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파종 립수

Search Result 51,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Effects of Sprout Length, $Ca0_2$ Coating and Seeding Depth on Seedling Stand and Early Growth in Puddled-soil Drill Seeding of Rice (벼 무논골뿌림재배시 최아장, 과산화석회 처리 및 파종심도가 입모수와 초기생육에 미치는 영향)

  • Kim, Sang-Su;Park, Hong-Gue;Choi, Weon-Young;Lee, Seon-Yong;Cho, Soo-Yeon;Cho, Dong-Sam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41 no.3
    • /
    • pp.295-301
    • /
    • 199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larify the effect of sprout length, burried depth of seed and CaO$_2$ seed coating on emergence, seedling stand and early growth of rice in puddled-soil drill seeding at Junbuk in 1995. The cultivar tested was Dongjinbyeo(Japonica type). Although the longer sprouted seeds were caused the better seedling stand, 4mm sprout length of seeds appeared to be appropriate for good seedling stand and seeding uniformity, while 6mm sprouted seed resulted in ununiform seedling establishment. Rapid emergence and increased seedling stand were obtained by CaO$_2$ seed coating, which had effect more on soaked seed than on sprouted seed, but the seedling stand of sprouted seeds significantly reduced at deeper than 1cm seeding depth and also emergence rate of sprouted seeds significantly reduced at deeper than 2cm seeding depth.

  • PDF

Effect of Seeding Times on Yield and Flavonoid Contents of Mungbean (녹두 파종기에 따른 수량과 Flavonoid 함량 변화)

  • Kim, Dong-Kwan;Chon, Sang-Uk;Lee, Kyung-Dong;Kim, Kyong-Ho;Rim, Yo-Sup;Jeong, Seok-Cheol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53 no.3
    • /
    • pp.273-278
    • /
    • 2008
  •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changes to the growth, yield, and flavonoid contents of mungbean according to different seeding times from mid May to mid July in the southern region of Korea. Days to first flowering, days to first maturing, and cultivation period were shorter at later seeding time than earlier seeding time. But later the seeding time was, days from first maturing to first harvesting, days required between harvesting increased. Number of pods at first harvesting and yield of mungbean were highest when seeded at late June, showing increase in yield 14% more than at early June as standard seeding time. However number of seeds per pod and 1,000-seed weight at first harvesting were highest when seeded at mid July. The number of harvesting was smallest at two times when seeded at June or mid July. The contents of average vitexin and isovitexin in mungbean were highest in the order of mid July, late June, and mid May. In particular, their contents reached its highest point in the seeds of the second harvest.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e cultivation period, yield, harvesting times, vitexin and isovitexin contents, the proper seeding time of mungbeans in the southern region of Korea will be from late June to mid July.

Cultivation Factors for Pot-plant Production of Arenaria juncea M.Bieb. (벼룩이울타리의 분화 생산을 위한 재배 요인)

