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페놀폐수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2초

파라메톡시페놀 및 히이드로퀴논 폐수(廢水)의 전기(電氣) 화학적(化學的) 처리(處理)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Electrochemical Treatment of p-methoxyphenol and Hydroquinone Wastewater)

  • 김홍수;남기대;정노희;노윤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53-159
    • /
    • 1991
  • The electrochemical oxidation of p-methoxyphenol and hydroquinone for wastewater treatment application was investigated on platinum anode. At the cyclic voltammetry, it was observed that nagative shift of peak potential of p-methoxyphenol and hydroqinone as the pH of electrolytes increases and the peak current showed higher at strong electrolytes than weak electrolytes. In the case of p-methoxyphenol, the optimum electrode potential of controlled potential electrolysis was observed at the potential region of 0.8-1.0 (V vs. SCE) and hydroquinone was showed at the potential of l.0(V vs. SCE). Specially the oxidation rate of p-methoxyphenol and hydroquinone was showed high value in the acid electrolytes.

퀴놀린 폐수의 습식산화와 호기성 생물학적 통합처리 (Integrated Wet Oxidation and Aerobic Biological Treatment of the Quinoline Wastewater)

  • 권순석;문해미;이용학;유용호;윤왕래;서일순
    • KSBB Journal
    • /
    • 제23권3호
    • /
    • pp.245-250
    • /
    • 2008
  • 퀴놀린은 생물학적으로 거의 산화 분해되지 않았으나, 250$^{\circ}C$ 습식산화에서 니코틴산과 초산 등으로 산화 분해되었다. 퀴놀린 습식산화는 균일촉매 $CuSO_4$ 또는 쉽게 습식산화 분해되는 페놀에 의해 반응조건이 완화되었다. 퀴놀린 습식산화 반응의 주 생성물 중 하나인 니코틴산은 호기성 Bacillus 종균에 의해 산화 분해되었다. 촉매를 사용하지 않은 고온에서의 퀴놀린 습식산화 생성물의 생물학적 산화는 저온에서 진행된 균일 촉매 ($CuSO_4$) 습식산화와 퀴놀린-페놀 혼합용액 습식산화 반응 생성물의 생물학적 산화에 비하여 늦게 진행되었다. 반면에, 호기성 균주의 습식산화 생성물에의 적응은 생물학적 처리에서의 니코틴산 산화 분해 반응의 지체기를 크게 단축시켰다.

호소 및 하천에서 환경호르몬 Bisphenol-A의 분해거동에 관한 연구 (Degradation Behavior of Endocrine Disrupter Bisphenol-A in the Lake and Stream)

  • 강호;신경숙;김선기;진창숙
    • 환경생물
    • /
    • 제19권1호
    • /
    • pp.59-69
    • /
    • 2001
  • 본 연구는 자연수중의 미생물을 식종원으로 하는 TOC-HANDAI법과 OECD 생분해법을 활용하여 자연수 환경내에서 환경호르몬물질인 비스페놀 A와 노닐페놀의 생분해성을 비교평가하였다. TOC-HANDAI법에 의한 BPA분해는 73-78% 이었고 OECD법은 이보다 다소 높은 77-81%를 나타내었다. 두 방법을 통한 BPA의 분해양상은 대체로 2단계를 거쳐 진행되었다. 즉 초기 1주일 이내에는 분해반응속도(k$_1$)가 0.24-0.34day$^{-1}$로 아주 빠르게 분해되었고, 그 후에는 아주 완만한 분해양상을 나타내었다(k$_2$는 0.02-0.05 $day^{-1}$). 이는 BPA가 자연수계에서 TOC로 약 20-25%가 중간생성물로 잔존하고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으며, 이 중간대사물이 완만한 분해과정에 기여하고 있다. 수계 환경에 따라 분해율이 현저하게 차이를 보이지만 노닐페놀은 20-48% 정도 밖에 분해되지 않는 난분해성 환경호르몬 물질임을 알 수 있다. 한편, 금강수계내 조사대상 하천과 대청호수의 조사지점에서 BPA는 모두 불검출되었다. 그러나 공단폐수 종말처리장 유입수에서 평균 25 ppb가 검출되었다.

