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파워순환적 접근

Search Result 5, Processing Time 0.02 seconds

A Study On The Co-survival And Collaboration Of Organization And Its Environments (조직과 환경의 상생과 협력에 관한 연구)

  • Lee, Kyung-Hwan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4 no.5
    • /
    • pp.239-256
    • /
    • 2009
  • The major issues of managing an organization and its environments are on how to establish a community for their co-survival and collaboration. This study is on the principles and management practices for establishing the community of organization and its environments based on the power circulatory approach, so that it contributes to creation of the social orders for co-survival and collaboration. In order to do this I discussed the theories and practices of the power circulatory approach, and then suggest their application to establishment of the co-survival community for organization and its environment. According to results the power circulatory approach offers theoretical and managerial tools which establish the co-survival community for organization and its environments, so that it increases likelihood of their co-survival and collaboration. Furthermore I discussed the position of the power circulatory approach to co-survival and collaboration in a manner that display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ith exiting approaches such as the contingency and population ecology model.

A Study on building the KMS for development of the Leadership - Based on the Power Process Methord - (리더십 향상을 위한 지식경영시스템 구축방안 -POWER PROCESS를 중심으로)

  • Lee Byung-Ku;Lee Kyu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6.05a
    • /
    • pp.351-367
    • /
    • 2006
  • 리더십에 관한 연구는 리더십 특성요인연구, 리더십 contingency 연구, 특성이론적 접근, 행동적 접근, 상황이론적 접근 등이 있으나, 이러한 접근방법이 언제나 긍정적인 리더십을 유발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긍정적이고 일관된 리더십을 만들어 내기 위해서는 리더십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요청된다. 리더십에 대한 연구는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으나, 문헌연구에서 볼 때 리더십은 파워라는 공통 요소를 가지고 있다. 파워는 사람으로 하여금 목적지향적인 행동을 유발하는 능력이며, 문헌에 나타난 리더십의 개념은 조직구성원으로 하여금 목적지향적인 행동을 하게하는 능력이다. 따라서, 리더십은 권력의 한 유형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리더십을 power process에 기초한 권력순환적 관점에서 연구하고자 한다. Power process는 권력요소, 가치, 욕구, 환경, 관계의 다섯 가지 권력결정요소들의 상호작용 과정이다. 이러한 상호작용을 통해서 power process는 권력의 원천을 창출하는데 이 원천에 의한 권력행사는 긍정적인 결과를 유발한다(이경환, 2001). 앞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리더십은 권력의 한 유형이므로, power process에 의한 리더십 행사를 실증연구를 함으로서 지식경영시스템 구축을 위한 요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실증적 연구에서 리더는 자신의 권력요소(타고난 능력, 소질, 경험 등=경영자특성)와 욕구, 가치(경영철학) 관계성 및 환경과 같은 파워결정요소(리더십 결정요소)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의 리더십 원천을 창출할 때 즉, power process를 통해 리더십을 행사할 때 이러한 리더십은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결과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리더십 성과 향상을 위한 지식경영정보시스템은 파워결정요소적 측면에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모델과 독립성 모델에서는 시스템 등급에 영향을 준다. 향후에는 더욱 더 다양한 상호의존 모델들이 정량화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진행하였다. 줄여서 보다 더 정확하고, 지능적인 규칙구성요소 추출 방법론을 제시하고 구현하여 지식관리자의 규칙습득에 대한 부담을 줄여 주고자 한다.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을 거치도록 되어있다. 교통주제도는 국가의 교통정책결정과 관련분야의 기초자료로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ITS 노드/링크 기본지도로 활용되는 등 교통 분야의 중요한 지리정보로서 구축되고 있다..20{\pm}0.37L$, 72시간에 $1.33{\pm}0.33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므로(F=6.153, P=0.004), 술 후 폐환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다. 4) 실험군과 대조군의 수술 후 노력성 폐활량은 수술 후 72시간에서 실험군이 $1.90{\pm}0.61L$, 대조군이 $1.51{\pm}0.38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2.620, P=0.013). 5) 실험군과 대조군의 수술 후 일초 노력성 호기량은 수술 후 24시간에서 $1.33{\pm}0.56L,\;1.00{\ge}0.28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t=2.530, P=0.017), 술 후 72시간에서 $1.72{\pm}0.65L,\;1.33{\pm}0.3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2.540, P=0.016). 6) 대상자의 술 후 폐환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폐환기능의 차이를 보면, 실험군의 술 후 노력성 폐활량이 48시간에 남자($1.78{\pm}0.61L$)가 여자($1.27{\pm}0.45L$)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t=2.170, P=0.042),

  • PDF

An Empirical Study on Establishing a SIS for the Efficiency of SCM: Based on Power Process Perspective (공급사슬관리의 효율성을 위한 전략정보시스템의 구축에 관한 연구: 권력순환적 접근을 중심으로)

  • Jeon Jae-Woan;Lee Kyung-Hwan;Kim Jong-Weon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1 no.2
    • /
    • pp.103-116
    • /
    • 2006
  • This study suggests the effective approach that successfully establishes the supply chain management(SCM) system as a strategic weapon. To do so, the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investigation which consisted of the five elements of power process, such as power element, needs, value, environment, relationship, strategic types of SCM, and the manufacturing performan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rategic type of SCM with active power process had higher manufacturing performance than other strategic types of SCM.