  • Yeon, Soo Ho;Lee, Seung Yeon;Lee, Cheol He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04a
    • /
    • pp.59-59
    • /
    • 2019
  • 벼룩이울타리(Arenaria juncea M.Bieb.)는 7~8월에 백색의 꽃이 취산화서로 아름답게 피며, 산지, 산비탈 또는 메마른 초지에 자생한다. 청열 및 양혈의 효능이 있고, 은시호의 대용으로 쓰이며, 뿌리에는 triterpenoid saponins과 sapogenin이 함유되어 있다. 본 연구는 분화용 식물로 벼룩이울타리를 활용하기 위한 효율적인 포트 정식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실험은 2018년 선행연구에서 생산된 유묘를 7월 2일에 정식하여 10월 15일까지 약 15주 동안 재배하였다. 대조구는 플라스틱 화분 10호($9{\times}9cm$)에 원예상토를 충진하고 200구 트레이에 셀 당 4립씩 파종하여 생산된 1셀을 정식하였다. 재배 실험은 용기종류[비닐포트(3, 4치), 플라스틱 포트(8, 10, 12호)], 토양 종류[원예상토, 중화 피트모스:펄라이트(3:1, 4:1), 마사토:중화 피트모스(2:1, 3:1)], 묘의 소질[파종 립수(1, 2, 4, 6립), 파종 용기(162, 200, 288구 트레이)] 등을 달리하여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 벼룩이울타리는 토양의 양이 많을수록 생육이 양호한 결과를 보여, 플라스틱 12호에 재배하는 것이 분화용으로 가장 효과적이었다. 한편, 비닐 4치와 플라스틱 10호의 경우, 플라스틱 12호와 생육에 큰 차이가 없어 경제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벼룩이울타리는 원예상토에서 재배하는 것이 전반적으로 생육이 우수하였으며, 다음으로 마사토와 피트모스 혼용토 순이었다. 그러나 피트모스와 펄라이트 혼용토는 비율과 관계없이 생육이 감소하며, 잎에 황백화 현상이 나타났다. 셀당 파종량을 달리하여 육묘한 후 정식한 결과, 전반적인 생육은 1립 파종묘에서 양호하였으나, 2, 4, 6립 파종묘가 1립 처리구에 비해 포트당 엽수가 약 1.35, 1.44, 2.01배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므로 유묘 생산시 셀당 파종량을 늘려 재배하는 것이 분화용으로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파종용기별 유묘의 생육은 162, 200, 288구 트레이 순이었으나, 정식 후 약 15주 동안 재배한 결과, 162, 200구에서 생산된 유묘를 정식하는 것이 288구보다 양호하였다. 따라서, 육묘 단계에서 토양 및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200구에 파종하여 재배하는 것이 효율적인 방법으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벼룩이울타리의 분화용 재배는 플라스틱포트 12호에 원예상토를 충진하고 200구 트레이에 4립 또는 6립을 파종하여 육묘한 묘를 정식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한편,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할 때, 재배면적을 적게 차지하는 비닐포트 4치 또는 플라스틱 포트 10호에 마사토와 중화 피트모스를 혼용하여 충진한 다음 유묘를 이식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으로 판단된다.

  • PDF

Pot Cultivation Method of Veronica rotunda Nakai (둥근산꼬리풀의 포트 재배 방법)

  • Yeon, Soo Ho;Lee, Seung Yeon;Lee, Cheol He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04a
    • /
    • pp.88-88
    • /
    • 2019
  • 현삼과(Scrophulariaceae)의 둥근산꼬리풀(Veronica rotunda Nakai)은 흰색의 꽃이 총상화서로 피며, 관상용으로 쓰인다. 또한, 접선골도라 하여, 전초를 약용하고 활혈, 지혈, 청폐열, 화간위에 효능이 있는 자생식물이다. 본 연구는 둥근산꼬리풀의 포트 재배방법 확립을 위하여 2018년 5월 15일에 파종하여 생산된 유묘를 7월 16일에 정식하여 10월 15일까지 약 14주 동안 수행하였다. 식재용기 실험은 비닐포트[3치($7{\times}7cm$), 4치($9{\times}8.5cm$)]와 플라스틱 화분[8호($7{\times}7cm$), 10호($9{\times}9cm$), 12호($10.5{\times}10.5cm$)]를 이용하였고, 토양 종류[중화 피트모스:펄라이트(3:1, 4:1), 마사토:중화 피트모스(2:1, 3:1)], 묘의 소질[파종 립수(1, 2, 4, 6립), 파종 용기(162, 200, 288구 트레이)] 등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조구는 플라스틱 화분 10호에 원예상토를 충진하고 200구 트레이에 4립씩 파종하여 생산된 1셀을 정식하였다. 연구의 결과, 식재용기에 따른 둥근산꼬리풀의 생육은 플라스틱 12호 화분에서 가장 양호하였으며, 토양의 양이 많을수록 전반적인 생육이 증가하였다. 토양 종류별로는 원예상토에서 재배한 처리구에서 양호한 생육을 보였다. 중화 피트모스와 펄라이트 3:1 혼용토의 경우, 원예상토와 전반적인 생육에 큰 차이가 없어 이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피트모스의 비율이 높은 4:1 혼용토에서는 비교적 생육이 억제되었으며, 잎이 황화되었다. 마사토와 중화 피트모스의 혼용토는 원예상토에 비해 왜화되는 결과를 보였으며, 측지수, 마디수, 엽수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 그러나 개화율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보였다. 셀당 파종한 종자의 양을 달리하여 생산된 유묘를 정식하여 재배한 결과, 전반적인 생육은 1립 파종구에서 양호하였다. 한편, 파종량이 많을수록 초장, 절간장이 감소하며, 포트당 마디수, 측지수 및 개화율이 증가하여, 본 연구의 목표인 관상적 이용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파종용기별 생산된 유묘이식 결과, 초기생육이 왕성할수록 후기생육도 우수하였다. 162구 생산묘 정식구는 다른 처리구보다 전반적으로 생육이 왕성하였으며, 다음으로 200구 순이었다. 파종용기에 따른 묘의 크기는 정식 후의 개화율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둥근산꼬리풀의 재배는 플라스틱 화분 12호에 원예상토를 충진하여 162구 트레이에 셀당 6립 파종하여 생산된 유묘를 정식하는 것이 분화용 재배에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재배에 이용되는 토양의 종류에 따른 비율 및 개화촉진 등의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PDF

