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투표율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19초

여성, 간과된 변수: 투표율에서의 성차(Gender Gap) 분석 (Gender, A Neglected Variable: An Analysis of a Gender Gap in Voter Turnout)

  • 구본상
    • 의정연구
    • /
    • 제27권1호
    • /
    • pp.5-40
    • /
    • 2021
  • 본 연구는 여성의 투표 참여의 중요성에 주목하여 2017년 이후 치러진 세 개의 다른 선거에 대해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제공한 투표율 자료를 사용해 투표율에서의 성차에 관해 집합 수준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합 수준에서 볼 때 한국에서도 투표율과 관련해 현대적 성차는 선거의 종류와 상관없이 대다수 지역에서 확인되었다. 둘째, 투표율에서의 성차가 나이에 따라 달라지는 현상이 확인되었다. 고령층에서 투표율이 감소하는 이른바 '과부 효과'에서의 성차, 그리고 새롭게 유권자가 된 집단에서 현대적 성차는 몇몇 지역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에서 나타났다. 나아가 한국 사회의 특성을 반영하는 20대 후반에서 발생하는 투표율의 역전된 성차 현상은 모든 선거에서 지역을 불문하고 뚜렷하게 확인되었다. 셋째, 경제적으로 발전된 곳에서 투표율의 역전된 성차가 더 뚜렷해지는지 여부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도시화가 진전될수록 연령대별로 현대적 성차 경향은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한국에서 가장 근대화한 서울시 자치구 투표율을 분석한 결과, 서울시 내에서 가장 근대적인 강남구와 서초구는 다른 구와 비교할 때 현대적 성차 경향이 오히려 약하고, 이른 연령대에서 전통적 성차로 전환하는 모습을 보인다. 위의 결과는 투표율에서의 현대적 성차는 이제 한국정치에서 보편적인 현상이고, 새롭게 충원된 현대적 성차가 계속될수록 더욱 강화될 수 있어 여성 유권자의 정치행태에 더욱 주목해야 하지만, 이를 더욱 근본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근대화가 진전될수록 자연스럽게 투표율에서 현대적 성차 경향이 강화될 것이라는 발전론(developmental theory)적 접근을 넘는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는 함의를 준다.

공간적 자기상관성과 관내사전투표와 본투표의 투표율: 제21대 총선 서울시 동별 분석 (Spatial Autocorrelation and the Turnout of the Early Voting and Regular Voting: Analysis of the 21st General Election at Dong in Seoul)

  • 임성학
    • 의정연구
    • /
    • 제26권2호
    • /
    • pp.113-140
    • /
    • 2020
  • 이 연구는 공간적 자기상관성(spatial autocorrelation)이라는 개념을 사용해 한국 선거를 처음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공간적 자기상관성이란, 공간상의 한 위치에서 발생하는 사건은 그 주변 지역에서 발생하는 사건과는 상관관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21대 총선 서울지역의 투표율을 관내 사전투표율과 본투표율로 나누고 투표율의 공간적 패턴이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기존의 연구가 선거구 단위를 토대로 분석한 것이 대부분이고 개인자료를 사용한 것이라면 이 연구에서는 좀 더 하위 단위인 읍면동 단위를 기준으로 분석했고 공간자료와 집합자료를 사용해 분석하였다. 본투표율의 모란 I (Moran's I) 지수는 0.261로 꽤 높은 공간적 자기상관성을 보인 반면 관내사전투표율의 지수는 0.095로 낮아 통계적 유의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공간적 자기상관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적 자기상관성이 강하게 나타난 본투표율을 OLS 회귀모델과 공간통계모델로 비교해 분석해보았다. 일반 회귀모델에서 결정계수인 R2가 0.585261에서, 공간오차모델에서는 0.656631로 상승하여 약 7퍼센트포인트의 설명력 증가를 볼 수 있어 공간통계모델이 설명력이 높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가장 흥미로운 결과는 관내사전투표율과 본투표율의 관계인데, 관내사전투표율이 높은 동은 본투표율이 낮게 나오고, 관내사전투표율이 2% 정도 올라가면 본투표율은 약 1% 정도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관내사전투표율과 본투표율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매우 다르고, 관내사전투표율의 상승폭이 본투표율 하락폭과 다르다는 점에서 투표편의제공에 따른 분산효과로만 볼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어 기존 연구와 차별성을 가진다.

