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파라메트릭 모델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1초

내재해형 온실구조의 해석을 위한 구조모델 (Structural Analysis Modeling of Disaster Resilient Greenhouse Structures)

  • 정지은;김대진;김홍진;신승훈;김진원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30권1호
    • /
    • pp.7-15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온실 구조물의 구조 성능 검토 시 적합한 모델링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대상 온실 구조물을 선정하고 지점 및 접합부 조건 그리고 케이블 요소의 단면적을 변화시켜 가며 파라메트릭 스터디를 수행하였으며, 이들 파라메터의 변화에 따른 대상 구조물의 주요 모드 형상 및 고유진동수 변화를 조사하였다. 또한 대상 구조물에 대해 현장 가속도계 측정법을 이용하여 상시진동을 계측하여 주요 모드 형상 및 고유진동수를 측정하여 해석 결과와 비교하였다. 이들 비교 결과로부터 대상 온실 구조물의 해석에 적합한 모델링 기법을 제시하였다.

탄소섬유 복합재료-금속 하이브리드 팬터그래프 상부암 설계 (Design of CFRP-Metal Hybrid Pantograph Upper-arm)

  • 전승우;한민구;장승환;조용현;박철민
    • Composites Research
    • /
    • 제28권5호
    • /
    • pp.327-33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고속철도 경량화를 위해 금속-탄소섬유 복합재료 하이브리드 팬터그래프에 대한 파라메트릭 연구를 수행하였다. 강철로 구성된 기존 팬터그래프의 고강성 및 경량화를 구현하기 위하여 금속 상부암의 내부와 외부를 적절한 두께로 가공하고 그 후 복합재료를 적층한 금속-탄소섬유복합재료 하이브리드 상부암을 설계하였다. 하이브리드 상부암의 구조강성과 질량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금속을 강철과 알루미늄으로 결정하였다. 각 설계 파라메터의 변화에 따른 구조의 강성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팬터그래프 CX-PG 모델에 접목시켜 실제 수직하중에 따른 강성과 질량 변화율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고강성, 경량화 팬토그래프 설계를 위한 적절한 형상조건을 제안하였다.

3차원 파라메트릭 모델을 활용한 20대 성인 여성용 브리프 패턴 설계 (Briefs Pattern Making for Women in their 20's using 3D Parametric Human Body Model)

  • 최신애;박순지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642-649
    • /
    • 2010
  • This study was designed to generate briefs pattern for women in their twenties using 3D parametric body model. 151 women in their 20's were random sampled and measured using Martine's anthropometry. And one subject was chosen as the representative subject for 3D scanning. Parametric model was generated of using CATIA P3, Unigraphics NX4.0, Rapidform 2006. And the 3D surface of parametric body model was flattened onto the 2D plane. 3 downscale ratios(0%, 10%, 15%) were applied to generated pattern to figure out what downscale ratio was suitable to make briefs with stretch fabric. 4 kinds of experimental briefs were made with stretch fabrics(0%, 10%, 15% downscale) and worn on the dressform. Subjective evaluation on the appearance was done and the data was analyzed by ANOVA with post-hoc test. Briefs pattern was generated through the process of flattening the parametric surface and arranging the patches to make briefs pattern by dart manipulation. The different ration of outline and area between 3D surface and 2D pattern were 0.22% and 0.09% respectively. It showed that a parametric model could provide a desirable pattern with minute size error. The results of subjective evaluation on the appearance of 4 experimental briefs showed that stretch briefs with 15% downscale ratio was evaluated most highly in most items. Findings imply that it is feasible to apply 3D parametric model to generate patterns for various items considering various fabric properties.

밀착의형 3차원 파라메트릭 모델을 활용한 상반신 원형의 다트 및 절개분리선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tting Darts and Split Lines of Upper Bodice Pattern on 3D Parametric Model dressed with Tight-fit Garment)

  • 박순지;김혜진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67-476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lausible methodology based on experimental data how to set up darts and split lines on 3D parametric body dressed with tight-fit garment.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Through the process of making convex hull, the concave parts were straightened to make a convex hull, especially in the center part of bust, under breast part and scapular part. To figure out the optimum positions of darts and split lines, the inflection points of curve ratio were searched along the horizontal polylines of waist and bust. This procedures produced reliable results with low deviation. Using Rapidform, CATIA and Unigraphics, six patches of bodice patterns were drawn and aligned. Paired t-test results showed the outline and area between 3D surface and 2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meaning this method could be adaptable when flattening 3D surfaces. The amount of waist dart measured on the pattern showed that the highest portion was allocated on 2nd dart(back), followed by 1st dart(back), 1st dart(front), 2nd dart(front)/side dart, and center back dart. A series of findings suggested that curve ration inflection point could be used as a guide to set up darts and split line on 3D parametric model with low deviation.

