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편평세포

검색결과 605건 처리시간 0.027초

Nude Mouse 에 이종이식한 두경부 편평상피세포암의 분화에 대한 Retinoids의 작용 (The Modulation of Squamous Cell Differentiation by Retinoids in Human Squamous Cell Carcinoma Xenografts)

  • 김상윤;유증주;유근식;주준범;최두영;남순열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19-126
    • /
    • 1999
  • Objectives : To analyze the effect of retinoids on the differentiation in HNSCC xenografts. Materials and Methods : RA (20mg/kg) or 13-cis-RA (60mg/kg) was orally administered once in a day for 30 days in the xenograft model we prepared using athymic nude mice with AMCHN-4 and -6. We carried out H & E staining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ith the monoclonal antibody against involucrin and cytokeratin 10. Results : Both RA and 13-cis-RA were found to suppress the differentiation of AMC-HN-4. Interestingly, RA enhanced the differentiation of AMC-HN-6, although 13-cis RA did not exhibit any effect on the differenti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vivo effect of retinoids on the HNSCC growth and differentiation might be various. Retinoids-induced P450 in AMC-HN-6 might be one of the mechanisms to explain the reason why the retinoids exhibit various functions in the HNSCC.

  • PDF

사람구강편평상피암세포에서 유지놀에 의한 세포자멸사 유도 효과 (The effect of eugenol on the induction of apoptosis in HSC-2 human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 김용호;박봉수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523-529
    • /
    • 2015
  • Objectives: Oropharynx tumors(oral cancer), are caused by tobacco, alcohol consumption, and high-risk human papillomavirus(HPV) infection. Oral squamous cell carcinoma(OSCC) is the most common type of oral cancer and frequently arises from the mucosa of the oropharynx and oral cavity. Despite advances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chemotherapy, radiotherapy, and surgery) of oral cancer, over the past two decades, the overall survival rates remains at about 60%. Methods: We pretreated HSC-2 cells with various doses of exposed the cells to eugenol and then we measured cell viability by MTT assay. Results: Cell proliferation was markedly inhibited after eugenol treatment compared to the control. The majority of HSC-2 cells in the control groups showed normal morphology with round regular nuclei. In contrast, apoptotic bodies were seen in the 0.5 mM, 1 mM, 2 mM group. However, the pretreatment with eugenol increased HSC-2 cells apoptosis according to dose-dependency. PI staining quantitatively confirmed the anti-apoptotic effects of propofol. The expression levels of cleaved caspase 3, and Bak significantly increased in HSC-2 cells. Conclusion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eugenol could be a potential anti-cancer agent for human OSCC and provide valuable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novel anticancer strategy.

Pseudomonas aeruginosa exotoxin A(PEA)가 사람혀 편평암종세포에서 나타나는 세포자멸사 작용 (Apoptotic effect of Pseudomonas aeruginosa exotoxin A in human tongue squamous cell carcinoma(SCC) 25 cells)

  • 최별보라;김규천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601-608
    • /
    • 2014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apoptotic effects of Pseudomonas aeruginosa exotoxin A(PEA) in squamous cell carcinoma(SCC) 25 cells. Methods : Cell growth reduction and apoptosis induced by PEA were confirmed by WST-1 assay, Hoechst 33258 staining, flow cytometry analysis, and Western blot assay. Results : The PEA treatment decreased the cell viability in a dose and time dependent manner: control; $100{\pm}0^e$(p<0.01), 0.1875 nM; $87{\pm}4.36^d$(p<0.01), 0.375 nM; $82{\pm}0.58^d$(p<0.01), 0.75 nM; $72{\pm}1.67^c$(p<0.01), 1.5 nM; $51{\pm}1.53^{bc}$(p<0.01), 7.5 nM; $31{\pm}1.20^{ab}$(p<0.01), 15 nM; $26{\pm}0.67^a$(p<0.01), control; $100{\pm}0^a$(p<0.05), 24 h; $51{\pm}1.53^b$(p<0.05), 48 h; $16{\pm}0.5^c$(p<0.05), 72 h; $12{\pm}1.67^d$%(p<0.05). The PEA was observed on SCC 25 cells with the 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IC50) value of 1.5 nM at 24 hours. The PEA treated SCC 25 cells demonstrated several types of apoptotic indications, such as nuclear condensation, the increase of sub G1, and the cleavage of PARP-1 and DFF 45. Conclusions : PEA showed anti-cancer activity against SCC 25 cells via apoptosis. PEA may potentially contribute to human oral cancer treatment.