Several Factors Affecting of Veronica rotunda var. subintegra (Nakai) T.Yamaz. for Pot Cultivation (몇 가지 요인이 산꼬리풀 분화재배에 미치는 영향)

  • Lee, Sang In;Yeon, Soo Ho;Lee, Seung Yeon;Lee, Cheol He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04a
    • /
    • pp.87-87
    • /
    • 2019
  • 현대인의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른 관상식물의 관심이 증가하여, 자생초화류를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산꼬리풀[Veronica rotunda var. subintegra (Nakai) T.Yamaz.]은 국내 특산식물로서 산지의 초원에서 자생하고, 쪽빛을 내는 화기는 청아한 느낌을 주어 관화식물로서 이용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는 산꼬리풀의 분화 재배기술을 확립하고자 2018년 7월 2일부터 10월 15일까지 수행하였다. 대조구는 플라스틱 화분 10호에 원예상토를 충진한 다음 200구에 셀당 4립 파종하여 생산된 유묘를 정식하였다. 실험은 식재용기(플라스틱 8, 10, 12호 화분, 비닐포트 3, 4치), 토양종류[원예상토 단용, 중화 피트모스:펄라이트(3:1, 4:1), 마사토:중화 피트모스(2:1, 3:1)], 묘의 소질[파종립수(1, 2, 4, 6립), 파종용기(162, 200, 288구 트레이)] 등이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식재용기에 따른 생육은 플라스틱 화분 12호에서 왕성하였고, 포트의 용적량이 클수록 경직경, 측지수, 마디수, 엽수, 개화율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토양종류에 따른 생육은 원예상토에서 가장 왕성하였고, 측지수, 경직경, 마디수, 엽수 및 개화율이 모두 우수하여 관상용 재배에 적합하였다. 피트모스 혼용토는 생육이 억제되는 동시에 잎이 황화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마사토 혼용토의 경우, 생육이 억제되는 결과를 보였다. 셀당 파종량을 달리한 유묘를 정식하여 재배한 결과, 초장, 절간장은 파종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포트당 마디수와 엽수는 증가하였으나, 1립 파종묘를 제외하고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개화율은 4립 파종묘(44.4%)가 1, 2, 6립 파종묘(20.8~25.0%)보다 높았다. 육묘용기별 생육은 초기생육이 우수하였던 162구 생산묘가 정식 후 재배에도 왕성한 생육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산꼬리풀의 최적의 분화재배를 위해 플라스틱 화분 12호에 원예상토를 충진한 다음 162구 트레이에 포트당 엽수와 개화율이 높은 4립 파종하여 생산된 유묘를 정식하여 재배하는 것이 우수할 것으로 판단된다. 경제적 측면을 고려하여 토양은 비교적 생육이 양호하였던 마사토의 활용방안을 검토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Effect of Planting Density and Seeding Date on the Tiller Aspect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Proso Millet (Panicum miliaceum L.) (재식밀도 및 파종기 이동에 따른 기장(Panicum miliaceum L.)의 분얼발생 양상 및 생육 특성)

