the last follow-up were evaluated. Results: The mean union time was 17.4 weeks (7-40 weeks). Two cases showed delayed bone union and nonunion occurred in one case, in whom bone union was achieved three months later after re-fixation using a dual plate with an autogenous bone graft. The mean varusvalgus angulation was 1.67 degrees (-1.2-4.9 degrees), and the mean anterior-posterior angulation was 2.86 degrees (0-4.9 degrees) at the last follow-up. The mean knee range of motion was 90 degrees, and the HSS score was 85 points (70-95 points) at the last follow-up. Conclusion: Dual plate fixation for periprosthetic femur fractures that had not achieved stability by one side plate fixation after TKA showed a good clinical result that allowed early rehabilitation.

The Changes of Dietary Intakes in the Defectors from North Korea (탈북 귀순자들의 영양소 섭취변화에 관한 연구)

  • 조여원;홍주영;임정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 /
    • v.2 no.4
    • /
    • pp.470-476
    • /
    • 1997
  • 본 연구는 북한 식량사정의 실상과 탈북자들의 북한에서의 영양상태 및 남한에서의 정착 후 영양섭취 변화와 이에 따른 건강상태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탈북한 일가족 10명을 대상으로 하여, 식이섭취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탈북직후와 4개월 후 의료기관에서 검진한 결과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이들의 체위는 남한의 평균 체위보다 매우 왜소하였으며. 4개월동안 평균 4.5kg 정도의 체중이 증가하였다. 이들의 식생활은 북한에서 주로 감자, 강냉이밥, 강냉이로 만든 국수, 산나물등 식물성 식품위주의 식사였으나 남한에서는 동물성 식품의 섭취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북에서 이들의 평균 열량섭취량은 한국인 영양권장량에 비교할 때 50% 정도로 매우 낮은 수준을 보였으며, 남한에서도 열량섭취는 증가하지 않았다. 그러나 대부분의 영양소의 섭취는 북한과 비교할 때 남한에서 증가를 보였고, 특히 콜레스테롤 섭취는 급격한 증가를 보였다. 탈북직후의 이들 혈중 알부민, 포토당,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리트 농도는 대부분 정상이었으며, 혈액의 지질농도도 정상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북한 식량난은 더욱 심각할 것으로 추측할 수 있으나 이들의 거주할 당시의 북한에서는 하루 2끼 식사에 강냉이를 주로 하는밥이나 죽, 그리고 나물 등을 주로 먹은 것으로 나타났다. 명절은 김일성 생일, 김정일 생일, 8.15해방절, 조국 해방전쟁 승리일등이 있고, 이런 명절에서는 설탕, 밀가루등 특별배급이 추가되나 특별한 명절음식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북한에는 양념이 매우 귀하며, 특히 고춧가루가 귀해서 주로 백김치를 담가서 먹고 있었다. 현재 북한에서 가장 필요로 하는 것으로 쌀, 잡곡류, 고기 그리고 참깨 등의 양념류와 의약품 및 비누 등을 제시하였다. 현재 자료수집이 극도로 제한된 상황에서 북한 주민들의 정확한 식이섭취 상태와 영양상태 판정은 불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대상자가 극히 소수이고, 실제로 이들이 북한에서 소외된 계층이었으므로 본 연구결과가 북한의 사정을 정확히 대표한다고 할 수는 없으나 이들의 조사가 앞으로 북한주민의 영양상태를 판정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되었으면 한다. 앞으로 통일에 대비하여 북한 주민들의 식생활의 양상과 정확한 영양상태에 대해 많은 연구가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 PDF

Comparison of yearly Water Surface Evaporation in The Yongdam Dam Experimental Basin (용담댐시험유역에서의 연도별 수면증발량 비교)

