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특이 mRNA

검색결과 191건 처리시간 0.033초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이 전립선암 세포주와 전립선비대 백서모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Unripe Black Raspberry Extracts on Prostate Cancer Cell Line and Rat Model of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 이수정;최혜란;이정현;권지웅;이희권;정종태;이태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507-515
    • /
    • 2014
  • 본 연구는 전립선암세포주인 LNCaP 세포주와 테스토스테론으로 유도된 전립선비대 백서모델에서 복분자 추출물의 전립선비대 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첫째, 전립선암 세포주(LNCaP)에서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의 안드로겐 관련 전립선비대 유전자 억제 효과를 조사한 결과 미숙과 50% 에탄올 추출물은 안드로겐 수용체(AR)뿐만 아니라 전립선특이항원(PSA)과 5-알파 환원 효소 type 2(5AR2)의 발현을 가장 높게 억제하였다. 또한 LNCaP 세포에 DHT로 안드로겐 관련 유전자를 유도한 후 복분자 미숙과 50%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AR과 PSA mRNA의 발현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둘째, 테스토스테론을 이용하여 전립선비대를 유도한 동물모델에서 복분자 미숙과 50% 에탄올 추출물을 6주간 투여한 후 전립선비대 개선 효과를 조사한 결과, 전립선비대유발군에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 전립선 무게, 전립선 소포의 상피세포 두께 및 면적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전립선비대 유발 호르몬인 DHT level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사시나무(Populus alba × P. glandulosa)에서 분리한 non-specific Lipid Transfer Protein (ns-LTP) 프로모터의 특성 분석 (Characterization of a non-specific Lipid Transfer Protein (ns-LTP) promoter from poplar (Populus alba × P. glandulosa))

  • 조진성;노설아;최영임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2권4호
    • /
    • pp.356-363
    • /
    • 2015
  • 나무의 유전 공학적 연구를 위해서는 목본 고유의 유전자 및 프로모터 연구가 필수적이다. 우리는 포플러(P. alba ${\times}$ P. glandulosa)의 Pagns-LTP 유전자의 867 bp 프로모터를 분리하였고, ${\beta}$-glucuronidase (GUS) reporter 유전자를 이용한 프로모터의 형질전환 포플러를 제작하여 특성 분석하였다. Pagns-LTP 유전자는 어린뿌리에서 강하게 발현되었고 어린잎에서는 약하게 발현되었으며, 그밖에 다른 조직에서는 발현되지 않았다. 또한, 프로모터의 활성은 뿌리와 어린잎에서 한정되었으며 어린뿌리의 세포 전체에서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에 포플러 ns-LTP 프로모터 내의 cis-element를 조사하고 현사시나무에서 Pagns-LTP 프로모터를 분리한 후 활성을 분석하였다. 프로모터 내의 cis-element를 분석한 결과, 조직 특이적 발현과 호르몬 및 스트레스에 반응하는 다양한 cis-element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포플러의 ns-LTP는 생장뿐만 아니라, 스트레스에도 관여할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목본의 유전자 기능 분석 및 다양한 응용 연구를 위해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도구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Phage Display 방법을 이용한 B형 간염 바이러스의 Terminal Protein 특이 scFv 항체 생산 (Terminal Protein-specific scFv Production by Phage Display)

  • 이명신;권명희;박선;신호준;김형일
    • IMMUNE NETWORK
    • /
    • 제3권2호
    • /
    • pp.126-135
    • /
    • 2003
  • Background: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in the prognosis of chronic hepatitis B patient is the degree of replication of hepatitis B virus (HBV). It has been known that HBV DNA polymerase plays the essential role in the replication of HBV. HBV DNA polymerase is composed of four domains, TP (Terminal protein), spacer, RT (Reverse transcriptase) and RNaseH. Among these domains, tyrosine, the $65^{th}$ residue of TP is an important residue in protein-priming reaction that initiates reverse transcription. If monoclonal antibody that recognizes around tyrosine residue were selected, it could be applied to further study of HBV replication. Methods: To produce TP-specific scFv (single-chain Fv) by phage display, mice were immunized using synthetic TP-peptide contains $57{\sim}80^{th}$ amino acid residues of TP domain. After isolation of mRNA of heavy-variable region ($V_H$) and light-chain variable region ($V_L$) from the spleen of the immunized mouse, DNA of $V_H$ and $V_L$ were obtained by RT-PCR and joined by a DNA linker encoding peptide (Gly4Ser)3 as a scFv DNA fragments. ScFv DNA fragments were cloned into a phagemid vector. scFv was expressed in E.coli TG1 as a fusion protein with E tag and phage gIII. To select the scFv that has specific affinity to TP-peptide from the phage-antibody library, we used two cycles of panning and colony lift assay. Results: The TP-peptide-specific scFv was isolated by selection process using TP-peptide as an antigen. Selected scFv had 30 kDa of protein size and its nucleotide sequences were analyzed. Indirect- and competitive-ELISA revealed that the selected scFv specifically recognized both TP-peptide and the HBV DNA polymerase. Conclusion: The scFv that recognizes the TP domain of the HBV DNA polymerase was isolated by phage display.

