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펩타이드

검색결과 584건 처리시간 0.029초

극성 저분자 케라틴 펩타이드에 의한 피부 탄력 변화 연구 (Study on Effect of Skin Elasticity by Polar Low Molecular Weight Keratin Peptide)

  • 맹지혜;남개원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43-25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Fervidobacterium islandicum AW-1를 이용하여 극성 저분자 케라틴 펩타이드를 생산하고, 피부 탄력과 관련한 인자를 확인하여, 화장품 원료로서 극성 저분자 케라틴 펩타이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인체섬유아세포에 극성 저분자 케라틴 펩타이드를 농도에 따라 세포독성 및 콜라겐 합성능을 확인한 결과, 세포 독성은 나타나지 않았고, 인체섬유아세포 내 콜라겐 합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극성 저분자 케라틴 펩타이드를 함유한 마스크팩을 만들어, 22 명의 건강한 성인 피험자를 대상으로 4 주 동안 시험제품을 사용한 결과, 피부 탄력 및 피부 비틀림 탄력 개선, 수분량 증가, 피부색 개선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다. 이를 통해 극성 저분자 케라틴 펩타이드는 피부 탄력 개선에 도움을 주는 화장품 원료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대두 펩타이드의 표면소수도가 흰쥐의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 및 분변 스테로이드의 배설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rface Hydrophobicity of Soybean Peptides on the Concentration of Serum Cholesterol and Fecal Steroid Excretion in Rats)

  • 한응수;이형주;손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71-575
    • /
    • 1993
  • 대두 펩타이드의 표면소수도가 혈청 콜레스테롤의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대두 단백질(ISP), 카세인(CNP), 이들 단백질을 펩신으로 가수분해하여 pH에 따른 펩타이드 침전 획분들(SHT, SH8, SH6, SH4, CHT, CH6, CH5, CH4)을 흰쥐에 섭취시키고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 및 분변 스테로이드이 배설량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각 펩타이드의 표면소수도를 ANS 형광법 및 SDS 결합법으로 측정하여, 이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펩타이드의 ANS 표면소수도가 높아질수록 분변으로 배설된 스테로이드량은 증가하였으며(r=0.81),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는 낮아졌다.(r=-0.868). 그러나 SDS 표면소수도는 그들과 상관관계가 없었다. 또한 대두 단백질은 가수분해에 의하여 ANS 표면소수도가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흰쥐의 담즙염이, 소화중 생성된 높은 표면소수도의 펩타이드와 결합하여 체외로 배출되므로서 대두단백질의 섭취에 의한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가 낮아짐을 시사하였다.

  • PDF

치즈 및 된장에서의 쓴 맛 펩타이드 특성 (Characteristics of Bitter Peptides from a Cheese and a Soybean Paste)

  • 김수호;이형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76-282
    • /
    • 1985
  • 단백발효식품에서의 쓴맛 펩타이드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여러 시료로부터 소수성 펩타이드를 2 1(v/v) chloroform-methanol로 추출하였다 이 중 모짜렐라치즈와 된장으로부터 얻은 쓴맛 텝타이드 추출물을 다시 Sephadex C-25 겔 크로마토그라피한 결과 분획 I II, III을 얻었는데 이들 시료 자체와 각각의 크로마토그라피 분획을 구성하고 있는 펩타이드의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하여 평균소수도를 계산하였다. 시료들 자체는 쓴 맛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용매로 추출된 소수성 펩타이드 분획은 강한 쓴 맛을 나타내었다. 시료의 용매추출 수율은 총 질소 함량의 0.08내지 62.50%의 범위로 나타났다. 모짜렐라치즈 질소물의 평균 소수도는 1.376cal/mole, 용매추출 분획은 1.623cal/mole. 젤 크로마토그라피 분획 I은 1,797cal/mole, 분적 II 는 2,454cal/mole, 분획 III은 1,559cal/mole 이었다. 된장의 경우 된장 자체, 용매추출 분획, 겔 크로마토그라피 분획 I, II, III의 평균소수도는 각각 1,229. 1,654, 1900, 2016, 998cal/mole 이었다. 쓴맛 펩타이드에서 중요한 아미노산을 leucine, Phenylal anine. p-roline, valine으로 나타났다.

  • PDF

세포내 특정 소기관 타기팅 마커 개발을 위한 당지질-결합 펩타이드 변형 및 세포내 타기팅 분석 (Development of intracellular organelle markers using modified glycolipid-binding peptides in mammalian cells)

