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통계영역

검색결과 1,723건 처리시간 0.028초

SOFM신경망을 이용한 수화 형상 인식 (Sign Language Shape Recognition Using SOFM Neural Network)

  • 김경호;김종민;정재영;이웅기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83-284
    • /
    • 2009
  • 본 논문은 단일 카메라 환경에서 손 형상을 입력정보로 사용하여 손 영역만을 분할한 후 자기 조직화 특징 지도(SOFM: Self Organized Feature Map) 신경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손 형상을 인식함으로서 수화인식을 위한 보다 안정적이며 강인한 인식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한다.

문화예술 통계자료의 체계적 생산에 관한 연구 (The Systematic production of Culture and Arts Statistics in Korea)

  • 안인자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5-132
    • /
    • 2002
  • 유네스코의 문화지표체계(Framework for the Culture Statistics)는 문화영역 구분과 문화활동구분을 제시함으로써 문화통계의 근간이 되고, 평가 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 체계를 기반으로 하여 국내 문화통계의 지표체계와 통계 항목간의 균형도를 검토하였다. 문화정책개발원의 $\ulcorner$문화예술통계$\lrcorner$는 지표체계연구, 지표생산, 통계생산 및 지표개선의 순환적 과정을 거쳐 합리적인 생산을 거치고 있다. 반면 $\ulcorner$주요국가의 문화예술통계$\lrcorner$는 국가선정, 해당국가의 독창성이 반영된 지표체계와 통계항목 연구가 필요한 단계에 있다.

  • PDF

지구통계학적 기법을 이용한 연약 지반 분포 추정 (Estimation of Distribution of the Weak Soil Layer for Using Geostatistics)

  • 정진;장원일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5권8호
    • /
    • pp.1132-1140
    • /
    • 2011
  • 해상풍력발전단지 건설 시 기초지반이 해상 점성토층의 지반일 경우 플랜트 자체 하중의 영향과 풍력과 같은 외부 모멘트 영향으로 인해 침하 발생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연약지반 분포를 파악하는 것은 풍력플랜트 입지를 위해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이러한 연약지반 분포를 파악하는 방법은 시추조사 방법이 가장 최적의 방법이지만, 현장의 여건이나 경제적 제약이 큰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현재 지구통계학적 방법을 이용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풍력 플랜트 설치를 가정한 해상 영역을 설정하여 지구통계학적 기법을 통하여 연약 지반층 두께 분포의 추정을 연구 수행하였다. 연약 지반층은 표준 관입시험치의 결과를 이용하여 구분하였으며, 지구통계학적 기법은 정규크리깅과 순차가우시안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비슷한 영역에서 최대 점성토의 두께를 가지는 영역이 나타남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그 결과의 불확실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시각적 평균 표상의 신경기제 (Neural correlates of visual mean representation)

  • 정상철;신길호;조신호
    • 인지과학
    • /
    • 제19권1호
    • /
    • pp.75-88
    • /
    • 2008
  • 시각 장면은 중복적인 정보가 많이 포함되어 있다. 우리의 시각체계는 다양하고 중복적인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뇌 용적을 늘이기보다는 들어오는 외부 정보를 요약한다. 유사한 형태의 다양한 정보가 시각체계에 주어지면 시각체계는 정보의 통계적 특성을 추출해 낸다. 이런 통계적 표상의 대표적 형태가 바로 평균 표상이다. 평균 표상의 한 예로 시각 체계에서 계산해 내는 유사한 여러 크기들의 평균 크기를 들 수 있다. 평균 표상은 빠르고 정확하며 비교적 오랜 시간 지속되는 표상이고 평균 표상의 처리과정 또한 병렬적인 처리과정이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통계 표상에 관한 연구는 행동측정방법에 의한 연구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능적 자기 공명 영상 기법을 사용하여 통계 표상에 관한 신경기제를 찾고자 하였다. 사전 연구 결과들에 따르면 특정 자극을 연속하여 제시하였을 때 특정 자극을 담당하는 영역에서 자기 공명 영상 신호가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반복 감소 현상을 사용하여 원들의 평균이 동일한 자극을 제시하였을 때 우측 후두 영역에서 유의미하게 자기 공명 영상 신호가 감소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것은 우측 후두 영역이 시각자극에 대한 평균 표상을 처리하는 영역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대학부설과학영재교육원 영재학생이 인식하는 영재교육원과 학교에서의 교우기대감 (Friendship Expectation Perceived in Gifted and Regular Class by Gifted Students of Gifted Science Education Institute attached to University)

