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패션 취향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3초

현대 패션에 표현된 취향지향적 룩의 조형적 특성과 미적 가치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aste-Based Look Presented in Modem Fashion)

  • 송금옥;김영인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4호
    • /
    • pp.195-204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문화 속에서 새로운 가치기준으로 주목받고 있는 취향의 개념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취향을 중심으로 현대패션에 표현된 룩의 조형성과 미적가치에 대하여 살펴보는 데에 있다. 취향은 개인에 의해 개별적으로 추구되는 삶의 방식이며 선호이자 현대사회 내에서 개인을 구별짓는 중요한 요소이며, 특히 패션은 취향의 차별화를 표현하는 주요 대상이다. 취향이 표현된 룩으로는 시대를 초월한 멋쟁이 취향의 댄디룩과 최근에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저속한 취항이 표현된 키치룩, 성적 이상 취향이 표현된 페티시룩, 엽기 취향이 표현된 그로테스크룩과 어린 취향이 표현된 키덜트룩 등이 있다. 현대인의 다양한 취향과 그의 표현인 룩은 패션의 향유를 통한 즐거움의 추구이며 현재에 대한 긍정적인, 그리고 미래에 대한 적극적인 기대를 나타내는 상징적 표현이라 할 수 있다. 룩을 통해 패션과 사회는 서로 소통할 수 있으며, 디자이너는 컬렉션을 통해 룩을 효과적으로 제안함으로써 소비자의 취향을 만족시키는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취향에 대한 학문적 근거를 제공해 주며, 패션으로 표현된 미적 가치를 보석 줌으로써 문화 속의 취향과 패션의 룩에 대한 해석의 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국내산 견직물의 염색견뢰도조사 (Survey of Colorfastness of Korean Silk Fabrics)

  • ;정인모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68-72
    • /
    • 1990
  • 견직물의 품질이 좋다는 것은 소비자의 취향과 실용성을 만족시켜주어야 한다. 고급패션용 직물 또는 이브닝드레스와 다른 독특한 제품에는 디자인과 색상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타운드레스, 스포츠ㆍ레저용품에는 수용성과 취급이 간편한 실용성이 강조된다. 이러한 두 가지 요구를 위하여 염색견뢰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시 견직물들은 고급패션 제품에는 다소 부족하였고 일부 견직물은 ISA공인품질 기준에 미치지 못하였다. 특히 색상이 밝은 염색견직물과 발염날염견섬물은 물, 땀, 아이론견뢰도가 불량하여 염료선택에 주의가 필요하며, 염색후가공 등을 하여 견뢰도 개선에 관한 연구를 하고, 견섬물가공 업체는 시장동향과 소비자의 취향 및 요구를 분석하면서 기술개발을 추진한다면 세계선진 업체와 경쟁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이국취향의 요인과 현대패션에 나타난 이국취향 (A Study on the Generating Elements of Exoticism and Exoticism Expressed in Modern Fashion)

  • 김수경
    • 복식문화연구
    • /
    • 제11권3호
    • /
    • pp.387-403
    • /
    • 2003
  • This study aims to analyse a trend of exoticism which is often mentioned in the contemporary western fashion. I analyse the internal elements of the exoticism in the fashion. By applying these elements to the exoticism of modern fashion, I intended to make it a useful instrument fur interpreting modern fash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internal elements of exoticism are summarized as escapism, curiosity, fantasy, hybridism and pluralism. 1. From the 19th century to the 1960s . The exoticism shown in the western fashion are influenced by such elements as curiosity and escapism. And diverse and plural exotic elements added a fantastic element to the exoticism. 2. After 1960s : Escapism acted much more because people thought exoticism offer a refuge from overall social problems of modern consumer society. Late in the 20th century, fantastic and hybrid element became more prominent in exoticism. And I found pluralistic view point was the other element of exoticism.

  • PDF

핀업스타일이 패션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The Research of Pin-up Style's Influence on Fashion)