분자지표 유전자 발현을 통한 Chironomus riparius 중금속 노출 스트레스 평가 (Stress Evaluation to Heavy Metal Exposure using Molecular Marker in Chironomus riparius)

  • 김원석;박기연;곽인실
    • 생태와환경
    • /
    • 제53권2호
    • /
    • pp.165-172
    • /
    • 2020
  • 중금속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환경 중 배출되어 서식 생물에 노출되며 체내 다양한 생리학적 불균형을 유도한다. 본 연구에서는 수서생물지표종으로 이용되는 깔따구(Chironomus riparius)를 이용하여 야외 중금속(Al, Aluminum; Cr, Chromium; Cu, copper; Mn, Manganese; Zn, Zinc) 농도 노출에 따른 다양한 분자발현 반응과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생물 체내 분자 반응을 관찰하기 위해 heat shock protein 40, 70, 90 (HSP40, 70, 90), cytochrome 450(CYP450),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and Serine-type endopeptidase (SP)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스트레스 분자마커로 이용되는 HSPs 유전자들은 중금속 노출된 개체들에서 대조군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Cu 노출 시 가장 높은 발현을 나타냈다. 해독에 관여하는 CYP450과 GST 유전자 발현 결과, Cr과 Cu에서는 다른 노출군에 비해 높은 발현 경향을 나타냈다. SP 유전자 발현 결과 Al을 제외한 모든 노출군이 대조군과 유사한 발현 패턴을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실내에서 환경 중 존재하는 실제 농도를 반영한 독성실험을 통해 노출물질과 농도에 따라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분자마커 패턴을 보고하였다. 또한, 수생태계로 유입되는 중금속이 하천에 서식하는 생물에 주는 유해 영향에 대한 정보와 분자 지표 유전자들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보여준다.

생쥐 난포 발달 중 Dazla 유전자 발현의 조절에 관한 연구 (Hormonal Regulation of Dazla Expression in the Follicle Development of Mouse Ovary)

  • 서창석;지병철;구승엽;김용범;박교훈;김석현;최영민;김정구;문신용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0권4호
    • /
    • pp.261-269
    • /
    • 2003
  • 목 적:본 연구에서는 생쥐 난소 주기에 따른Dazla 유전자의 발현 조절 양상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생후 27일된 암컷 미성숙 생쥐 (total 33EA; each 3 EA)로 부터 Pregnant Mare Serum Globulin (PMSG) 투여전, PMSG 투여 3시간, 6시간, 12시간, 24시간, 48시간 후 난소 조직과 hCG 투여 3시간, 6시간, 12시간, 24시간, 48시간 후 난소 조직을 획득하였다. 암컷 성숙 생쥐 난소와 (n=3) 수컷 성숙 생쥐 (n=3)로부터 고환 조직을 획득하여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각각의 획득된 조직에서 Dazla mRNA 의 발현 여부를 RT-PCR과 in situ hybridization (ISH)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호르몬 투여 시기에 따른 Dazla 유전자의 발현 강도를 ISH 방법으로 비교하여 정상 난소주기에서 PMSG와 PMSG+hCG 에 의한 Dazla 유전자의 발현 조절 양상을 관찰하였다. 결 과: 미성숙 생쥐, 성숙 생쥐 난소 내 난자 모두에서Dazla 유전자의 발현이 관찰되었다. 성숙 생쥐 고환 내 정자에서도 Dazla 유전자의 발현이 관찰되었다. 미성숙 및 성숙 생쥐의 난포에서는 난포의 성장에 따라 Dazla 유전자의 발현 강도가 강하게 관찰되었다. 미성숙 생쥐에 투여된 PMSG와 PMSG+hCG에 의한 유전자의 발현 강도는 난포의 크기가 같을 경우 호르몬 투여전과 비교하여 차이가 없었다. 결 론: Dazla 유전자는 난소내 난자에서 특이하게 발현되며, 난포의 크기에 따라 난자에서의 dazla유전자 발현의 강도도 증가한다. 그러나 PMSG와 PMSG+hCG에 의하여 유전자 발현이 조절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난소의 배란주기에 따른 유전자의 발현 양상에 변화가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여름느타리의 Chitin synthase 유전자 단편분리 및 발현 특성 분석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Chitin Synthase Gene Fragments from Pleurotus sajor-caju)