전자투표 시스템 실용화 현황과 전망

  • 전웅렬;이윤호;원동호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83-92
    • /
    • 2011
  • 선거는 민주주의의 근본이 되는 절차로 투표는 국민이 주권을 행사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국내를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투표율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추세를 나타내면서 민주주의의 근간이 흔들리는 것은 아닌지 우려를 자아낸다. 전자투표는 투표의 준비, 투표, 투표결과의 집계 과정에 전자적인 기법을 도입하여 진행하는 투표로, 기존투표에 비해 시간적, 공간적 비용의 절감효과, 투표율의 상승을 기대할 수 있어 미국, 영국을 비롯한 여러 유럽 국가에서 도입하거나, 도입을 준비하고 있다. 그러나 전자투표는 투표 과정에서의 안전성을 반드시 보장해야 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강화하여 정보화 소외계층 및 노령층의 참여를 유도해야 하는 과제를 포함하고 있다. 이에 본 고에서는 전자투표의 기본적인 개념과 사용자의 친숙도를 강화한 전자투표 방식을 살펴봄으로써 전자투표의 실용화 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 투표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the Electronic Vote System Using Internet)

  • 김중규;허용석
    • 한국산업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업정보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21세기를 향한 정보통신 기술의 전망
    • /
    • pp.195-209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보안 기반의 전자투표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기존의 전자 투표 시스템은 유권자인증과 투표 내용의 암호화 전송을 하지 않는 단순한 인터넷을 이용한 여론 조사에 불과하여 조사 결과의 신뢰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변조나 위조의 가능성이 많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이용이 확산되고 있는 인터넷과 WWW(World Wide Web) 환경에서 공개키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하는 투표 내용의 암호화 전송과 시스템 보안에 역점을 둔 전자 투표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같은 전자 투표 시스템을 사용하게 되면 기존의 전 근대적 투표 방식에 의한 투표율 저조라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표에 따른 시간적, 경제적, 인적 손실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 PDF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 투표 시스템 구현

  • 김중규;허용석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209-218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보안 기반의 전자 투표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기존의 전자 투표시스템은 유권자 인증과 투표내용의 암호화 전송을 하지 않는 단순한 인터넷을 이용한 여론조사에 불과하여 조사 결과의 신뢰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변조나 위조의 가능성이 많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이용이 확산되고 있는 인터넷과 WWW(World Wide Web) 환경에서 공개키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하는 투표내용의 암호화 전소와 시스템보안에 역점을 둔 전자 투표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같은 전자투표시스템을 사용하게 되면 기존의 건 근대적 투표방식에 의한 투표율저조라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표에 따른 시간적 , 경제적, 인적 손실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 PDF

선거여론조사에서 투표율 반영을 통한 득표율 추정 (Estimation of the Percent of the Vote by Adjustment of Voter Turnout in Election Polls)

  • 김정훈;한상태;강현철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 /
    • 제20권6호
    • /
    • pp.2873-2881
    • /
    • 2018
  • 유권자들의 올바른 투표행위에 기여하기 위하여 또는 후보나 정당의 적절한 선거전략 수립을 위하여, 선거여론조사를 통하여 신뢰성 있고 객관적인 정보를 확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따라서 정당, 언론기관, 조사회사 등 관련 기관에서는 여론조사의 결과와 선거예측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왔다. Kim et al.(2017)에서는 선거여론조사에서 지지후보가 없다고 응답한 무응답층을 분류하여 득표율 예측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지를 분석하였는데, 결과적으로 무응답층에 대하여 적절한 분류를 수행함으로써 득표율 추정의 정확도를 상당히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특정 선거구(지역)에 대하여 전체 투표율이 주어져 있다는 조건 하에서 각 층(성, 연령대)별 투표율을 추정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투표율을 반영하여 득표율을 예측하는 절차를 제시하였다. 또한 2016년 20대 국회의원선거에 대한 여론조사에서 전화면접조사를 통해 얻어진 자료를 사용하여 사례 분석을 수행하였다.

