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통합적 우수관리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32초

역량·진로교육 지원을 위한 대학생 e포트폴리오 시스템 설계와 프로토타입 개발: S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ePortfolio System Design and Prototype Development for Professional Competency and Career Management Support of Undergraduate Students)

  • 이재진;김성욱;이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552-564
    • /
    • 2017
  • 본 연구는 전통적 학습역량 및 경력관리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면서, 대학의 교과 및 비교과 프로그램의 운영 관리를 위한 통합형 e포트폴리오의 기능과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고안하고, 인쇄물 기반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S대학의 맥락에서 실시되었다. 연구진은 2차에 걸친 전문가 타당화를 통해 통합형 e포트폴리오의 주요 메뉴와 기능을 도출하였으며 각 메뉴에 포함해야 할 하위기능을 찾고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통합형 e포트폴리오 시스템의 구성요소는 크게 6가지(기본정보, 학습 역량 관리, 진로 경력 관리, 포트폴리오 관리, 커뮤니티, 기타)로 도출되었다. 이 중 학습 역량 관리, 진로 경력 관리, 포트폴리오 관리는 전통적 e포트폴리오와 차별화된 기능으로 내용구성의 타당성이 우수하다고 평가받았다. 본 연구에서는 통합형 e포트폴리오 시스템을 바탕으로 인쇄물 기반의 e포트폴리오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여 실제 시스템 구현의 구체적 가이드를 제공함과 동시에 통합형 e포트폴리오의 개발 방향 설정에 대한 기관의 인식제고에 공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Zigbee 센서 네트워크를 활용한 다중노드 실시간 진단 및 관리시스템 설계 (Design of Multi-node Real-time Diagnostic and Management System Using Zigbee Sensor Network)

  • 강문식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1권6호
    • /
    • pp.152-161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지그비(Zigbee) 센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여 다중노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진단하며, 다수의 다양한 센서로부터 발생하는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진단 및 통합 관리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대상시스템의 상태를 효율적으로 진단하고 제어하기 위해서 원격지의 센서들로부터 유선 및 무선으로 수집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서버에 전송하고, 이를 분석하여 필요한 동작이 실행되도록 설계되었다. 다수의 센서들은 클러스터 형태로 구성되고, 센서노드는 획득된 데이터에 대한 전송 및 제어 기능을 수행하며, 각 센서 노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구분하여 처리한다. 구현된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전송거리에 따른 최소 전송 지연시간과 다수의 센서로부터 발생된 데이터 손실률 등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 우수한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선천성 사경의 물리치료에 대한 임상적 고찰 (A Clinical Study on the Physiotherapy of Congenital Muscular Torticollis)

  • 이동걸;박경순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권3호
    • /
    • pp.1-8
    • /
    • 2013
  •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선천성 사경을 가진 22명의 유아에 대해 임상적 양상과 물리치료 만족도 및 사경의 요인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설문지를 통해 유아의 성별과 연령분포, 사경의 요인, 사경의 관리, 사경의 물리치료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 1. 환자의 성별 및 연령분포는 남자아이가 9명(41%), 여자아이가 13(59%) 이었고, 연령분포는 1~4개월이 5명(22.7%), 5~8개월이 6명(27.3%), 9~12개월이 4명(18.2%), 그리고 1년 이상은 7명(31.8%) 이었다. 2. 사경의 정도는 경도가 3명(13.6%), 중등도 3명(13.6%), 중증 16명(72.8%) 이었고, 사경의 분만요인으로 정상분만 12명(54.5%), 재왕절개분만 8명(36.4%), 그리고 둔위분만 2명(9.1%)으로 나타났다. 산모의 건강상태에 따른 요인은 매우 양호 7명(31.9%), 양호 11명(50%), 약함 3명(13.6%), 그리고 매우 약함 1명(4.5%) 이었다. 사경의 요인으로 분석된 가족력, 임신, 분만 사이에는 특별한 관련성은 없었다. 3. 사경 환자가 물리치료를 받는 횟수는 매일 치료 9명(40.9%), 일주일에 2~3회 12명(54.5%) 이었고 물리치료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우수 4명(18.2%), 우수 15명(68.2%), 보통 3명(13.6%)로 나타났다. 결론 : 이러한 결과를 통해 물리치료가 선천성 사경에 매우 효과적이었다.

