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평가문항 분석

Search Result 966, Processing Time 0.04 seconds

대학수학능력 시험의 2~7차 실험평가 수리영역에 관한 문항분석

  • 임형
    • The Mathematical Education
    • /
    • v.32 no.3
    • /
    • pp.220-243
    • /
    • 1993
  • 고전검사이론과 문항반응이론을 사용하여 2-7차 실험정가 수리영역문항을 분석하였다. 2차부터 7차에 걸친 시험은 피험자에게 너무 어려웠으며 횟수를 거듭함에 따라 점점 더 어려워진 것으로 나타났다. 5차 실험평가 문항분석결과에서 문항 10과 15는 검토가 필요한 문항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7차 실험평가 문항분석결과에서 문항 11과 17은 검토가 필요한 문항으로 나타났다.

  • PDF

2007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서술형 평가 자료 개발

  • Kim, Tae-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 /
    • 2010.08a
    • /
    • pp.157-172
    • /
    • 2010
  • 본 연구는 현행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서술형 평가의 유형과 문제점을 분석해 보고 2007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서술형 예시 평가 문항을 개발해 보는데 목표가 있다. 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평가 자료의 분석은 수학교과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지, 서울시 교육청 보급 2010 장학자료집, 서울시내 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평가 문항을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예시 서술형 평가 문항개발은 2007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4학년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가 문항 분석의 결과는 문항 유형이 단순하고 교과서와 장학자료집의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창의성 영역의 평가는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서술형 예시평가 문항의 개발은 수학과의 내용영역과 인지적 영역뿐 아니라 교육계의 화두가 되고 있는 창의성 영역까지 평가내용으로 포함시키고자 노력하였으며 영역별 1-2 문항을 개발하였다.

  • PDF

A Web-based Evaluation System with Query Analysis. (문제분석을 이용한 웹 기반 평가시스템)

  • Heo, Eun-Ju;Han, Hyung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11a
    • /
    • pp.609-612
    • /
    • 2007
  • 정보사회와 컴퓨딩환경의 발전으로 언어, 학력, 인지도 등의 평가도구로서 컴퓨터기반의 평가환경이 보편화되었다. 특히 컴퓨터기반의 학력평가 환경을 위해서는 문항의 난이도와 변별도 등 문항의 특성을 정확히 분석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문항분석은 컴퓨터기반의 평가를 위한 양질의 문제은행 구성 및 문항과 수험자 능력의 정확한 추정과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평가를 위한 전제조건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전평가이론의 문제분석을 적용한 문제은행 시스템을 구현하였으며 수험결과를 분석하여 각 문제의 곤란도나 변별도, 문항분포도를 통하여 문제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수험자가 각 문제를 푸는데 걸린 시간을 기록하여, 수험자의 문제에 이해도를 정확히 분석하고 수험자의 추측, 랜덤 선택 등으로 인한 정답을 맞힐 가능성과 한 문제를 읽고 이해하는 시간이 너무 오래걸린 이유에 대해서도 추정하였다. 문제분석 및 수험결과의 평가 및 분석으로 교사들은 문항의 양호도를 높일 수 있고 문제은행에 저장되어 있는 문항들을 수정하고 보완하여 양질의 문항을 출제할 수 있도록 하였다.

Analysis of Summative Evaluation Objectives in Middle school Science Examination by Klopfer'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중학교 과학과 총괄 지필평가 문항의 목표 분석)

  • Park, HyunJu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36 no.2
    • /
    • pp.293-30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of the science examination of middle school 7th grade by Klopfer'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 total of 645 test items from 10 middle schools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The examination item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objectives of science education, such as behavior and contents area, question types, and the degree of difficulty. It was shown that, when the distribution of behavioral objectives was considered, the items emphasized knowledge and comprehension, and were scientific knowledge oriented. The tests consisted of multiple choice questions at a relatively high rate, compared to short answer questions. Comparing the rate of teachers' expectations to the degree of difficulty, the ratio of "top" was low and that of "medium" was high.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using various types of question and multiple levels of content and behavior enabled more effective evaluation of the diverse thinking powers and learning of the students.

  • PDF

중등수학 임용시험 평가문항과 전국 수학교육과 교과목 분석

  • Kim, Yeong-Rok;Kim, Seo-Ri;Jeong, Seok-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Conference
    • /
    • 2009.10a
    • /
    • pp.45-76
    • /
    • 2009
  • 본 연구는 1992학년도부터 2008학년도까지의 수학과 중등교사 신규임용후보자 선정 경쟁시험(이하 중등교사 임용시험)과 2009학년도의 개정 시행된 시험(2008년 11월 9일), 그리고 이에 앞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시행한 2009학년도 수학과 중등교사 임용시험 모의평가(2008년 6월 14일 시행)을 분석하고 평가문항의 내용별 분포와 적절성을 검토함으로써 수학과 중등교사 임용시험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이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수학전공과목 임용시험 출제 평가문항의 내용영역별 분류는 어떠한가? 수학과 중등교사 임용시험 평가 문항들의 각 영역별 출제 빈도수는 어떠한가? 전국 사범대학교 수학교육과의 교육과정은 어떠한가? 임용시험 평가문항들이 사범대 수학교육과의 기본 이수과목을 포함한 교육과정을 적절하게 반영하고 있는가? 향후 중등교사 임용시험의 개선점에는 무엇이 있겠는가? 각 연구문제에 대한 분석결과에 대해 심층적으로 알아보고 중등교사 임용시험 평가문항들과 전국의 사범대학교 수학교육과의 기본 이수과목들에 대한 관련성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 PDF