  • PDF

연속식 PCR과 BCR에서 기$cdot$액 접촉 방법 및 주입 오존 유량에 따른 페놀 폐수의 오존 처리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the Ozonation of the Phenol Wastewater in the Continuous PCR and BCR)

  • 김용대;안재동;이준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7-64
    • /
    • 1996
  • The main objectives of this research program were to study the ozonation characteristics of phenol wastewater in the continuous packed colamn reactor(PCR) and the bubble column reactor (BCR) using ozone and to provide the fundamentals of ozonizing the phenol wastewater. Among various influencing factors that affect on phenol decomposition through the oxidation by ozone, contacting method, and ozone flow rate were chosen as reaction parameters. The results were obtained from two different types of contacting methods where the countercurrent flow was more efficient than the cocurrent flow in both the phenol removal efficiency and the ozone utilization efficiency. Furthermore, PCR showed the phenol removal efficiency 1.6 to 3% higher than that of BCR in both contacting methods, as well as the ozone utilization efficiency, suggesting that the countercurrent flow is more efficient than the cocurrent flow. The phenol removal efficiency and the ozone utilization efficiency were reduced in both reactors as the influent ozone flow rate increased. Upon varing flow rate from 0.5l/min to 2.0 l/min by 0.5 l/min, the phenol removal efficiency was reduced approximately from 8.5% to 10.5% and the ozone utilization efficiency was reduced approximately from 6% to 8% in both reactors. The performance of PCR was superior to that of BCR in the aspects of phenol removal and ozone utilization efficiency.

  • PDF

염소계페놀의 환원적 탈염소화에서의 전자공여체의 영향 (The Effect of Electron Donor on Reductive Dechlorination of Chlorophenols)

  • 박대원;김성주박정극
    • KSBB Journal
    • /
    • 제11권2호
    • /
    • pp.211-217
    • /
    • 1996
  • 난분해성 물질로 알려진 2,4,6-trichlorophenol를 혐기성 미생물의 cometabolism을 이용하여 처리할 경우 높은 탈염소화 속도를 얻기 위하여 전자콩여체 를 선정하기 위하여 회분식 실험을 수행하였다. 회분식 실험은 Serum bottle에서 중량천 폐수처리장 의 1차 소화조에서 채취한 혐기성 소화슬러지를 사 용하여 2,4,6-trichlorophen이의 환원척 탈염소화 반 응을 유도하였다. 탈염소화 과정에셔 중간생성물을 조사하였고 혐기성 미생물의 성장과 유지를 위한 에 너지원인 전자공여체에 따른 탈염소화 속도를 비교 하였다. 회분식 실험결과 2,4,6 - trichlorophenol은 ortho위치의 염소가 치환되어 2,4- Oichlorophenol 로 탈염소화되 었다2,4-dichlorophenol은 다시 ortho위치의 염소가 치환되어 4-chlorophenol로 탈 염소화되 었다. Acetate, ethanol, glucose와 metha nol를 전자공여 체로 사용한 결과 ethanol을 사용한 경우에 서 2,4,6-trichlorophenol의 탈염소화 속도가 가장 빠른 것으로 관찰되었다.

  • PDF

세라믹담체를 이용한 페놀계 산업폐수의 생물학적 처리 (Biological Treatment of Phenolic Industrial Wastewater by a Mixed Culture Immobilized on Ceramic Beads)