농어 (Lateolabrax japonicus) 피부계 지지세포와 선세포의 미세구조 (Fine Structure of the Integumentary Supporting Cell and Gland Cell of the Sea Bass, Lateolabrax japonicus (Teleostei: Moronidae))

  • 이정식;김재원
    • Applied Microscopy
    • /
    • 제29권4호
    • /
    • pp.417-426
    • /
    • 1999
  • 농어의 피부는 크게 상피층과 진피층으로 구분된다. 상피층은 지지세포와 단세포선들로 구성된다. 지지세포는 표면세포, 중간세포 및 기저세포로 구분된다. 선세포는 점액분비세포와 곤봉상세포로 구분되는데, 이들의 분포밀도는 곤봉상세포가 더 높다. 표면세포는 편평형 또는 입방형이며 세포질에는 조면소포체가 잘 발달되어 있으며, microridge가 뚜렷하다. 표면세포들은 membrane interdigitation구조와 부착반에 의해서 다른 세포들과 연결되어 있다. 중간세포는 난형이며, 전자밀도는 다른 지지세포 보다 높다. 기저세포는 입방형이며, 세포소기관의 가운데 미토콘드리아의 발달이 현저하며, membrane interdigitation 구조들이 발달되어 있다. 점액분비세포는 막으로 싸인 다수의 분비과립들을 함유한다. 곤봉상세포의 세포질은 수질부와 피질부로 구분되는데, 수질부에서는 핵, 세포소기관, 중심공포가 관찰되며, 피질부에서는 발달된 장미세섬유들이 관찰된다. 곤봉상세포들은 잘 발달된 membrane interdigitation구조와 부착반에 의해서 다른 세포들과 연계되어 있다.

  • PDF

돌돔 (Oplegnathus fasciatus) 피부상피층에 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Electron Microscopic Study on the Integumentary Epidermis of the Parrot fish, Oplegnathus fasciatus)

  • 김재원;백근욱;백혜자
    • Applied Microscopy
    • /
    • 제34권2호
    • /
    • pp.131-137
    • /
    • 2004
  • 돌돔의 피부는 크게 상피층과 진피층으로 구분되며, 상피층은 지지세포, 선세포 및 부속세포로 구성된다. 지지세포는 표면세포, 중간세포 및 기저세포, 선세포는 점액세포와 곤봉상세포, 그리고 부속세포는 염세포가 관찰된다. 표면세포는 편평형 또는 입방형으로서 타원형의 핵을 가지고, 미세융기(microridge)들이 발달되어 있으며 glycocalyx가 관찰된다. 중간세포는 타원형에 가깝고 원형에 가까운 핵을 가진다. 기저세포는 원주형으로서 핵은 세포질의 상부에 위치한다. 점액세포는 타원형으로 세포질은 타원형의 분비과립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AB-PAS (pH 2.5)에 청색으로 반응하였다. 곤봉상세포는 세포질에 많은 액포와 미세섬유다발을 관찰할 수 있다. 부속세포인 염세포 세포질의 대부분이 미토콘드리아로 가득 채워져 있다. 색소세포는 세포질에 전자밀도가 높은 색소과립들을 함유한 종류와 반사소판을 함유한 종류로 구분된다.

비소세포폐암 세포주에서 고용량 Cisplatin 세포독성에 대한 Glutathione의 효과 (The Effect of Glutathione on High Dose Cisplatin-Induced Cellular Toxicity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Cell Lines)