18대 총선에서 나타난 선거지역주의 -선거운동 과정과 유권자의 선택을 중심으로- (Election Regionalism in the 18th Korean General Election : focusing on election campaign course and Voter's Choice)

  • 김재한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15-33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18대 총선에서 나타난 선거지역주의 현상의 실태를 분석하고 공간적 정당지지 패턴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고주의에 의한 전략적 공천, 지역개발 공약, 지역주의 선동 등 정책 공급자인 정당의 지역주의적 선거전략과, 지역연고 정당을 지지하는 유권자의 투표행태가 상호작용하여 지역별 정당지지율의 편중도가 심한 선거결과를 초래하였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유권자의식조사에서도 지역구와 비례투표에서 지역정당을 중시하는 투표성향을 확인할 수 있지만, 각 지역당의 핵심지역인 경북, 전북, 충남 권역의 지역구를 대상으로 후보자의 정치사회적 지위와 득표율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유권자가 대상권역 모두에서 정당을 1차 선택요인으로, 후보자의 경력과 직업을 2차 선택요인으로 고려함이 확인되었다. 지역구와 비례투표 모두에서 같은 정당을 선택하는 일괄투표의 성향이 강하였다. 정당별 득표율의 공간적 분포를 볼 때, 주요 지역정당의 텃밭에서 여전히 유권자의 지역주의적 투표행태가 강력한 반면, 서울과 충북의 유권자들은 '뉴타운' 건설이나 '행정복합도시' 조성 등 지역개발 공약에 크게 영향을 받아 이익지향적 투표성향을 보였다.

  • PDF

미국의 2018년 중간선거와 라티노 투표: 다양성과 변화 (The 2018 US Midterm Elections and the Latino Voting: Diversity and Change)

  • 이병재
    • 의정연구
    • /
    • 제25권1호
    • /
    • pp.5-44
    • /
    • 2019
  • 2018년 11월에 실시된 미국의 중간선거는 트럼프 행정부의 중간평가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이민정책은 미국의 라티노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많은 미디어에서 중간선거에서 라티노의 투표율이 증가할 것이며, 민주당후보들의 당선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측했다. 본 논문의 목적은 라티노의 인구학적 특성, 지리적 인구분포 및 라티노 여론 등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중간선거에서 나타난 라티노의 투표행태를 살펴보는 것이다. 현재까지의 제한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014년 중간선거와 비교하여 대부분의 선거구에서 라티노의 투표율은 실제로 급격한 상승폭을 보였으며, 이는 민주당후보에 대한 지지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라티노 인구비가 높은 지역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인터넷 커뮤니티 선거에 적합한 스마트계약 기반 투표 모델 (The Smart Contract based Voting Model for Internet Community Election)

  • 윤성현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67-72
    • /
    • 2019
  • 인터넷 투표는 유권자의 위치에 관계없이 투표할 수 있으므로 유권자의 투표 참여율을 높이고 선거에 사용되는 경제적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단점은 모든 구성원들이 선거 관리를 위한 인터넷 서버를 전적으로 신뢰해야 한다는 것이다. 만약 선거 관리 서버가 특정 후보자와 공모한다면, 다른 후보자들은 부정 선거임을 증명할 수 없다. 더불어 인터넷 투표와 관련된 대부분의 연구는 유권자가 사는 나라와 지역에 제약을 받는다. 유투브 채널과 같은 인터넷 커뮤니티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투표 방법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인터넷 커뮤니티는 구성원이 사는 지역과 나라에 제약이 없기 때문에 새로운 투표 모델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계약 기반의 인터넷 투표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한 스마트계약 모델은 후보자 등록, 유권자 등록, 투표 및 개표 단계로 구성된다. 유권자 등록 및 투표 단계에서 유권자의 익명성이 보장되고 개표 단계에서 후보자들에 의하여 선거의 공정성이 보장된다.

블록체인을 활용한 전자투표 시스템 구축 (Electronic Voting Systems Using the Blockchain)

  • 이루다;임좌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103-110
    • /
    • 2019
  • 전자투표는 유권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고, 투표 참여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주장에 따라 많은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전자투표가 널리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 기존의 전자투표 시스템은 투표의 신뢰성을 완전하게 보장하지 못하고, 서버에 대한 공격으로 위조나 변조될 수 있어 보안에 대해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전자투표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블록체인 기술을 제안한다. 블록체인은 거래 데이터의 안전을 보장해 주는 특징을 가진 기술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기반으로 구현한 전자투표 시스템은 많지 않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논문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이더리움 환경에서 전자투표 시스템을 구축했다. 또한 보다 안전한 투표를 시행하기 위해 법적, 기술 및 운영에 필요한 과제를 제시하였다. 구축된 시스템은 기존 중앙집중식 시스템과 달리 공격으로 인한 시스템 마비나 중앙서버시스템 장악으로 인한 거래데이터의 위변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시스템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