ITIL 모델 기반의 통합 IT 서비스를 위한 Service Support 시스템 기능개선 (Improvement of the Service Support System for the consolidated IT Service based on ITIL Model)

  • 우수정;신성욱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93-396
    • /
    • 2005
  • 기업의 IT 환경이 시스템 중심에서 비즈니스 중심으로 바뀌어감에 따라, IT Process 관리를 위해 ITIL 모델 기반의 Service Support 시스템들이 개발되고 있다. 대다수의 이들 시스템들은 application 관리 기능을 다루고 있지 않으나, application 의 변경으로 인한 장애 발생을 최소화하고, 장애발생 시 비즈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될지 짧은 시간 내에 진단하고 복구하는 것은 장애관리 측면에서 중요한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application 이 시스템에 의해서 관리되고 비즈니스와 application, infrastructure 의 연관관계가 Knowledge DB 를 통해 축적됨으로써 더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기존의 Service Support 시스템에 application 관리 프로세스를 보완하여 기능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 PDF

지하공간통합지도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계측 데이터 분류 및 공간 보간 기법 적용성 분석 (Applicability Analysis of Measurement Data Classification and Spatial Interpolation to Improve IUGIM Accuracy)

  • 이상연;송기일;강경남;김우람;안준상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8권10호
    • /
    • pp.17-29
    • /
    • 2022
  • 최근 지하 안전에 관한 다양한 이슈들로 인해 지하공간 또는 지하시설물의 관리 필요성이 대두대고 있어 지하공간 통합지도 활용이 필요한 실정이다. 지하공간통합지도는 지하공간개발 및 지하안전관리 등의 분야에 직접적으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정보의 최신성 및 정확성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공간통합지도에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하공간통합지도에 저장된 데이터와 굴착현장에서 획득 가능한 계측데이터를 분류하고, 획득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다양한 보간기법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공간 보간은 보간기법 및 모델별 총 7 종의 공간보간결과를 교차검증을 통해 정량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교차검증 결과, NURBS, 크리깅 및 역거리가중치법 순으로 정확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크리깅의 경우 베리오그램 모델에 따라 정확도의 차이가 있었으나 미미하였고, 구형 베리오그램이 정확도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가능한 도시재생과 스마트 물 관리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and Smart Water Management)