  • 전용우;이진아;장덕진
    • 분석과학
    • /
    • 제28권1호
    • /
    • pp.65-71
    • /
    • 2015
  • 진핵세포내 막성세포소기관들은 각각 고유한 세포의 중요한 기능들을 담당하고 있다. 이들 기관에 분포하는 단백질들은 세포질에서 발현된 후, 정교한 조절에 의해서 다양한 세포내 소기관으로 운송된다. 따라서, 세포내에 존재하는 막성세포소기관의 마커를 개발하고, 이들의 타기팅 기전을 알아내는 것은 세포 생리 및 병리학적 기전 연구에 중요한 도구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보고된 당지질-결합 펩타이드들과 이들의 변형을 통한 세포내 타겟팅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러한 당지질-결합 펩타이드들은 미토콘드리아, 원형질막, 골지체로 위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펩타이드가 세포내 기관을 마커로 이용될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원형질막에 타기팅하는 펩타이드 마커의 경우는, 정전기적인 상호작용에 의해 원형질막에 선택적으로 타기팅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당지질-결합 펩타이드들이 다양한 세포내 운송과 관련한 연구에 세포소기관의 위치 및 모양을 분석 할 수 있는 마커로 이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홍어 콜라겐 펩타이드의 산화적 스트레스 완화를 통한 항염증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Skate Collagen Peptide through Attenuation of Oxidative Stress)

  • 정갑섭;노정숙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369-1378
    • /
    • 2018
  • 홍어 껍질 유래 콜라겐 펩타이드를 한외여과막을 이용하여 분자량의 크기를 1,000 Da 이하와 1,000 Da 이상으로 분리하고 그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각각의 시료를 비만 유발 실험동물인 db/db mice에 체중당 200 mg의 콜라겐 펩타이드를 8주간 투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콜라겐 펩타이드를 투여한 군에서 비만대조군에 비해 체중 증가량의 감소, 혈액 및 간조직의 활성산소 농도의 감소, 간조직의 산화적 스트레스가 완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콜라겐 투여군에서 염증반응과 관련된 간조직의 핵전사인자($NF-{\kappa}B$) 및 효소(COX2, iNOS), 염증성 사이토카인(IL-6)발현이 비만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분자량의 크기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나타났지만, 전반적으로는 유의적이지 않았다. 따라서 홍어 콜라겐 펩타이드의 비만에 의해 유발된 염증반응이 억제되었는데, 이는 콜라겐의 산화적 스트레스 완화작용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곤충의 페로몬 생합성 활성화 신경펩타이드(PBAN) (Pheromone Biosynthesis Activating Neuropeptide (PBAN) in Insects)

  • 최만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15-28
    • /
    • 2022
  • 신경펩타이드(Neuropeptide)는 신경세포에서 분비되는 단백질성 물질로, 곤충 호르몬에서 가장 큰 그룹으로 차지한다. 이들은 곤충의 전 생육단계에 걸쳐 지방체의 항상성, 섭식, 소화, 배설, 순환, 번식, 탈피/변태 등 다양한 생리적 기능과 행동을 조절하는데 관여하고 있다. 신경호르몬 일종인 PRXamide (NH2) 펩타이드 계열 호르몬은 카르복실기 끝에 PRX (X, 다양한 아미노산)라는 공통의 아미노산 서열이 특징적으로 존재하고 있으며, 곤충 전반에 걸쳐 발견된다. 곤충에서PRX 신경호르몬은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에 관련하고 있는데 호르몬구조와 기능에 따라 크게 3가지로 분류한다. Pyrokinin (PK)계열의 호르몬은 페로몬 생합성 활성화 신경펩타이드(pheromone biosynthesis activating neuropeptide, PBAN) 및 휴면 호르몬(diapause hormone, DH)이 속하며, 카파(CAPA) 펩타이드 호르몬, 그리고 탈피촉진 호르몬(ecdysis trigging hormone, ETH)이 여기에 속한다. PK 계열의 PBAN 호르몬은 지금으로부터 약 30년전 나방에서 처음 밝혀졌으며, 성페로몬 생합성을 자극하는 신경호르몬으로 확인되었다. 그 이후, PBAN의 연구는 절지동물 전반에 걸쳐 다양한 연구자들에 의하여 광범위하게 이루어졌다. 본 종설은 PBAN의 유전자 구조와 발현, PBAN에 의한 세포신호 전달과 성페로몬 생합성에 관련된 생리적 기작, 그리고 신경호르몬과 PBAN을 이용한 새로운 해충 방제법 개발의 가능성과 예를 소개한다.

Phage Display Library를 이용한 Salt-Resistant Alpha-Helical 항균 펩타이드의 새로운 탐색방법 (A Novel Screening Strategy for Salt-resistant Alpha-helical Antimicrobial Peptides from a Phage Display Library)

  • 박주희;한옥경;이백락;김정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78-284
    • /
    • 2007
  • 생체 염 농도에서도 항균활성을 유지할 수 있는 선형 ${\alpha}$-helical 항균 펩타이드를 M13 펩타이드 라이브러리로부터 탐색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였다. M13의 pIII은 magainin 유도체인 MSI-344와 indolicidin과 융합된 상태에서도 파아지의 viability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보아, MSI-344와 indolicidin의 대장균에 대한 독성을 중화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따라서 대장균에서 항균 펩타이드 라이브러리의 제조가 가능함을 증명하였다. 선형 항균 펩타이드의 보존된 부위를 바탕으로, 13개의 아미노산 잔기로 구성된 semi-combinatorial 항균 펩타이드 라이브러리를 M13를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제조된 파아지 라이브러리는 먼저 적혈구에 흡착시켜, 높은 용혈 역가를 가질 가능성이 있는 파아지를 제거한 후, 높은 염 농도에서 Pseudomonas aeruginosa와 Staphylococcus aureus에 흡착할 수 있는 파아지를 탐색하였다. 탐색된 펩타이드들은 염이 없는 조건에서는 비교적 낮은 항균 역가를 보였지만, P06와 S18 펩타이드의 경우, 생체 염 농도보다 높은 150 mM $Na^+$, 2 mM $Mg^{2+}$, 2 mM $Ca^{2+}$의 조건에서도 항균 역가가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심각한 용혈 역가 또한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대상 세균에 대한 흡착능력을 이용한 탐색방법은 salt-tolerant antimicrobial peptide의 개발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숭어(Mugil cephalus) 비늘 유래 가용성 콜라겐 펩타이드가 당뇨성 흰쥐의 혈당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luble Collagen Peptides Extract Derived from Mugil cephalus Scale on the Blood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in Diabetic Rats)

