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운영 실태

검색결과 1건 처리시간 0.014초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운영 실태 및 특수교사의 인식 (A study on the Management Status of Free Semester in Special Schools and Special Teachers' Awareness)

  • 백지혜;박재국
    • 특수아동교육연구
    • /
    • 제20권1호
    • /
    • pp.69-106
    • /
    • 2018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운영 실태와 활동 영역별 수행수준 그리고 이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2017학년도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운영계획서 25부를 분석하고, B광역시, D광역시, G시, Y시, J시, C시, T시, Y군 등에 소재한 특수학교 교사 218명을 대상으로 교사 기본 정보,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활동 영역별 수행수준,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운영에 대한 인식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자유학기제 연구학교 운영계획서와 수집된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학기제를 운영하는 학기의 주당 수업시수는 크게 변화하지 않았지만 기본교과의 수업시수는 자유학기제 편성을 위하여 상당부분 감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학기제 활동 영역별 전체 수업시수를 살펴보면 진로탐색 활동을 위한 수업 시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활동 영역별 중점 운영 영역을 진로탐색 활동으로 한 특수학교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학교 자유학기제의 활동 영역별 수행수준은 평균수준으로 나타났다. 자유학기제 활동의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동아리 활동과 교과운영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게 나타났고, 주제선택 활동의 인식 수준은 조금 낮게 나타났다. 또한 특수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활동 영역별 수행수준은 자유학기제 운영 경험, 자유학기제 관련 연수 이수 여부, 교직경력, 학교 소재지, 직위, 담당학생의 주 장애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났다. 셋째,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운영에 대한 전반적인 특수교사의 인식 수준은 평균수준 이상으로 나타났다. 특히 운영계획과 프로그램 적용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게 나타났고 운영환경, 결과의 효과성은 조금 낮게 나타났다. 또한 특수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운영의 인식 수준은 자유학기제 운영 경험, 자유학기제 관련 연수 이수 여부, 교직경력, 학교 소재지, 담당하고 있는 학생의 주 장애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났다. 결론: 특수학교 자유학기제 운영 실태와 특수교사의 인식을 바탕으로 2018학년도 전면 실시 예정인 특수학교 자유학기제가 특수교육대상 학생들의 실제적인 꿈과 끼를 키울 수 있도록 학교, 가정 및 지역사회와 연계한 프로그램을 구축 및 제공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