  • Kim, Yong Kuk;Yoon, Tae Seong;Cho, Hyoung Jin;Lee, Hyun 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97-397
    • /
    • 2017
  • 수면증발량은 수자원 계획 및 활용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하지만, 현재 수면증발량관측 지점은 용담댐, 안동댐뿐이다. 이중 장기간 관측 자료가 축적된 용담댐 지점을 대상으로 연도별 수면증발량 관측 자료를 비교 검토 하고자한다. 용담댐에 부착되어 있는 수면증발량계는 0.03 mm 분해능을 가지는 부력식 수위계(BYL-EV250, 대한민국)를 사용하고 있으며, 2014 년도 2 월부터 17 년 현재까지 관측을 하고 있다. 관측 자료로 보았을 때, '14년도 가장 많은 증발량이 발생된 달은 9월(102.63 mm/month), 적은 달은 2월(22.99 mm/month) 이였으며, '15, '16년는 각각 100.91 mm/month, 114.38 mm/month로 8월이 높고, 29.11 mm/month, 25.83 mm/month로 2월이 가장 적었다. 아래 표는 14~16년도 월평균 일 증발량 및 총 수면증발량을 나타낸 것이다. 월별 일평균 증발량을 비교한 결과 0.92~3.08 mm/day로 나타났으며, 5월부터 10월까지 많은 량(약 2.9 mm/day)이 증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 월평균 일 증발량은 9 월이 3.08 mm/day 로 증발량이 많고, 2 월이 0.92 mm/day로 적은 증발량의 관측이 되었다. 총 수면증발량은 8 월이 92.73 mm/month 으로 증발량이 가장 높았으며, 2 월이 25.97 mm/month 로 가장 적은 증발량이 관측되었다. 저수지 수면에서의 증발은 풍속, 수온, 대기온도, 일사량 등에 영향을 많이 받음에 따라 수온이 가장 낮은 2월에 증발량이 가장 적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omparison of Nutritional Status of the Daejeon Metropolitan Citizens by Frequency of Eating Out (외식 빈도에 따른 대전시민의 영양상태 비교)

  • Suh, Yoon-Suk;Kang, Ji-Hyun;Kim, Han-Sook;Chung, Young-Jin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43 no.2
    • /
    • pp.171-180
    • /
    • 2010
  •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the adults according to frequency of eating out. One day food intake data were collected by 24 hr recall dietary survey and body size, blood pressure and some blood lipids and other constituents were measured on 137 Daejeon metropolitan citizens 20 yrs old and above who visited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or physical examination during the period of December 6, to December 15, 2008. The frequency of eating out were categorized into four levels: less than once a week, once a week, 2-3 times a week, 4 times a week and above. Body mass Index, waist circumference, blood pressure, blood lipid, blood glucose, GPT and GOT did not showed an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eating out of the subjects. Though, systolic blood pressures and serum levels of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showed a little tendency to be high in the subjects eating out 2-3 times a week. In the contrary, serum triglyceride level tended to be low in the same group. The subjects eating out 4 times a week and over took more total protein, animal protein, animal fat, phosphorus and vitamin $B_2$ than any other group. Also protein energy ratio was the highest in the group eating out 4 times a week and above and they took more animal food group, other food group, beverages teas and alcohols than other groups eating out. These results showed that higher frequency of eating out leads to higher intake of protein, fat, phosphorus, animal food groups and other food groups (oils, beverages, seasonings) and to lower intake of vitamin C and plant food groups. It, thus, suggested that the strategy for restaurant business is required to provide the menu substituted animal food by more plant food.

2016 Drought assessment through Drought Information Analysis System (가뭄정보분석시스템에 의한 2016년 생공용수 가뭄 분석)

  • Park, Jae Young;Jeon, Keun Il;Lee, Yong Shin;Nam, Woo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52-352
    • /
    • 2017
  • 2014~2015년에 걸쳐 발생한 가뭄으로 농업용수뿐만 아니라 생공용수 공급 측면에서도 어려움이 발생하였다. 기후변화 등의 요인으로 이러한 상황이 향후에도 발생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가뭄현황 및 전망 정보 생산을 통한 가뭄 대비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6년 기상 및 수문상황을 분석하고, 생공용수 부문 가뭄예경보를 위해 활용중인 K-water 가뭄정보분석시스템을 통해 생산된 2016년 가뭄 정보를 분석하였다. 2016년 전국 강수량은 1966~2015년 평균 대비 92.2%에 해당하는 강수량을 기록하였다. 지역적으로는 중부지방은 대체로 평균에 미치지 못하는 강수량을, 중부이남 지역은 평균 이상의 강수량을 보였다. 경기도 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강원도 일부 지역과 충남 서부 지역의 강수량 부족이 심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강수에 의한 2016년 자연유출량을 중권역 단위로 산정한 결과 1967~2015년 평균 대비 91% 수준의 유출량이 발생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는 평균적으로 강수량이 많은 6월과 8월에 강수가 적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특히 6개 주요 유역 중 유역면적이 가장 넓은 한강 유역은 낙동강 유역보다 약 6억톤 적은 값을 보였다. 생공용수 공급의 주요 수원인 다목적댐의 총저수량은 2014~2015년의 극심한 가뭄으로 2016년 1월 1일에 예년보다 10억톤 가량 적었다. 하지만 봄철에 예년보다 다소 많은 강수가 발생하고, 홍수기 초에도 많은 강수가 발생하여 저수상황이 다소 개선되었다. 8월의 적은 강수량으로 저수량이 지속적으로 하락하였으나 9, 10월에 걸쳐 태풍에 의한 많은 강수로 예년 대비 104.4% 수준의 저수량을 확보하였다. K-water 가뭄정보분석시스템을 통해 매월 초 생공용수 관련 가뭄현황 및 1 3개월 전망을 분석하였다. 매월 초 가뭄예경보를 위해 분석된 가뭄현황에서는 3월초, 9월초, 10월초, 11월초에 보령댐을 수원으로 하는 충남 서부 8개 시 군에서 가뭄상황 '주의'가 발생했고, 6월초 강원도 강릉시 상수원인 오봉저수지 저수량이 평년보다 낮아 가뭄상황 '주의'가 발생하였다. 언론보도를 바탕으로한 가뭄 발생 상황을 가뭄정보분석시스템을 통해 판단한 가뭄 상황과 비교한 결과 가뭄정보분석 시스템에 의한 가뭄인지가 신뢰할 수 있는 수준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가뭄정보분석시스템에 의한 1 3개월 가뭄전망과 1 3개월 후 실제 가뭄 상황을 비교한 결과 전망 정확도가 대체로 높아 가뭄정보분석시스템에 의한 가뭄전망이 신뢰할 만한 수준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Passive Control of the Vortex Shedding behind a Rectangular Cylinder Near a Wall (벽면에 근접한 사각주 후면의 와류 유동장 수동제어)