  • 정미정;박수철;김범기;유영복;류진창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3호통권86호
    • /
    • pp.354-360
    • /
    • 1998
  • 여름 느타리 Pleurotus sajor-caju로부터 Chitin synthase(CHS) gene 특이 primer를 이용한 PCR을 통해 3개의 DNA 단편을 분리하여 cloning하였다. 분리된 DNA 단편들을 기존에 보고된 CHS 유전자들과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이들 DNA 단편들 3개가 모두 CHS 유전자의 단편임을 확인하였고, 또한 이들은 각각 서로 다른 종류의 CHS 유전자들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RT-PCR 방법을 이용하여 분리된 유전자의 발현 실험을 실시해본 결과, 이들중 하나인 PsCHS3 유전자는 갓과 균사에서만 발현되는 기관특이 발현 특성을 보였으며, 또한 이 유전자는 상처 처리에 의해 그 발현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실험결과로 볼 때 p. sajor-caju의 경우, 다른 균류들의 경우처럼 다양한 기능을 가진 여러 종류(최소 3종류)의 CHS 유전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들 각각은 다른 기관, 또는 다른 생육 단계에 작용하고 있을 것으로 생각되고, 특히 병 방어 기작에도 관여할 것으로 추측되어진다.

  • PDF

한국 노인 여성의 치태에서 분리된 Actinomyces georgiae KHUD_A1의 유전체 염기서열 해독 (Genome sequence of Actinomyces georgiae KHUD_A1 isolated from dental plaque of Korean elderly woman)

  • 문지회;신승윤;홍원영;장은영;양석빈;류재인;이진용;이재형
    • 미생물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74-76
    • /
    • 2019
  • 그람 양성 혐기성 간균 Actinomyces는 구강 인두, 위장관 및 비뇨 생식 기관의 점막 표면에서 흔히 서식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 노인 여성의 치태에서 분리된 Actinomyces georgiae KHUD_A1의 유전체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보고한다. 이 균주의 유전체는 2,652,059 bp의 크기로 GC 함량은 68.06%이며, CPBP family intramembrane metalloprotease 유전자와 bile acid: sodium symporter family protein 유전자 등 157개의 KHUD_A1 균주 특이적인 유전자들을 포함한다. 이 유전체의 서열 정보는 A. georgiae종의 일반적인 특성과 Actinomyces속의 유전체 다양성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혈청과 난포액 및 성선자극호르몬 첨가가 염소 난자의 체외성숙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blood serum, follicular fluid and gonadotropin on in vitro maturation for goat oocytes)

  • 이상훈;전다연;이진욱;이성수;김승창;김찬란;김관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333-340
    • /
    • 2019
  • 본 연구는 염소 난자의 체외배양 시 혈청과 호르몬 첨가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체외성숙 효율, 유전자발현 및 체외수정 후 배발달율을 조사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기본 체외성숙 배양액에 10% gBS, 10% gFF를 첨가하여 혈청유무에 따른 효과와 FSH를 조합하여 체외성숙 효율을 조사한 결과, 처리구 모두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성숙률을 보였다. 특히 gBS와 FSH를 조합하였을 때 처리구 중에서도 77.8%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체외성숙 결과를 보였다. 또한, 각 처리구로부터 얻은 성숙 난자를 이용하여 체외수정 배발달 효율을 조사한 결과 모두 유의적으로 향상되었으며 특히 gBS와 gFF에 FSH를 혼합 처리한 두 그룹이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난자의 성숙과 관련된 BMP15와 GDF9의 mRNA 발현량을 비교한 결과, 처리구간 특이점이나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 염소 난자의 체외성숙에 관한 추가적인 실험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나, gBS, gFF 및 FSH 첨가가 성숙 효율 향상에 도움이 됨을 알 수 있었다.

Salt cress 유전자의 형질전환을 통한 내염성 식물체 선별 (Screening of salt-tolerance plants using transgenic Arabidopsis that express a salt cress cDNA library)

