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편평세포

Search Result 605,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Case of Branchiogenic Squamous Cell Carcinoma (새열낭종 기원의 편평세포암종 1예)

  • Park, Byung-Kuhn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 /
    • v.27 no.2
    • /
    • pp.240-242
    • /
    • 2011
  • Branchiogenic carcinoma is extremely rare and is defined as a malignant degeneration within the confines of epithelial remnants derived from the embryonal branchial apparatus. Two major diagnostic criteria are histologic proof of transitional area from normal cyst epithelium to invasive squamous cell carcinoma and absence of an identifiable primary carcinoma elsewhere. A 62-year old woman visited our department complaining of a non-tender, movable mass in left upper lateral neck. After a complete mass excision, histopathologic diagnosis of the surgical specimen was branchiogenic squamous cell carcinoma. I report a case of branchiogenic carcinoma with literature review.

Squamous Cell Carcinoma of Lung Mixed with Malignant Lvmphoma -1 Case Report- (악성림프종과 병발한 폐의 편평세포암종 -1례보고-)

  • Choe, Deok-Yeong;Son, Dong-Seop;Jo, Dae-Yu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0 no.1
    • /
    • pp.112-115
    • /
    • 1997
  • We have experienced a case of squamous cell carcinoma of lung mixed with malignant Iymphoma. The patient was a 19-years-old male. He was a non-smoker. Right pneumonectomy was done. We could not find any evidences of metastasis. The postoperative course was uneventful The tissue diagnosis was confirmed by immunohistochemical method. The Iymphoma recurred at 3 months after operation and the patient was dead at 5 months After operation because of respiratory failure.

  • PDF

Two Cases of Primary Squamous Cell Carcinoma in Parotid Gland (이하선에 발생한 원발성 편평 세포암종 2예)

  • Kim, Woo-Joo;Jung, Eun-Jae;Jung, Kwang-Yoon;Baek, Seung-Kuk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 /
    • v.25 no.2
    • /
    • pp.156-159
    • /
    • 2009
  • Squamous cell carcinoma, which is a common primary head and neck malignant neoplasm that is usually restricted to the mucosal surfaces of the upper aerodigestive tract and skin, is very unusual in the major salivary gland. Among them, few cases are regarded as primary carcinomas. In this article, we present two cases of squamous cell carcinoma in the parotid gland, who first presented with painful mass on infraauricular area.

Expression of Mutant p53 and MAGE-3 Gene Products in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식도 편평세포암종에서 변형 p53 단백과 MAGE-3 유전자 산물의 발현)

  • 조성래;양일종;이충석;전도환;장희경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4 no.1
    • /
    • pp.64-71
    • /
    • 2001
  • 배경: 최근 치료법의 진보에도 불구하고 진행성 식도암의 예후는 5년 생존율이 10% 이하로매우 불량하기 때문에 식도암에 대한 새로운 치료방법의 하나로 암면역 치료가 대두되고 있다. 암면역 치료를 위해서 MAGE 등 종양 특이항원이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아직 이에 대한 연구가 없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흉부외과에서 수술 치험한 125례의 식도암중 병리조직 보관상태가 양호한 편평세포암 79례를 병기에 따라(1병기 19례, IIa병기 19례, IIb병기 10례, III병기 21례, IV병기 10례) 무작위로 추출하고 대조군으로 평활근종 20례와 정상 식도점막 20례를 대조군으로 하여 DO7 단클론 항체와 항 MAGE-3 단클론 항체 57B를 이용하여 면역조직화학검사를 시행하여 변형 p53 단백과 MAGE-3 유전자 산물의 발현율을 조사하고 식도암 조직에서 질병의 진행도를 반영하는 병기에 따른 발현율 및 변형 p53 단백과 MAGE-3 유전자 산물의 발현율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결과: 식도암조직에서 변형 p53 단백과 MAGE-3 유전자 산물의 발현율은 각각 51.9%, 60.8%의 발현율을 보였으나 식도평활근종과 정상 식도점막에서는 한례도 발현되지 않아 변형 p53 단백과 MAGE-3 유전자 산물은 대조군에 비해 식도암 조직에서 의미있게 발현되었다(p<0.001). 변형 p53 단백과 MAGE-3 유전자 산물의 발현은 I병기에서 68.4%, 52.6%, IIa병기에서 57.9%, 47.6%, IIb병기에서 60%, 70%, III병기에서 33.3%, 71.4%, IV병기에서 40%, 70% 각각 발현되어 병기에 따른 발현율의 차이는 없었다(p=0.193, p=0.452). 식도암 조직내에서 변형 p53 단백과 MAGE-3 유전자 산물의 발현간에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679). 결론: 이상의 결과로 변형 p53 단백과 MAGE-3 유전자 산물의 발현은 식도암에서 예후인자로서의 역할은 할수 없으나 식도 편평세포 암조직에서만 특이하게 높은 빈도로 발현됨으로써 식도암도 면역치료의 대상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