  • Lee, Bo-Sung;Kim, Tae-Yoon;Lee, Do-Hyung;Lee, Dong-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2 no.6
    • /
    • pp.16-22
    • /
    • 2004
  • Unsteady vortex shedding behind a rectangular cylinder near a wall influences both increasing of drag and dynamic stability of heavy vehicle, bridge or building. Incompressible Averaged Navier-Stokes equation with modified ${\varepsilon}-SST$ turbulence model is adapted for investigating the flow field between the rectangular cylinder and the wall. In case the vortex shedding happens, not only the averaged maximum velocity is higher than other cases, but the position of the maximum velocity is closer to the lower surface of rectangular cylinder. On this study, it is confirmed that the vortex shedding behind a rectangular cylinder can be suppressed by the passive control method added by horizontal and vertical fences to the lower surface of rectangular cylinder.

Stochastic simulation of future sub-hourly rainfall using Poisson cluster rainfall model (포아송 클러스터 강우 모형을 이용한 미래 시단위 이하 강우의 추계학적 모의)

  • Jeongha Park;Dongkyu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84-284
    • /
    • 2023
  • 도시 침수의 발생과 규모는 도시 유역이 가지는 짧은 도달 시간으로 인하여 주로 시단위 이하의 짧은 지속시간의 강우의 극한 및 변동성에 따라 결정된다. 미래 기간에 대하여 도시 수문 시스템의 적정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시단위 이하 강우의 특성을 살펴보아야한다. 그러나 기후변화 영향 평가 도구로 활용되는 기후 모형들은 대부분 일단위의 결과물을 제공하여 시단위 이하의 미세 규모 강우의 특성을 나타낼 수 없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기후 모형 모의 결과와 포아송 클러스터 강우 모형을 이용하여 미래 시단위 이하 강우 시계열을 모의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첫째로, 포아송 클러스터 기반 강우 생성 알고리즘과 폭풍우 재배열 알고리즘을 결합한 최신 모형을 선정하였다. 해당 모형은 광범위한 시간 규모에서 관측된 강우량의 주요 통계와 극값을 재현할 수 있는 모형이다. 그 다음 강우 모형에 적합시킬 관측 강우량 통계(평균, 분산, 공분산, 왜도, 우기 비율)를 계산하였다. 둘째, 강우 통계 간의 선형 관계를 도출하였다. 여기서는 클러스터에 있는 모든 관측소의 통계를 사용하여 회귀의 신뢰도를 높였다. 셋째, 강우 평균 조정을 위한 Change Factor는 제어(2000~2019년) 및 미래(2041~2070년) 기간의 기후 모형 자료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넷째, 조정된 15분 강우 평균은 관측 평균에 Change Factor을 곱하여 계산하고 조정된 강우 평균과 통계 간의 관계를 사용하여 미래 강우 통계 세트를 추정하였다. 여러 통계 세트를 생성한 후 마지막으로 미래 통계에 강우 모형을 적합시켜 최종적으로 미래 시단위 이하 강우 시계열을 모의하였다. 이 방법은 CMIP6에 참여하는 기후 모델의 기후 예측 데이터를 사용하여 용산(415) 및 동래(940) AWS 관측소에 적용되었다. 두 관측소의 미래 강우 모의 결과, 시단위 이하 시간 규모에서 극값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