  • 이유경;이승호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8년도 학술발표회
    • /
    • pp.86-86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의 도시재생과 스마트 물 관리의 정책 분석을 위하여 도시재생과 스마트 물 관리의 등장 배경, 주요 현안 및 연계성을 모색하고 도시재생방안으로서 스마트 물 관리체계의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50년대의 도시재건(Urban Reconstruction)과 1970~80년대의 도시재개발(Urban Renewal, Urban Redevelopment) 등의 정비 사업은 물리적 환경정비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러나 1990년대 환경문제가 세계적 이슈로 등장하면서 교외지역 난개발 문제에 대한 대응책이 필요하게 되었고 도시의 물리 환경적, 산업 경제적, 사회 문화적 측면을 부흥시키는 도시재생 접근법이 출현하였다. 한국 정부는 2017년부터 시작한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일환으로 스마트 기술을 적용한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스마트도시 선도국가 도약과 세계적 흐름에 부합하는 도시성장을 기대하고 있다. 1980년대 초 등장한 스마트 기술은 2000년대 들어와 스마트 도시, 스마트 인프라, 스마트 그리드 등의 분야로 확대, 진보하였다. 물 분야의 스마트 기술은 2009년 스마트워터그리드 이니셔티브(Smart Water Grid Initiative)의 발족과 함께 IBM, CISCO, Intel 등의 IT 기반 물 관리 워킹그룹 형성, Suez, Veolia, Siemens 등 수처리 기업의 스마트워터그리드 분야 진출 모색과 함께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2012년 유엔 스마트 물 관리 포커스 그룹(ITU-T SG 5)의 스마트 물 관리 표준화 연구가 착수되었고 한국은 국토교통부 건설교통기술 연구 개발사업 중 하나로 스마트 물 관리 장기 연구 사업을 시작하였다. 스마트 물 관리는 수자원 및 상하수도 관리의 효율성 제고를 위하여 스마트 미터, 센서, 디지털지도제작 등 ICT를 이용한 차세대 물 관리시스템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구체적인 대상 분야를 고려한다면 하천수, 우수, 지하수, 하폐수처리수, 해수담수 등 다양한 수자원의 관리, 물의 생산과 수송, 사용한 물의 처리 및 재이용 등 물 관리 전 분야를 포함한다. 그러나 스마트 물 관리의 용어와 개념을 처음으로 도입한 미국 등 선진국과 관련기업들은 스마트 물 관리를 '스마트 워터 미터, 센서, 첨단 모델링, 수문 지도제작, 스마트 관개농업, 자동화 로봇 등 다양한 기술을 통합적으로 운영하는 지능적인 수자원 관리를 위한 정보네트워크'로 정의한다. 일찍이 도시재생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실시한 영국 및 일본과 달리 한국의 도시재생은 개념, 구성요소, 범위, 사업방식 등의 여러 가지 측면에서 아직 형성단계에 있다. 또한 한국의 스마트 물 관리 논의는 개념정립 측면에서 심층적 논의가 거의 부재하였다. 기존의 논의들은 수자원 혹은 상하수도서비스 분야에서의 연구결과와 기술개발성과를 기계적으로 적용하고 확대하는 측면만을 부각시켰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스마트 물 관리에 대한 논의는 정보통신기술과 물 관리 서비스를 단편적으로 연결하고 적용범위를 제한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한계성이 있다. 본 연구는 국내외 문헌검토를 바탕으로 한국의 도시재생과 스마트 물 관리의 정책을 분석하고 지금까지 별개로 간주된 두 개념의 장점을 융합하여 향후 지속가능한 도시개발 사업으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 PDF

LoRa LPWAN 무선 통신을 활용한 교량 유지관리 시스템 적용성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Bridge Maintenance System using LoRa LPWAN Wireless Communication)

  • 박진오;박상헌;안승주;박원주;김종훈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138-146
    • /
    • 2019
  • LoRa LPWAN 네트워크 시스템은 비면허 무선통신을 이용하고, Mems 기반 통합센서를 통하여 Data 계측 및 기존 계측센서의 무선통신을 구현한 시스템이다. 본 시스템은 기존의 무선계측시스템 대비 장거리 통신과 기존망을 활용한 기술적/경제적인 우수성을 갖고 있으며, 유선계측시스템 대비 시스템 구축장비의 최소화로 경제성을 확보하였다. 경제성 검토항목에서 기존 유선계측 시스템 대비 약 41%의 경제적인 절감효과가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유지관리 및 운영적인 측면에서도 우수하기 때문에 향후 국내에서도 많은 교량에 설치가 된다면, 교량의 유지관리 분야의 우수한 시스템으로 발전되고, 재난(지진 산사태 등), 환경(오염물 측정 및 관리 등), 플랜트 분야(화재 안전 등)에도 폭넓게 사용되길 기대한다.

에이전트 기반의 연속다중경매 시스템 (Agent-Based Continuous Double Auction System)

  • 김광수;김인철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2)
    • /
    • pp.113-115
    • /
    • 2000
  • 현재 대부분의 전자경매 시스템들은 기존의 경매소와 경매인들에 의해 이루어졌던 경매진행과 관리기능을 하나의 서버프로그램으로 통합하여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시스템들은 기존 경매소에서 이루어졌던 기능들의 독립성과 분산성 그리고 병렬성을 충분히 구현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기존의 이러한 시스템들은 단지 경매관리와 진행만을 온라인상에서 자동화하였을 뿐 경매는 여전히 경매참여자들이 원격접속을 통해 직접 입찰하는 것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경매참여자는 수시로 변하는 경매 진행상황을 파악하고 적절한 입찰가격을 결정하여 입찰하는 반복적인 작업을 계속해야 한다. 그리고 기존 시스템들이 갖는 또 다른 제한으로는 다양한 경매 유형을 지원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현재 대부분의 전자경매 시스템에서 지원하고 잇는 경매유형은 영국식 또는 네델란드식을 포함해 단일경매가 대부분이며, 속도와 효율성 그리고 경매참여자의 이익면에서 우수한 다중경매를 지원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다중 에이전트 기반의 연속다중경매 시스템인 CoDABot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이 시스템에서는 연속다중경매를 지원하고 경매참여자인 사용자를 대신해 입찰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입찰 에이전트를 제공한다. 따라서 경매관리와 진행의 효율성을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으로 전체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 PDF