  • 성승민;여상인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1권1호
    • /
    • pp.98-110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부설과학영재교육원과 일반학교 수업에서 영재학생이 인식하는 교우기대감을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A 대학부설과학영재교육원의 영재 121명에게 친밀성, 능력 유사성, 도덕성을 하위 영역으로 하는 교우기대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과 일반학교에서 영재학생이 인식하는 교우기대감은 친밀성, 도덕성의 하위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능력 유사성의 하위 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일반학급에서는 친밀성에 대한 교우 기대감이 높았고, 영재학급에서는 도덕성에 대한 교우기대감이 높았다. 또한, 교우기대감의 각 하위 영역의 일부 세부문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교우기대감도 있었다. 그리고 대학부설과학영재교원의 영재학생은 지역교육청부설영재교육원과 단위학교 영재학급의 영재학생이 보이는 교우기대감과 다른 특징도 보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영재학생의 교우기대감이 주는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의 영역별 내용에 대한 영아교사의 인식과 적용 실제 (Toddler Teachers' Perception and Application of the Contents of the 3rd Standard Educare Curriculum)

  • 김지영;김동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318-326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교사의 변인에 따라 표준보육과정의 영역별 내용에 대한 인식과 적용 실제를 조사하고, 영아교사의 표준보육과정 영역의 내용 이해도와 적용 실제 간에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전라남도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만 2세를 담당하는 영아교사 205명이다. 연구도구는 제3차 어린이집 표준 보육과정의 영역별 내용을 참고하여 연구목적에 적절하게 제작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대응표본 t검증, 독립표본 t검증, F검증, Duncan 사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교사의 표준보육과정의 영역별 내용에 대한 이해 수준은 높으며, 특히 영아교사의 학력이 높을수록 이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교사의 표준보육과정의 영역별 내용에 대한 적용 수준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아교사의 표준 보육과정 영역별 내용에 대한 이해도와 적용 실제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피부색 모델 기반의 효과적인 얼굴 검출 연구 (Efficient Face Detection based on Skin Color Model)

  • 백영현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5권6호
    • /
    • pp.38-43
    • /
    • 2008
  • 피부색 정보는 컬러영상에 포함된 얼굴영역을 검출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피부색 정보로 부터 생성된 통계 피부색 모델을 이용하여 얼굴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하지만 다른 피부색 부분이 포함되어 있는 컬러영상에서는 일반적인 통계 피부색 모델만으로 정확한 얼굴영역 검출을 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다른 피부색 부분이 포함되어 있는 다양한 컬러 영상에서 얼굴영역만을 정확히 검출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YCbCr 피부 컬러 모델기반의 피부색 가우시안 분포를 적용하여 얼굴 후보영역 설정 하였고, 영상내의 잡음 부분과 얼굴 영역이외의 부분을 제거하기 위해 수학적 형태학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Haar-like 특성을 이용하여 정확한 얼굴 검출을 수행하였다. 모의실험 결과 제안된 방법이 목이나 팔과 같이 유사한 피부색을 포함한 영상과 다양한 크기의 영상에서도 효과적인 얼굴영역 검출하는 우수함을 보였다.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수학적 과정'의 신설에 대한 소고 (Investigating on the Building of 'Mathematical Process' in Mathematics Curriculum)

  • 박혜숙;나귀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503-523
    • /
    • 2010
  • 현재 우리나라의 수학과 교육과정의 체제는 '가. 성격' '나. 목표', '다. 내용', '라. 교수 학습 방법', '라. 평가'로 구성되어 있다. 학교에서 구체적으로 학습해야 할 수학 성취기준은 '다. 내용'에 학년별로 제시되어 있다. '다. 내용'은 초등학교의 경우 수와 연산, 도형, 측정, 확률과 통계, 규칙성과 문제해결의 5개 하위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경우에는 수와 연산, 문자와 식, 함수, 확률과 통계, 기하의 5개 하위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하위 영역들은 초등학교의 규칙성과 문제해결 영역에서의 문제해결을 제외하고는 모두 수학적 주제들을 다루는 내용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수학과 교육과정의 '다. 내용'에 5개의 내용 영역 이외에 '수학적 과정'이라는 하위 영역을 신설하여 추가하는 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최대 엔트리법을 이용한 음향 신호의 특징 피크의 검출 (Feature detection of peaks of sound signal using MEM)

  • 성종훈;김영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1998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562-564
    • /
    • 1998
  • 보통 음향 신호를 분석을 할 때에 시간영역의 신호를 주파수영역의 신호로 FFT 변환을 해서 분석을 한다. 이렇게 단순히 FFT를 해서 주파수영역의 신호에서 어떤 특징적인 점을 찾기가 매우 어렵다. 그래서 원 신호를 FFT를 하지 않고 선형 예측 분석이라는 방법을 적용하여 신호에 특징적인 피크 점들을 구하면 쉬운 방법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음향의 신호를 분석을 할 때에 선형 예측 분석법을 이용하면 신호에서 특징적인 피크들을 구하기가 용이함을 보이고 신호의 특징 피크 점들을 통계적으로 처리하여 분석을 해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