  • PDF

A Study on establishing a SIS for the efficiency of SCM - based on Power process Methodology - (공급사슬 관리(SCM)의 효율성을 위한 전략정보시스템의 구축에 관한 연구 - 권력순환적 접근을 중심으로 -)

  • Jeon Jae-Woan;Lee Kyu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6.05a
    • /
    • pp.368-385
    • /
    • 2006
  • 본 연구는 효율적인 공급사슬관리(SCM)을 위한 전략 정보시스템 구축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효율적 공급사슬관리를 위한 전략정보시스템 구축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파워 프로세스의 관점에서 파악하고 이를 실증 연구를 통해 보다 효율적인 전략정보시스템으로서의 SCM 전략의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공급사슬관리의 효율적 운영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영향요인들에 관한 기존 연구와 함께 파워 프로세스의 요소와의 연계를 통해 전략정보시스템으로서의 SCM 전략 유형을 제시하고 이의 특징을 연구의 범위로 설정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과 연구범위를 위해, 먼저 선행 연구된 파워 프로세스의 권력 주체가 권력요소, 가치 욕구, 환경, 관계성이라는 기본적인 다섯가지 권력 결정변수들간의 동적 상호작용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과정을 살펴보며, 이러한 파워프로세스에 의한 전략이 권력 결정변수에 대한 가중치에 의해 전략의 유형이 결정되며, 이 유형에 따르는 전략 효과는 그 가중치와 결정 변수들간의 상호작용에 크게 의존되고 있음을 밝혀내고자 한다. 또한, 공급기업과 공급받는 기업들간의 이러한 관계는 기업이 사용하고 있는 전략적 정보시스템(SIS)으로서의 SCM 전략 유형과 일반적으로 높은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지며, 더욱이 기업의 정보가치에 대한 높은 인식으로 인한 디지털 경제하에서의 상호간 전략적 형성을 위해서는 더욱 파워프로세스적 관점하에서 SCM 전략 유형과 전략적 정보시스템간의 통합적으로 고찰함으로써 그 유용성을 살펴볼 수 있고 그러한 결과는 기업성과에 밀접한 영향을 주고 있음을 본 논문에서 밝히고 있다.더십을 행사할 때 이러한 리더십은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결과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리더십 성과 향상을 위한 지식경영정보시스템은 파워결정요소적 측면에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모델과 독립성 모델에서는 시스템 등급에 영향을 준다. 향후에는 더욱 더 다양한 상호의존 모델들이 정량화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진행하였다. 줄여서 보다 더 정확하고, 지능적인 규칙구성요소 추출 방법론을 제시하고 구현하여 지식관리자의 규칙습득에 대한 부담을 줄여 주고자 한다.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을 거치도록 되어있다. 교통주제도는 국가의 교통정책결정과 관련분야의 기초자료로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ITS 노드/링크 기본지도로 활용되는 등 교통 분야의 중요한 지리정보로서 구축되고 있다..20{\pm}0.37L$, 72시간에 $1.33{\pm}0.33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므로(F=6.153, P=0.004), 술 후 폐환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다. 4) 실험군과 대조군의 수술 후 노력성 폐활량은 수술 후 72시간에서 실험군이 $1.90{\pm}0.61L$, 대조군이 $1.51{\pm}0.38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2.620, P=0.013). 5) 실험군과 대조군의 수술 후 일초 노력성 호기량은 수술 후 24시간에서 $1.33{\pm}0.56L,\;1.00{\ge}0.28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t=2.530, P=0.017), 술 후 72시간에서 $1.72{\pm}0.65L,\;1.33{\pm}0.3L$로 유의한

  • PDF

The Development and Features of Discussion about Community Design (커뮤니티디자인의 전개와 논의의 특징)

  • Kim, Yun-Geum;Reigh, Young-Bum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0 no.3
    • /
    • pp.22-31
    • /
    • 2012
  • This study was prompted by the recognition that the tenn "Community design" has recently been used in diverse practical fields without prior discussion about its underpinnings, a potentially problematic state of affairs. Based on these problems, this study studied the special quality about the concept of community design. Community design can be discussed from two perspectives. The first views community design as a design that concerns the community, an inhabited area populated with people who have common interests, at least in part because of geographic proximity to each other. The second sees community design as a movement that started in the 1960s and places a great importance on democratic decision making,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latter. This branch of community design encompasses an advocacy planning approach, in which design professionals represent deprived communities in their resistance against comprehensive redevelopment. This was associated to the wider social protest movements of the mid and late 1960s. In the 1970s, this branch of community design was developed alongside community design centers, which provided local-level technical assistance to the communities on a number of issues, such as design and planning. The discussion about community design started in earnest from the early 1980s. A review of the literature m community design reveals several characteristics. First, community design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several aspects of a region, including the social and cultural. Second, it involves community participation, which many scholars believe is the core of community design. Specifically, community design has been characterized by increased participation and democratic debate and decision making. The Third is about communication methods. Since the 1960s, diverse methods had been developed to promote communication effectively. Finally, community design must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designers, who typically value aesthetics and efficiency of form, and the needs of the community with which they are working. Indeed, some scholars believe that this relationship is generally contentious, although the designer can also be thought of as the facilitator of the community's needs. As community design practice becomes more prevalent, a review of the foundation of institution and policy and the role of experts is also needed. The community design movement bas been theorized ex post facto through diverse discussion that has sought to ascribe meaning and direction to its practice. In other words, the relationship between this theory and practice is cyclical. Therefore,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virtuous cir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