온라인 평가 시스템을 위한 평가문항 분류 기준에 관한 연구

  • Lee, Jae-Won;Choi, Eun 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04a
    • /
    • pp.992-995
    • /
    • 2009
  • 온라인 평가 시스템의 발전으로 오프라인을 통한 전통적인 시험에서 수준에 맞는 다양한 평가가 가능한 온라인 평가가 폭넓게 수행되고 있다. 하지만 평가문항에 대한 체계적인 유형 분류가 미흡하여 평가문항을 온라인 평가 시스템을 통해 표현하고 이기종 시스템간의 평가문항을 원활하게 공유하지 못하고 있다. 이 논문은 국내외 평가문항 유형 분류를 분석하고 온라인 상에서 평가문항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명확한 문항 분류 기준을 제시한다.

A Study on Effective Selection of University Lecture Evaluation (대학 강의평가에서 문항 추출에 관한 연구)

  • Hwang Se-Myung;Kim In-Taek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
    • v.8 no.1
    • /
    • pp.31-45
    • /
    • 2005
  • In this paper, selecting survey items was performed using three clustering methods: factor analysis, fuzzy c-Means algorithm and cluster analysis. The methods were used to extract key items from various questionnaires. The key item represents several similar questionnaires that form a cluster. Test survey was made of 120 items obtained from several surveys and it was answered by 646 students from 4 universities. Each item contains 6 choices. Applying the clustering method chose 25 items which is reduced from the original 120 items. The results yielded by three methods are very similar.

A Relative Effectiveness of Item Types for Estimating Science Ability in TIMSS-R (문항 유형에 따른 과학 능력 추정의 효율성 비교)

  • Park, Chung;Hong, Mi-Yo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22 no.1
    • /
    • pp.122-131
    • /
    • 2002
  • Recently, performance assessment that makes growing use of free response items in a large scale assessment has been emphasized. This study is an empirical examin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free response items in comparison with multiple choice items. Using the information function in Item Response Theory (IRT) framework, item information of free response items and multiple-choice items from the Third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Repeat (TlMSS-R) were obtained. Test information of the whole science area as well as each area of science contents was computed. On average, free response items yielded more information than multiple choice items, especially in earth science, physics, chemistry, and life science. This study also showed that free response items were appropriate for students in high science ability. Also, free response items estimated students' science ability more accurately than multiple choice items with smaller number of free response items.

A Study of Self-Perception on Designing in Mathematical Assessment Items of on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in Secondary School (중등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수학과 평가문항 개발에 대한 자기인식 연구)

  • Park, Mi-Yeong
    • School Mathematics
    • /
    • v.17 no.2
    • /
    • pp.331-353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xpertise of mathematic teachers in development of designing assessment items, derived from development of assessing tools, which is a part of assessing competence of mathematic teachers. Analysis was made upon the difference between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in terms of self-perception on assessment items. The assessing references of self-perception on developing in designing assessment items consist of followings: one's Beliefs and Self-Rating in designing assessment items. This investigation on self-perception was carried out by both pre-service teachers who are currently enrolled students in college and in-service teachers who are currently incumbent in secondary schools. This analysis based on 310 teachers' answers on self-perception of designing assessment items, both in- and preservice.

Analysis of Summative Evaluation Objectives in Middle School Biology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에 기초한 중학교 생물 영역 총괄 평가 문항의 목표 분석)

  • Kim, Yoon-Hee;Yoon, Ki-Soon;Kwon, Duck-Kee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34 no.1
    • /
    • pp.164-174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axonomic characteristics of objectives infered from questions of summative evaluation by analyzing those objectives with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1,711 questions of midterm and final examinations collected from 25 middle schools were analyzed to classify objective of each question.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rom the analysis of objectives in the knowledge dimension, the assessment of factual knowledge was most prevailing(67.6%) in the biology summative evaluation. In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memory assessment was most dominant(76.1%). Thus, the main objectives of evaluation leaned toward particular classes in the Bloom's revised taxonomy,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findings of earlier studies on the weights of evaluation areas. Second, the level of the objectives should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grade of middle schoolers, as their cognitive level improves with grade. In fact,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three grades in characteristics of objective taxonom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