계면 결합력과 나노튜브의 응집에 따른 나노튜브/고분자 복합재의 탄소성 거동 예측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Elastoplastic Behavior of Carbon Nanotube/Polymer Composites)

  • 양승화;유수영;류정현;조맹효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6권6호
    • /
    • pp.423-43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탄소나노튜브와 폴리프로필렌 기지 간 계면결합력과 나노튜브의 국부적 응집에 따른 나노복합재의 탄소성 거동 변화에 대한 파라메트릭 연구를 수행한다. 나노복합재의 탄소성 거동 예측을 위해 분자동역학 전산모사를 수행하고, 분자동역학 결과와 Mori-Tanaka 모델을 적용한 비선형 미시역학 모델을 연계하여 나노복합재 내 흡착계면의 탄소성 거동을 역으로 도출하는 2단계 영역분할 기법을 적용하였다. 미시역학 모델에서는 시컨트 계수방법을 Mori-Tanaka 모델에 적용하여 나노복합재의 비선형 거동을 예측하는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나노튜브와 기지 간 재료계면의 불완전 결합을 고려하기 위해 변위 불연속 조건을 적용하였다. 흡착영역을 고려한 미시역학 모델을 통해 흡착계면의 유무 및 재료계면 결합력 변화 그리고 나노튜브의 국부적 응집현상에 따른 나노복합재의 응력-변형률 관계를 예측하였다. 그 결과 나노튜브의 국부적 응집이 나노복합재의 강화효과를 저하시키는 가장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저탄소 토공을 위한 솔리드 모델링 및 건설장비 플릿관리 방법론 (An Approach for Solid Modeling and Equipment Fleet Management Towards Low-Carbon Earthwork)

  • 김성근;김규연;박주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2호
    • /
    • pp.501-514
    • /
    • 2015
  • 토공작업은 모든 종류의 토목공사에 기본이 되는 공종으로 공기, 공사비와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토공은 그룹으로 형성된 다수의 건설장비들이 필요한 기계화 작업이며 건설장비로 인하여 많은 연료를 소비하는 작업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토공작업은 건설장비 운전자의 경험과 직관에 의하여 수행되기 때문에 낮은 생산성, 높은 연료사용량 및 탄소를 많이 배출시킬 수 있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책의 하나로 건설장비 플릿관리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건설장비 플릿관리 시스템은 효과적인 토공계획, 최적의 건설장비 할당, 효율적인 건설장비 운영, 빠른 정보교환 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장비 플릿관리 시스템 구축시 필요한 주요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토공작업을 위한 3D 솔리드 파라메트릭 모델 형성, 옥트리를 이용한 토량배분, 건설장비 플릿구성 및 운영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건설장비 플릿관리 시스템의 효용성을 건설장비 가동률, 연료사용량, 이산화탄소 배출량 측면에서 검증해 보기 위하여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초고층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전산최적설계 프로세스 (Computational Optimization for RC Columns in Tall Buildings)

  • 이윤재;김치경;최현철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6권3호
    • /
    • pp.401-409
    • /
    • 2014
  • 이 연구는 초고층 건물의 철근콘크리트 기둥 단면을 최적화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검증, 보완한 실용화 연구이다. 최적설계변수는 콘크리트 강도와 단면형상으로 구조엔지니어에 의해 수행된 1차적인 구조설계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설계변수들을 순수하게 수치적 관점에서 전산최적화한 실례를 소개, 제시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외부의 해석 솔버로부터 원 해석모델에서 산출한 부재 응력을 받아오고 이를 기준으로 최소 비용을 만족하는 단면형상을 찾는 전산최적설계 컴포넌트를 새롭게 개발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콘크리트 강도를 사전 가정하고 각 강도별로 1차 최적 단면형상을 산출한 다음 그 결과들을 비교 검토해 서로 다른 두 강도에 대한 단면형상이 최대한 유사한 지점에서 콘크리트 강도를 변경하는 최적설계 시나리오를 제안하였다. 이상의 프로세스는 현업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특정 부재의 최적설계만을 위해 집중적으로 개발된 것이므로 구조적 관점에서 미시적이고 수학적 관점에 치중하였다는 한계를 가진다. 그러나 현업에의 적용을 위해 실용적 관점에서 알고리즘 및 프로세스를 강도 높게 검증, 보완한 결과물이므로 차후 발전적 적용 및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