  • 백동원;최원균;강송화;신길옥;박수정;김찬민;박형철;윤대진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1권2호
    • /
    • pp.81-88
    • /
    • 2014
  • 식물생명공학 연구에 있어서 모델 식물인 Arabidopsis thaliana (애기장대)와 아주 유사한 염생 식물인 salt cress (Thellungiella halophila 또는 Thellungiella parvula)는 고염 스트레스에 대하여 강한 내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염에 저항성을 가지는 유용유전자를 선별하기 위하여, 200 mM NaCl을 처리한 T. halophila 또는 T. parvula 식물로부터 mRNA를 분리하여 cDNA library를 작성하였다. Full length cDNA library를 Agrobacteria-methods 형질전환 방법에 필요한 binary vector pool을 작성하고 Arabidopsis에 형질전환 시켰다. 형질전환되어진 Arabidopsis를 항생제 Basta 선별을 통하여 형질전환체 pool을 구축하였다(305,400 종자).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구축 되어진 pool중에서 168,500 종자를 이용하여 고염 스트레스 조건하에서 종자 발아율과 뿌리 생장 촉진되는 현상이 나타나는 내염성 형질전환체를 1차 선별하였다(7,157 개체; 4.24%). 1차 선별된 형질전환체 중에서 1,551개체를 이용하여 2차 선별을 수행하여 내염성 형질전환체 165 개체를 확보하였다(10.6%). 선별된 형질전환체 중 대부분 개체는 고염 스트레스에 대응하여 종자 발아 및 뿌리 생장 모두 야생형보다 촉진된 표현형을 보였다. 그 중 몇 몇의 형질전환체는 야생형에 비하여 특이적인 기관 발달 현상이 나타났다. 예를 들면, 꽃과 줄기의 발달이 야생형과는 다른 표현형을 보이는 형질전환체가 선별되었다. 이렇게 스트레스에 내성을 가지는 형질전환체로부터 유전자 분리 방법을 통하여 해당 유용유전자를 확보할 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halopyte 식물체를 이용하여 고염 뿐만 아니라 다양한 환경스트레스(건조, 냉해, 고열, 호르몬 등) 신호전달에 관여하는 유용유전자를 보다 쉽게 확보하는 방법을 제시함으로서, 환경재해극복에 관여하는 신호전달 기작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스테비올 및 그 유도체의 세포연접 관련 클라우딘 8 발현 조절을 통한 세포이동 저해효과 (Inhibitory Effect of Steviol and Its Derivatives on Cell Migration via Regulation of Tight Junction-related Protein Claudin 8)

  • 최선경;조남준;조욱민;심중현;김기광;황형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403-412
    • /
    • 2016
  • 밀착연접(tight junction, TJ)은 인접하는 표피 세포 사이를 서로 연결 및 접합하여 전해질과 수분의 이동을 조절할 뿐만 아니라 세포 내 신호를 전달하고 세포분열을 조절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최근 연구에 따르면 TJ 관련 단백질들의 비정상적 발현은 암 발생 및 진행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TJ 구성 단백질의 발현 조절은 피부 장벽 강화 및 보습 조절과 연관된 것으로 알려졌다. 본 연구에서는 세포 장벽 조절을 통해 피부 보습 조절에 관여하는 새로운 화장품 소재를 발굴하기 위해 여러가지 소재들에 대한 스크리닝을 수행하였다. 이 중 인공 감미료 소재로 널리 사용되는 스테비올 및 당 유도체(스테비오사이드)의 미백 및 주름 개선 등의 효능에 대한 기존 보고에 따라, 이들에 의한 TJ 조절 메커니즘을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세포 활성 기능 시험을 수행하였다. MTS (3-(4,5-dimethylthiazol-2-yl)-5-(3-carboxymethoxyphenyl)-2-(4-sulfophenyl)-2H-tetrazolium, inner salt)를 이용한 실험을 통하여 스테비올은 human keratinocyte cell line인 HaCaT 세포에 $250{\mu}M$ 까지 독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Quantitative real-time PCR을 이용한 TJ 관련 단백질들의 mRNA 발현 변화를 통하여 스테비올에 의한 TJ 조절 기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스테비올은 TJ 관련 단백질 중 특이적으로 claudin 8을 대조군 대비 30% 수준까지 감소시키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세포이동에 의한 영향을 관찰한 결과 스테비올 처리에 의해 세포이동이 현저히 저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세포 장벽의 투과성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표피세포 피부저항(transepithelial electric resistance, TEER) 분석 결과 스테비올에 의한 세포투과성(cell permeability) 또한 증가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에 반해, 스테비올 유도체(스테비오사이드, 리바우디오사이드)에서는 $1000{\mu}M$까지 세포 독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claudin 8 발현 억제 및 세포이동 저해현상도 관찰되지 않았다. 스테비올은 HaCaT 세포의 세포 독성, claudin 8 발현 억제, 그리고 세포 이동의 저해효과를 보이는 반면 스테비올 당 유도체인 스테비오사이드, 리바우디오사이드는 세포 독성 및 세포이동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난 본 연구 결과들은 스테비올 당 유도체가 향후 화장품 원료로써 스테비올보다 적합한 소재임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