  • Young-Sam Kim;Heungsook Chung;Sun-Hwa Kim
    • 복식
    • /
    • 제53권1호
    • /
    • pp.159-170
    • /
    • 2003
  • 핀업은 제2차 세계대전기간동안 매력적인 여성들의 성적인 사진들을 군일들이 그들의 숙소 벽에 부착함으로서 생겨난 신조어이다. 이러한 핀업들은 영화의 발달로 인하여 헐리우드 스타들과 같은 발전된 형태로서 나타나게 됐으며, 그들의 스타일은 하나의 패션 트랜드를 만들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핀업의 스타일을 역사적 관점에서 고찰하여 특성을 분석하며 핀업 스타일이 역사적으로 어떠한 변화를 통하여 오늘날의 현대패션까지 영향을 미치게 되었는가를 연구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관련된 문헌고찰을 통한 역사학적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하여 핀업의 범주를 설정하고 관련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핀업 스타일의 공시적, 통시적 고찰, 역사적 변천과 특성을 분석하여 이들에 내재된 문화적 가치가 패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연구해보았다. 연구 결과 핀업 그 스스로는 역사적 고찰을 통하여 그 가치를 지니며, 핀업 스타일의 변화는 구조적으로 이루어지며, 구조는 세대와 취향에 따라 변화하며 패션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인공지능 기반 개인 맞춤형 의류 추천 서비스 개발 (Development of personalized clothing recommendation servic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 김형숙;이종혁;이현동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0권1호
    • /
    • pp.116-123
    • /
    • 2021
  • 온라인 패션 시장의 빠른 성장과 이로 인한 온라인 선택의 확대로 인해 소비자들은 더욱 개인화된 추천 서비스에 대해 요구가 커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판매자는 수많은 소비자를 개별적으로 직접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소비자의 이러한 개인화 니즈를 충족시키는 방안으로 이미지에 대한 태깅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사람이 태깅하는 경우 사람마다 태깅이 매우 주관적으로 이뤄지고 있고 인공지능 태깅은 단어가 매우 제한적으로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시켜주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공지능으로 이미지에 포함된 제품의 형태, 속성, 감성 정보를 인식하고 이러한 정보를 코드화하고 코드의 조합으로 그 이미지가 가지고 있는 모든 정보를 나타낼 수 있는 알고리즘을 설계하였다. 이 알고리즘을 통해서 지금까지 획득이 불가능했던 패션 이미지의 감성, 패션 이미지가 표현하는 TPO 정보 등 이미지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정보를 기반으로 소비자의 취향을 분석하는 단계에서 넘어가 소비자의 취향에 당시의 유행, TPO 정보까지 결합하는 초개인화된 의류 추천이 가능해진다.

신체 변화 및 패션 취향분석을 고려한 여자 아동복 디자인 (Children's Wear Design Considering Physical Changes of Children and Fashion Preferences of Children and Parents)

  • 박주희;남윤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598-610
    • /
    • 2009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a flexible and satisfactory clothing design for girls aged 4 to 6 years of age, which can be worn comfortably for 3 years, during that age range. This study focuses attention on the need for well-fitting clothes in the young girls' market, and provides a basis for development of designs that can be worn for a long time, are comfortable for children to wear, and reflect preferences of both children and parents. Documentary research was executed to examine the history and changes of children's wear. Internet and market research were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of girls' clothing in Korea. In-depth interview subjects were girls aged 4 to 6 and their guardians. Subjects were asked questions related to children's wear size and design, and measurements were taken of child subjects. Children's wear on the Internet was found to be trendy and inexpensive but of a low quality, as was children's wear at Dongdaemun market. Children's wear at department stores was of high quality and pretty, but did not consider size much and was expensive. One problem of the Korean children's wear market was lack of a unified size system. In-depth interviewees pointed out that there are not many clothes that fit their children perfectly. Problems included t-shirt, sleeve and pants length. Parents said they preferred simple and clean designs, and children interviewees all liked pink dresses and skirts. Children's physical measurements presented by Size Korea were compared and verified with measurements taken of child interviewees, and used as a basis for patterns. The study presented two designs for girls of ages 4 to 6 to wear all through that age range. A sample was made for one of the designs, and an evaluation showed very successful results.

한국 중년 남성의 패션 취향 변화 연구 -1960~1980년대 신문 매체를 중심으로- (A Study on Change of Fashion Taste of Korean Middle-Aged Men -Focused on Newspaper Media from the 1960s-1980s-)

  • 이나현;하지수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26-39
    • /
    • 2018
  • This study analyzed fashion taste changes for middle-aged men (40-50s) from the 1960s-1980s through newspapers evaluated as socially influential media. As a result, the fashion interest of middle-aged men in the 1960s was very low, and the formation and selection of fashion taste was mainly decided by the wife. However, as the interest in fashion and fashion gradually increased in the 1970s, the interest and taste of fashion in middle-aged men started to change. In the 1980s, social equality and women's advancement into society began, and initiated the appearance of a youthful-looking casual style and establishing an individual subjectivity about fashion taste. Based on this, the specificity of the change of fashion taste among Korean middle-aged men in the 1960s-1980s were as follows. First, the changes in the aesthetic sense of middle-aged men and the increase of fashion interest were due to changes in socio-cultural appearance standards. Second,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pursuit of individuality due to the weakening of fashion consciousness as a collective norm. Third, there were change in subjectivity about fashion taste and consumption.