  • 김한수;윤호동;성종환;이영근;;김수하;최우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2호
    • /
    • pp.1794-1801
    • /
    • 2009
  • 숭어(Mugil cephalus) 비늘에서 추출한 가용성 펩타이드 추출물이 streptozotocin (STZ 55 mg/kg BW, IP injection)으로 유도된 당뇨성 Sprague Dawley계 수컷 흰쥐의 있어서, 혈당 및 혈청 지질개선효과와 당질대사 이상 등에 관여하는 효소의 활성 변동을 생리생화학적 측면에서 검토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대조군인 CG군을 비롯한 STZ 당뇨 유발군(SW군), 당뇨 유발에 콜라겐 펩타이드를 섭취시킨 군(SFW군)을 5주간 실험 사육한 결과, 혈당 농도는 당뇨 유발군에 콜라겐 펩타이드를 급여함으로서 유의적인 감소 효과를 보였다. 또한 혈청 총 콜레스테롤, 동맥경화지수, LDL, L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및 인지질 농도, 유리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에스테르 비 등은 콜라겐 펩타이드를 섭취시킨 군(SFW군)에서 농도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HDL-콜레스테롤 및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 비 등은 콜라겐펩타이드 섭취(SFW군)에 의해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청 중 alkaline phosphatase (ALP) 및 aminotransferase(AST, ALT)의 활성은 STZ으로 당뇨를 유도 시킨 후 콜라겐펩타이드를 섭취시킴으로서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실험 결과 등에서 콜라겐 펩타이드 추출물이 STZ으로 유발된 당뇨성 흰쥐의 혈당조절 기능 및 지질대사 이상 등에서 오는 당뇨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콜라겐 펩타이드의 피부 장벽 보호 효과 (Beneficial Effect of a Collagen Peptide Supplement on the Epidermal Skin Barrier)

  • 김정기;이지해;배일홍;서대방;이상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58-463
    • /
    • 2011
  • In vivo에서 10주간의 UV 조사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손상 및 2주간의 아세톤 도포에 의해 유발되는 급성 피부장벽손상에 대한 콜라겐 펩타이드의 보호 효능을 관찰한 결과, 주름 증가, 비정상적 각질 세포 증식에 의한 피부 두께 증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증가 등이 콜라겐 펩타이드의 경구 섭취에 의해 개선됨을 확인하여, 콜라겐 펩타이드가 피부 손상을 방어하고, 피부 장벽회복기능이 정상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콜라겐 펩타이드의 피부 장벽 회복 기전을 살펴보기 위하여 사람 각질세포를 이용하여 평가한 결과, 콜라겐 펩타이드는 SPT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킴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콜라겐 펩타이드가 광노화 및 급성 피부장벽 손상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진피 및 표피 층의 손상을 회복 혹은 보호하는 효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콜라겐 펩타이드가 광노화 보호 또는 피부장벽 개선 효능을 갖는 새로운 미용 식품 소재로써 이용 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콜라겐 펩타이드의 피부 광노화 예방 효과 (Beneficial Effect of Collagen Peptide Supplement on Anti-aging Against Photodamage)

  • 김정기;이지해;양미숙;서대방;이상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41-445
    • /
    • 2009
  • In vivo에서 10주간의 UV처리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손상에 대한 콜라겐 펩타이드 혼합물(AP-CPM01)의 보호 효능을 관찰한결과, UV에 의해 유도되는 주름의 증가와 탄력 저하 및 비정상적인 각질 세포의 증식에 의한 피부 두께의 증가가 혼합물의 섭취에 의해 개선됨을 확인하여, 콜라겐 펩타이드 혼합물이 UV에 의한 피부 손상을 방어하고, 피부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콜라겐 펩타이드 혼합물의 피부 보호 작용 기전을 살펴보기 위하여 사람 섬유아세포를 이용하여 콜라겐 펩타이드 혼합물의 작용을 평가한 결과, 콜라겐 펩타이드와 엘라스틴 단백질은 procollagen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키고 시너지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콜라겐 펩타이드 혼합물이 광노화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진피층의 손상을 회복 혹은 보호하는 효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콜라겐 펩타이드 혼합물(AP-CPM01)이 광노화 보호 또는 피부 개선 효능을 갖는 새로운 미용 식품 소재로써 이용 가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