  • 이승일;부귀범;장대용;정기영;서정균;이병래;정종훈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2권5호
    • /
    • pp.463-474
    • /
    • 2002
  • 배 경 : 전체 폐암의 75%를 차지하고 있는 비소세포폐암의 항암요법은 Cisplatin을 근간으로 하여 최근 여러 가지 새로운 항암제들이 개발되어 사용하고 있다. Cisplatin의 충분한 항암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용량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것이 용량 제한성 (dose-limiting) 부작용으로, 결국 악성종양세포와 정상세포를 구분할 수 없어 발생하게 되며 이는 한번의 고용량(single high dose) 및 축적되는 용량(cumulative dose) 모두에서 생길 수 있어 최근 화학적 보호제제들을 사용 하여 이러한 cisplatinn의 용량 제한성 부작용들을 최소화시키면서 고용량의 cisplatin을 시도해 항암효과를 강화시키려는 연구가 많이 시행되고 있다. 방 법 : 비소세포폐암세포주(폐선암과 폐편평상피암)와 정상 폐포상피세포주에서 각각 단계적으로 cisplatin용량을 고용량으로 증량시키면서 세포독성효과를 먼저 비교 하고 다시 glutathione을 함께 투여하였을 때 glutathione이 고용량 cisplatin의 세포독성에 미치는 효과를 각 세포주들에서 비교하였다(SPSS 10.0 ANOVA test p<0.05) 결 과 : 폐선암세포주는 결과의 차이가 심해 비교하기가 힘드나 나타난 결과로 볼 때 glutathione의 투여는 cisplatin의 항암효과를 상쇄시켜 임상에서 투여하는데는 문제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폐편평상피암세포 주와 정상폐상피세포주 두가지를 같은 cisplatin 농도와 glutathione 농도에서 비교하였는데 Cisplatin 농도는 0, 30, 60, 125 ${\mu}g$/ml의 4 단계의 농도에서 비교 하였고 결과는 편평상피폐암세포주에서는 glutathione 농도 100 ${\mu}g$/ml 에서 76.6-81.5%, 250 ${\mu}g$/ml에서 80.5-93.2% 정도로 생존율을 나타내고 정상폐상피세포주에서 glutathione농도 100, 250 ${\mu}g$/ml 모두에서 91.5-100%까지 90%이상의 생존율을 유지하였다. (ANOVA test p<0.05) 결 론 : glutathione은 정상폐상피세포주에서 고농도 cisplatin에 의한 세포독성에 대한 보호효과가 크다.

인체 상피 세포암의 일차 배양을 이용한 방사선 민감도 측정 (In Vitro Intrinsic Radiosensitivity Of Human Squamous Cell Carcinoma in Primary Culture)