  • Yoon, Seong-Tak;Han, Tae-Kyu;Jeong, In-Ho;Kim, Young-Jung;Yu, Je-Bin;Yang, jing;Ye, Min-Hee;Han, Kwang-Seop;Baek, Seung-Woo;Kim, Soon-Il;Lee, Myung-Cheol;Kim, Kun-Woo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29 no.4
    • /
    • pp.511-518
    • /
    • 2016
  • The subject of this experiment is to supply basic data to inhibit non-productive tillers which are uneconomical for mechanical harvesting and to evaluate optimum planting density and sowing date in central district. Total number of tillers and effective first and second of tillers according to different planting density was higher in 80 ㎝ ridge than 60 ㎝ ridge in proso millet. The wider between plant distance on the ridge, the more increased total number of tillers and effective first and second of tillers. The highest effective tillers (91.7 %) in the first tillers was obtained from the second sowing date (23 May) among different sowing date and next is in the order of 3rd(13 June, 89.8%) > 1st(2 May, 85.6%) > 4th(4 July, 85.2%). The percentage of effective tillers in the second tillers was decreased in the order of 2 May (53.7%), 23 May (40.7%), 13 June (22.2%), 4 July (0%) as the sowing date was delay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ays to heading and days to ripening according to different planting density. Although culm length was increased as planting density was increased, whereas number of tillers, stem diameter, ear length, grains per ear and 1000 grain weight was decreased. In the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of proso millet according to different sowing date, days to heading and days to ripening, culm length, stem diameter, ear length, grains per ear and yield per 10a were decreased. After the sowing date of 13 June, the reduction of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were higher because of excess-moisture injury.

Effects of Seedling Container, Soil Composition, Seeding Rates and Fertilizer Conditions on Seedling Growth Characteristics of Elsholtzia byeonsanensis M. Kim (변산향유 유묘 생장에 미치는 파종용기, 토양조성, 파종량, 추비조건의 영향)

  • Lee, Sang In;Park, Ji Woo;Kwon, Ye Eun;Kim, Sang Young;Cho, Wonwoo;Jeong, Mi Jin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35 no.1
    • /
    • pp.29-35
    • /
    • 2022
  • Elsholtzia byeonsanensis is a Korean native plant of the Lamiaceae family, and was first introduced in the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This plant has a short plant length of 20-35 cm, with leathery and glossy leaves. The purple flowers bloom in November, so they are highly useful as potted or ground cover ornamental plants. In this study, tray cell size (128, 162, and 200-cell trays), soil composition [horticultural soil (HS): decomposed granite (DG) 1:1, 1:2, and 1:4 (v:v)], seeding rate (1, 2, and 3 seeds per cell) and additional fertilizer concentrations (0, 250, 500, and 1000 mg/L Hyponex) were tested to find out the optimum seedling growth conditions. As a result of the study, E. byeonsanensis growth increased proportionally as the cell size of the tray increased. The growth was inhibited as the percentage of DG increased. As for the growth according to the seeding rate, plant height, plant width, leaf length, and leaf width decreased as the seeding rate increased,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number of leaves, stem diameter, and root length. There was an increasing trend in seedling growth as the additional fertilizer concentration increased. Therefore, for producing E. byeonsanensis seedling, it is most effective to fill HS or HS:DG 1:1 in 128-cell trays, sow one seed per cell, and spray the seedling at 1000 mg/L for additional fertilizer.