한국 중년 남성의 자기이미지와 패션스타일 유형에 따른 취향 분석 (Analysis of Taste of Middle-aged Korean Men Based on Self-image and Fashion style)

  • 김희연;김영인
    • 복식
    • /
    • 제64권8호
    • /
    • pp.37-54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tastes of middle-aged Korean men by analyzing their characteristics, such as self-image, and fashion style.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using the Q methodology for survey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images of middle-aged men were classified into 'comfortable, calm, neat, and gentle,' 'realistic, active, sociable, and familiar,' 'sensible, emotional, romantic, and rational,' 'refined, emotional, luxurious, and sophisticated,' and 'aggressive, sensible, realistic, and rational.' Second, by analyzing the congruity of clothing form, fashion accessory, and fashion color types, this study was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10 fashion styles: 'modern classic,' 'sophisticated,' 'town casual,' 'traditional casual,' 'comfortable,' 'chic casual,' 'contemporary,' 'gentle classic,' 'classic sporty,' and 'soft classic.' Third, this study analyzed the self-images and fashion styles of the men, and produced the following personal tastes of middle-aged men: 'success-oriented,' 'ability possession,' 'internal stability-oriented,' 'freedom-oriented,' 'self-satisfaction,' 'individuality compromise,' 'emotional release,' 'stability-oriented,' 'practicability-oriented,' and 'youth effort' types. By combining those types with social dimensions, this study produced the following tastes of middle-aged men: 'stabilized traditions,' 'achievements with high sociality,' 'youthful individuality,' 'active self-realization,' and 'realistic, logical pursui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meaningful data for developing the marketing strategy, which reflects the middle-aged men's changed tastes.

인스타그램 이용에 나타난 패션 취향 표현 (Fashion Taste Expressions in the Use of Instagram)

  • 김희영;하지수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32-445
    • /
    • 2020
  • This study identified the utilization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fashion taste expression on Instagram, and examined the impact of the use of the media on the formation and change of fashion taste. The research method conducted 1:1 indepth interviews with 19 people in their 20s and 30s using 501 images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Posting, searching, and reading behavior on Instagram were identified in three dimensions (self-expression, information gathering, and relationship orientation). In the image of self-expression, clothes were displayed at the time so that they could be checked and applied in other ways. Accumulated posts inspired people to look back on past styles and use them to reflect on the present. A media environment that was constantly exposed to information in real time allowed people to try various styles by imitating other users' posts and share in a process of creatively exploring styles to help organize fashion tastes developmentally. Participants had selective relationships with people of similar tastes who experienced the pleasure of enjoying through the exchange of tastes in fashion. These taste mates directly influenced the formation or change of tastes, serving as a criteria for styles or presenting new styles. In this study, fashion taste was formed by individual efforts of pursuit (not a collective social class choice) and was a continuous process of constantly changing that also exploring discriminatory styles.

패션산업에서의 실시간기업 도입 방안 (Implementation Strategy for the Real-Time Enterprise in Fashion Industry)

  • 박영재;최형림;김현수;홍순구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105-118
    • /
    • 2006
  • 패션계에서 크게 성공한 스페인의 Zara, 그리고 미국의 Limited Brands사는 고객의 취향이나 유행이 매우 빠르게 변화한다는 것에 착안하여 성공한 기업들이다.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민첩한 조직(agile organization)과 고객 요구사항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감지-반응 기업(adaptive enterprise)에 대한 논의는 이전부터 제기되어왔으며 최근에는 실시간 기업(RTE; Real-Time Enterprise)이라는 개념으로 확산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패션산업의 특성을 고려한 패션산업의 실시간기업화, 즉 RTE 가 되기 위한 도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패션산업이 실시간기업화 되기 위해서는 종단간 프로세스들이 지연시간 없이 운영되어야 하며 또한 RTE의 세 가지 중요한 속성인 가시성(visibility), 지능성(intelligence), 그리고 민첩성(agility)이 확보되어야 한다. 패션산업에서의 실시간기업화를 위해 이 두 가지 축, 즉 사이클론 모델의 세 단계와 RTE 속성을 축으로 하여 여기에 패션산업의 핵심 업무인 패션머천다이징을 적용, 패션산업의 실시간기업화를 위해 추진해야할 항목들을 도출하였으며 구현 및 기술관점에서 현재까지의 솔루션들을 정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