  • 최은경;양광모;이병용;장혜숙;김상윤;남주현;유은실;이인철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2권1호
    • /
    • pp.27-31
    • /
    • 1994
  • 종양의 조직학적 형태에 따라 또 같은 조직의 종양에서도 각 환자에 따라 방사선 치료에 대한 반응 정도에는 많은 차이가 관찰된다. 이러한 방사선 감수성을 예측하는 한 방법으로 각 환자에서 떼어낸 종양조직을 일차 배양하여 방사선 조사에 의한 세포 생존 곡선을 구한뒤 2Gy에서의 생존(SF2)을 얻었다. 방사선 치료가 계획된 두경부 종양과 자궁경부암 환자의 종양 조직을 얻어 기계적인 방법으로 미세절편으로 만든 후 collagenase type IV와 2시간 배양하여 단일 종양세포 혼탁액을 얻었다. Cell adhesive matix로 전처리된 24 well plate에 각 well당 일정수의 세포를 넣어 24시간 배양한뒤 각 열에 0, 1, 2, 3, 4. 6Gy의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13일간 배양후 crystal violet으로 염색한뒤 image analysis system을 이용하여 각 well의 광학밀도를 측정하여 세포 생존을 구한다. Linear quadratic model에 의한 생존 곡선을 얻은 뒤 2Gy에서의 생존율을 구하였다. 배양된 세포가 편평상 피암세포임을 확인하기 위하여 cytokeratin과 epithelial monoclonal 항체를 이용한 Immunocytochemical 염색을 하여 형광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5명의 두경부종양 환자와 20명의 자궁경부암 환자의 종양조직을 얻어 실험하여 15명(60$ \% $) 종양의 2Gy 생존을 얻는데 성공하였다. 10명의 일차 배양 실패의 원인은 단일 종양세포 혼탁액에 종양세포가 너무 적었거나 세포 이식후 배양이 잘 자라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었다. 15편평 상피암 세포의 SF2의 평균은 0.55$\pm$0.17이었으며 범위는 0.20에서 0.79까지로 같은 편평상피암이라도 각 환자에 따라 SF2 간에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같은 부위에 생긴 같은 조직 유형의 종양이라도 각 환자마다 SF2 값의 차이가 큰 것으로 보아 방사선 치료의 효과를 예측할 수 있는 한 인자로 SF2 값을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식도 편평세포암에시 Ivor-Lewis수술 성적 (Results of a Ivor-Lewis Operation for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 조성호;김종인;조성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12호
    • /
    • pp.843-850
    • /
    • 2007
  • 배경: 흉부 식도암에서 Ivor-Lewis수술이 널리 이용되어 왔으나 최근 3구역 절제술로 보다 좋은 성적들이 보고되고 있다. 식도 편평세포암 환자에서 Ivor-Lewis수술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9월부터 2004년 8월까지 식도암으로 절제술을 받은 273명의 환자 중 편평세포암으로 다른 원발성 암이 없고 Ivor-Lewis수술로 완전절제가 가능하였던 172명을 대상으로 술 후 합병증, 조기 및 장기성적, 재발양상을 후향적인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술 후 병기는 I기 40명(23%), IIA기 48명(27%), IIB기 18명 (10%), III기 55명(33%), IVA 5명(3%), IVB 6명(4%)이었다. 수술과 관련된 사망은 172명의 환자 중 7명(4%)에서 발생하였으며 술 후 합병증은 32명(18%)에서 발생하였고 55명(32%)에서 재발하였다. 전체 환자의 5년 생존율은 48%였는데, 병기별 5년 생존율은 I기 85.6%, IIA기 47.6%, IIB기 65%, III기 22.8%, IV기 0%였다. 종양의 위치에 따른 5년 생존율은 상흉부가 26.5%로 중흉부와 하흉부 52.4%에 비해 낮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식도 편평세포암 환자에서 Ivor-Lewis수술의 적용은 비교적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으며, 상흉부 식도암인 경우에는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중 하 흉부식도암에 비해 낮은 5년 생존율을 보여 3구역 림프절절제술로의 전환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두경부편평세포암에서의 T세포 면역치료 (T Cell-directed Immunotherapeutic Approaches for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 최윤석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7-13
    • /
    • 2017
  • Despite improved treatment outcomes of locally advanced disease over the last 2 decades, the survival of patients with recurrent and/or metastatic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HNSCC) remains dismal. There is a clear need for development of novel therapeutic strategies for recurrent and/or metastatic HNSCC. Recent advances in understanding tumor immunology have been directly and rapidly translated into clinical success of T cell-directed immunotherapeutic approach in the treatment of several types of solid cancers. Among them, impact of immune checkpoint inhibition using neutralizing antibodies is the most striking. A variety of immunotherapeutic strategies targeting T cells have been also studied in HNSCC, especially in recurrent and/or metastatic setting even with significant survival benefit. The present article reviews the basic concept of T cell-directed immunotherapy and the current status of such approaches in the treatment of HNSCC.

미확정 편평 상피세포와 인체 유두종 바이러스와의 비교 (Comparison of ASCUS and HPV Hybrid Capture II Test Results)

  • 박미순;장병수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2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5-176
    • /
    • 2012
  • 세포선별검사에서 ASCUS로 진단된 검체 중 F-UP이 진행되지 않은 검체 179건을 대상으로 HPV High risk factor, Low risk factor를 확인하기 위해서 Hybrid Capture II Test를 하였다. 결과 High risk factor 양성 및 Low risk factor 양성은 전체 179 cases 중 25 cases로 나타났으며, 전체 검체 중 약 15%에 해당되었다. 또한 전체 15%의 양성검체 중 High risk factor 양성은 87%에 해당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효과적인 검진 체계를 갖춘 나라에서도 자궁경부암의 예방이 완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는 문제점이 있는 여건을 고려해 볼 때 추적 관찰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를 대비해 자궁경부암으로 진행될 수 있는 precancerous lesion의 원인 인자인 HPV 존재 유무를 세포선별검사와 HPV Hybrid Capture II Test를 동시에 시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