Optimum N Topdressing for Tillering in Ridge Direct Seeding on Dry Paddy of Rice as an Irrigation Water-Saving Cultural System (벼 휴립건답직파 절수재배에 알맞은 질소 분얼비 시비량)

  • 최원영;김상수;송동석;최선영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3 no.2
    • /
    • pp.75-80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optimum proper nitrogen (N) application rate for tillering in ridge direct seeding on dry paddy of rice culture. During 1998, a series of experiments was carried out at paddy field (Chonbuk series) of the National Ho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RDA using Dongjinbyeo. Leaf area index and top dry weight increased with higher N levels, especially in the 100 kg/ha seeding rate compared with the 60 kg/ha seeding rate. N use efficiency increased at increased by 50~75% of the N topdressing rate at tillering. Heading date, ripened grain rate, and 1,000-grain weight of brown rice did not vary among the rate of topdressing for tillering and seeding rates. The highest grain number per unit area was at the level of increased by 75% in N topdressing at tillering stage. Milled rice yield increased 5% at the 60 kg/ha seeding rate and increased 16~17% at the 100 kg/ha seeding rate at increased by 50~75% of topdressing N compared with 48 kg/ha topdressed N of 60 kg/ha seeding rate.

  • PDF

Comparison of the Seed Productivity of Italian Ryegrass in Different Regions (다른 지역에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종자 생산성 비교)

  • Byeon, Ji-Eun;Lee, Hong-Ju;Hwang, Sun-Goo;Ryoo, Jong-Won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66 no.4
    • /
    • pp.428-434
    • /
    • 2021
  • To study whether the area under the cultivation of Italian ryegrass (IRG) has increased with rise in global temperatures,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limatic variables on seed productivity in different parts of Gangwon-do, South Korea. Specifically, IRG was cultivated in the western (Gangneung), central (Wonju), and northern (Chuncheon) parts of Gangwon-do. The heading date of IRG in Gangneung was earlier than that in the other regions. Moreover, the values of agronomic traits, including spikelets per spike, grains per spike, and thousand-grain weight, were lower in Chuncheon.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spikelets per spike and grains per spike between Wonju and Gangneung. Additionally, the thousand-grain weight and seed production were higher in Gangneung. Statistical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limatic variables and agronomic traits revealed that the mean daily minimum temperatur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ed formation-related traits in April and seed maturity-related traits in May. In the light of rising minimum temperatures in Gangwon-do, Gangneung, Chuncheon and Wonju are suitable areas for IRG cultivation with optimal seed productivity.

Effect of Organic Fertilizer Application on the Agronomic Traits and Amino Acid Content of Wheat (유기질 비료 시비가 밀의 농업형질 및 종자 아미노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

  • Park, Hyoung-Ho;Kim, Dea-Wook;Hwang, Jong-Jin;Kim, Jung-Tae;Kim, Wook-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Organic Agriculture Conference
    • /
    • 2009.12a
    • /
    • pp.322-322
    • /
    • 2009
  • 국내산 밀을 유기농 재배하여 친환경 농산물 인증을 받으려면 파종에 필요한 종자도 유기농으로 생산된 것(유기종자)을 사용해야한다. 국립식량과학원에서는 유기종자 생산용 밀 품종 선발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관련 시험으로서 유기질 비료 시비가 밀의 농업형질 및 종자의 아미노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무비, 화학비료 및 유기질 비료를 시비한 시험구에 금강밀 등 24개 밀 품종을 파종하여 시험 구별로 출수기 등 농업형질과 수확된 종자의 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하였다. 밀의 출수기는 시비 조건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성숙기는 유기질 비료 시비조건에서 화학비료 및 무비보다 1일과 2일 지연되었다. 밀의 간장, 수장, 수수, 수당립수 및 L중은 시비의 종류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한편, 유기질 비료 시비에 따른 밀 종실수량(368.4kg/10a)은 무비 및 화학비료보다 각각 25%와 8%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밀 종자의 전체 아미노산 함량은 무비<화학비료<유기질비료 순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각각의 아미노산별로 시비조건에 따른 함량차이를 조사한 결과, Glutamate 등 13종의 아미노산은 시비조건에서 5~16% 증가하였다. Alanine 함량의 경우 무비조건에 비하여 유기질 비료 시비조건에서 38% 증가하였으나 화학비료 시비조건에서는 12% 감소하였다. 한편, tyrosine, phenylalanine 및 proline은 유기질 비료 시비조건에서 11~29% 감소하였으나, 화학비료 시비조건에서 9~36% 증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