중약진지역 구조물과 스마트 최상층 면진시스템의 통합최적설계에 대한 연구 (Study of Integrated Optimal Design of Smart Top-Story Isolation and Building Structures in Regions of Low-to-Moderate Seismicity)

  • 김현수;강주원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7권5호
    • /
    • pp.13-20
    • /
    • 2013
  • 구조물의 지진응답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추가적인 감쇠기나 진동제어장치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때, 추가적인 감쇠장치의 제어성능은 대상구조물 특성의 변화 없이 검토된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물과 스마트 제어장치의 다목적 통합최적화를 수행하였고 스마트 최상층 면진시스템이 설치된 구조물의 구조물량 저감의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층 예제구조물이 사용되었으며 MR 감쇠기와 저감쇠 탄성베어링을 사용하여 스마트 면진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중약진지역의 설계스펙트럼을 바탕으로 생성된 인공지진하중을 사용하여 구조해석을 수행하였다. 수치해석결과, 스마트 최상층 면진시스템이 중약진지역에 있는 구조물의 응답과 면진층 변위를 동시에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통합최적설계기법으로 구조물량 및 감쇠기 용량을 적절하게 줄이면서도 우수한 제어성능을 발휘하는 다양한 설계 대안을 제공할 수 있었다.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그린빗물인프라(GSI) 조성 추진체계 구축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Green Stormwater Infrastructure(GSI) promotion system to respond to the climate crisis)

  • 이효정;신현석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437-437
    • /
    • 2023
  • 최근 기후변화로 발생되는 폭우, 강풍 등의 기상현상으로 인해 하천범람, 내수침수, 해수범람 등 특히 해안도시지역에서의 물 문제는 날로 심화되고 있다. 이에 정부에서는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 사업 및 친환경그린인프라(Green Infrastructure, GI) 기술요소의 적용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이에 환경부에서는 환경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그린인프라 제도/정책 및 재원관리의 선진화(2021)' 연구용역을 통해 관련 추진체계 구축, 제도 개선방안 등을 모색하였다. 해당 연구에서는 기존의 LID 및 GI 관련 정책·제도 개선, 강우유출수 관리목표 설정방안, 투수/불투수도 제작 지침 마련, 시민인식조사 등을 통해 그린인프라 확대를 위한 과학적 근거 및 통합관리제도를 마련하였다. 이와 더불어 2013년부터 도시지역의 우수유출 저감, 물순환 구조 개선,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해 '그린빗물인프라(Green Stormwater Infrastructure, GSI) 조성 사업'을 추진하여 국비지원을 지속하고 있다. 'GSI 조성사업'은 2014년 공공청사 중심에서 학교, 도서관, 체육시설, 공원 등 적용 범위를 확대 하고 있는 추세이나, 수도권지역과 물순환선도도시 조성사업이 진행중인 5개 지역(김해시, 광주시, 안동시, 울산시, 대전시)을 제외한 각 지자체에서는 실효성 있는 추진체계 및 가이드라인 부존 등의 문제로 적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경상남도는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GSI 조성 추진체계 마련을 목표로 본 연구용역을 추진하였으며, GSI 관련 국내외 현황조사, GSI 조성을 위한 공공청사의 우선순위 선정, 지형적(토지피복, 토양형 등), 기상학적 현황을 토대로 한 우선순위 선정, 이를 통합한 경남형 GSI 조성 추진체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