  • 오희목;구영환;안극현;장갑용;고영희;권기석;윤병대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755-762
    • /
    • 1995
  • A phenolic resin industrial wastewater containing about 41,000 mg/l of phenol and 2,800 mg/l of formaldehyde was biologically treated by a mixed culture GE2 immobilized on ceramic beads.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three experimental groups : Control-only added the sludge of papermill wastewater ; GE2 treatment-added GE2 to Control ; Ceramic treatment-applied ceramic carrier to GE2 treatment. When the original wastewater was diluted 80 times with aerated tap-water, influent COD$_{Mn}$ WaS 1,140 mg/l and that of the effluent was in the range of 22-35 mg/l, which was not much different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However, at 20-times dilution, influent COD$_{Mn}$ was 4,800 mg/l and the effluent COD$_{Mn}$ of Control, GE2 treatment and Ceramic treatment was 179, 128 and 94 mg/l, respectively. COD$_{Mn}$, removal efficiency by Ceramic treatment was the highest, at 98.0%. At this time, the effluent phenol concentration of Control, GE2 treatment and Ceramic treatment was 10.71, 7.93 and 5.60, respectively. As the dilution times decreased, the removal efficiency of COD$_{Mn}$ and phenol did not change much, but COD$_{Mn}$ and phenol concentration of the effluent increased. Consequently, it is likely that the phenolic industrial wastewater containing phenol and formaldehyde can be biologically treated using a GE2 and ceramic carrier and that at 40-times dilution, the effluent completely meets the effluent standards for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plant.

  • PDF

활성탄에서의 아세트산 흡탈착 거동 (Sorption Behavior of Acetic Acid onto Activated Carbons)

  • 이채영;정진석;신은우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6권6호
    • /
    • pp.1130-1134
    • /
    • 2008
  • 아세트산은 테레프탈산 제조 공정에서 용매로 사용되며, 사용된 아세트산은 반응 후 증류 공정을 통하여 분리 회수된다. 그러나 소량의 아세트산은 그대로 폐수에 유입되어 버려지는데, 흡착공정을 이용하면 소량의 아세트산을 회수하여 다시 재사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활성탄을 아세트산 흡착제로 활용하여 상용활성탄의 아세트산 흡착능과 흡착능에 대한 온도 및 흡착제 산처리 효과를 살펴보았다. 활성탄의 아세트산 흡착능은 흡착 키네틱 실험으로 관찰한 결과, 303 K에서는 0.176 mmol/g의 흡착능을 보였으나, 343 K에서는 0.118 mmol/g으로 흡착능이 떨어졌다. 즉, 온도가 증가하면 활성탄의 아세트산 흡착능은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산처리실험에서는 활성탄 표면을 염산 혹은 옥살산으로 처리할 경우, 활성탄의 아세트산 흡착능이 소폭 증가하였다. 이는 산처리로 인해 활성탄 표면에 카르복실산, 혹은 페놀 수산화기 등 표면 관능기가 증가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아세트산 탈착 실험에서는 정량분석결과, 흡착된 아세트산의 89% 정도가 탈착되었다.

낙동강 중류 수계에 있어서 Alkylphenol Polyethoxylate의 오염원과 잔류특성 (Sources of Alkylphenol Polyethoxylate and their Fate in the Central Nakdong River Basin)

  • 이세한;이순화;이철희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12호
    • /
    • pp.1277-1284
    • /
    • 2005
  • 낙동강중류에 있어서 APE(Alkylphenol Polyethoxylate) 및 APE의 분해산물인 NPnEO(Nonylphenol polyethoxylates), NPnEC(Nonylphenol carboxylic acid), NP(Nonylphenol)의 농도 분포를 조사하였다. 각 지점에 있어서 APE의 농도분포는 낙동강과 금호강에서는 $0.62{\sim}11.70\;{\mu}g/L$의 범위를 나타내었고, 공장폐수 및 가정하수가 유입되는 3공단천과 달서천에서는 $70.00{\sim}212.50\;{\mu}g/L$로 조사되었다. 하수처리장에서 APE는 생물분해와 흡착 등에 의해 87% 이상의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APE의 분해생성물인 NPnEO와 NPnEC는 생물처리에 의해 NP($n=4{\sim}10$)EO 및 NP($n=4{\sim}10$)EC가 NP($n=1{\sim}3$)EO 및 NP($n=1{\sim}3$)EC로 분해 혹은 슬러지 등에 흡착 제거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하천에서는 하류지역이 상류지역보다 생물분해가 덜 진행된 NP($n=7{\sim}10$)EO의 분포분율이 높았다. 따라서 하수처리장과 같은 점오염원뿐만 아니라 비점오염원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가 요구되어진다. APE의 최종 분생생성물인 NP는 공장폐수 및 가정하수에서 각각 $4.33\;{\mu}g/L$, $1.70\;{\mu}g/L$를 나타내었고, 하수처리장에서 평균 90% 정도의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하천에 있어서 NP의 농도는 미국 및 유럽에서 환경유해농도로 규정하는 $1.0\;{\mu}g/L$를 초과하지는 않았지만, $0.1\;{\mu}g/L$ 이상 전 지역에서 검출되어 NP의 지속적인 감시가 요구된다.

침지형 막분리 활성오니법에 있어서 생물대사성분의 거동 (Behavior of Soluble Microbial Products in a Submerged Membrane Separation Activated Sludge Process)

  • 차기철;이동열;심진기;이영무;유익근;안승호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959-970
    • /
    • 2000
  • 본 연구는 실험실 규모의 침지형 막분리 활성오니법을 이용하여 생물 대사 성분이 막투과 유속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SMP와 분리막의 fouling과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연속 실험과 회분 실험으로 나누어 운전하였다. 합성 폐수로는 단일 탄소원으로서 phenol을 사용하였다. 생물 반응조의 체류 시간과 MLSS농도는 각각 12hr과 9.000mgVSS/L로 유지하였다. 연속 장치에 있어서 회분 여과 실험을 통해 SMP농도가 증가할수록 막투과 유속은 감소하였고, cake와 gel층이 형성을 증가시켰다. Cake의 저항은 $2.9{\sim}4.0{\times}10^{10}$으로 측정되어 다른 여과 저항보다 막투과 유속의 감소에 중요한 영향을 나타냈다. 회분 페놀 분해 실험에서 SMP종들 중에 $SMP_{nd}$$SMP_{e}$가 난분해성 고분자 물질로서 막투과 감소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또한, SMP농도는 막투과 유속의 감소에 대한 HRT의 증가로서 생물 반응조 내에 축적되었다.

  • PDF

초음파와 전기분해를 이용한 수중의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분해 특성 (Characteristics of Decomposition for Refractory Organic Compounds in Aqueous Solution by Sonolysis and Electrolysis)

  • 정재백;이성호;배준웅
    • 대한화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454-463
    • /
    • 2006
  • 폐수처리방법으로는 분해가 어려운 유해화합물을 효과적으로 정화처리 할 수 있는 방법 개발을 위해, 최근 주목받고 있는 새로운 AOP(advanced oxidation process, 고급산화법) 공정인 초음파분해와 전기분해를 함께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대상 물질은 TCE(trichloroethylene)와 2,4-DCP(2,4-dichlorophenol)이며, 각 공정의 분해효율과 특성을 구하기 위해 각 시료물질들에 대해 초기농도, 초기 pH, 초음파 power 그리고 전류밀도 등을 변화시키며 최적 분해 조건을 조사하였다. 또한 시료물질에 대한 라디칼 포착제로 알려진 NaHCO3의 영향을 조사하여 각 시료물질의 분해반응 경로를 간접적으로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TCE는 열분해반응이 지배적이며, 2,4-DCP 경우는 열분해반응 못지않게 라디칼 분해반응도 경쟁적으로 일어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초음파와 전기분해를 동시에 적용시켰을 때, 두 시료 모두에서 120분 이내, 65% 이상 제거율을 보였으며, 제거율은 초기농도가 높을 때 그리고 초음파 power와 전류밀도가 증가할수록 향상되었다. 그리고 초기수용액의 pH 영향 실험에서는 TCE는 산성수용액에서 제거율이 높지만 2,4-DCP의 경우에는 알칼리성 수용액에서 제거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