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토양 투수성

Search Result 264,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저위생산답(低位生産沓)에 있어서의 비료(肥料) 삼요소(三要素)의 효과(效果)

  • O, Wang-Geun;Park, Yeong-Seon;Ryu, In-Su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4 no.1
    • /
    • pp.101-107
    • /
    • 1971
  • 1. 수도(水稻)의 생육기간(生育其間)만이라도 심수하(甚水下)에 있어야하는 논은 투수성(透水性)의 영향(影響)을 받아야 하고, 동영향(同影響)은 수도생육(水稻生育)과 관련(關聯)을 갖는다. 즉(卽) 투수성(透水性)이 클 경우(境遇)에는 물의 소비(消費)가 많을 뿐만이 아니라 영양분(營養分)의 유실(流失) 및 유효화(有效化)가 억제(抑制)되고, 투수성(透水性)이 적을 경우(境遇)에에는 심(甚)한 환원상태(還元狀態)의 발달(發達)로 유해성분(有害成分)이 집적(集積)되어 수도(水稻)의 생육(生育)은 해(害)를 입게된다. 이렇게 생각하면 투수성(透水性)으로 본 벼 생육(生肉)에 가장 적합(適合)한 토양조건(土壤條件)이 있을 것인바 이 조건(條件)은 토양(土壤)의 종류외(種類外)에도 수도(水稻)의 품종(品種)이나 생육시기(生育時期)에 따라 다른것이다. 2. 투수성(透水性)이 큰 토양(土壤)에는 잘 유거(流去)되지 않는 비료(肥料)(유기물비료(有機物肥料)나 용성연비(熔成憐肥) 등(等))를 쓸것이며, 투수성(透水性)이 적고 유해성분(有害成分)이 집적(集積)되기 쉬운 토양(土壤)에는 류산근(류硫酸根)이나 유기질(有機質) 비료등(肥料等) 유해성분(有害成分)의 집적(集積)을 증가(增加)할 우려가 있는 비료(肥料)의 시용(施用)을 삼가야 한다. 3. 기왕(旣往) 국내(國內)에서 실시(實施)한 시험결과(試驗結果)에 의(依)하면 중점토(重粘土)에서는 연산(憐酸), 중점토(重粘土)와 퇴화염토(退化鹽土)에서는 가리결핍(加里缺乏)을 일으키기 쉬운것 같으나 그 밖의 토양(土壤)에서는 뚜렷한 경향(傾向)이 인정(認定)되지 않는다. 4. 투수성(透水性)이 큰 토양(土壤)에서는 산적토(山赤土)를 객토(客土)하는 경우(境遇)가 많은 바 이때에는 금비(金肥) 특(特)히 질소질비료(窒素質肥料)를, 객토(客土)하지 않았을때 보다 많이 써야 하는것이 일반적(一般的)이다. 5. 투수성(透水性)이 약(弱)하고 유해성분(有害成分)이 집적(集積)되기 쉬운 논에는 우선(于先) 석회(石灰)(소석회(消石灰))를 시용(施用)하여 토양반응(土壤反應)을 높여야 하며 심(甚)한 노후답(老朽畓)이나 퇴화염토(退化鹽土)에는 석회(石灰)와 아울러 규산질(珪酸質) 비료(肥料)를 시용(施用)한 연후(然後)에 비료(肥料) 삼요소(三要素) 시용(施用)을 고려(考慮)해야 할 것이다. 산성(酸性)으로 기울어져있는 많은 우리나라 논 토양(土壤)에는 알칼리성(性) 비료(肥料)인 용성연비(熔成憐肥)를 시용(施用)하는 것이 효과적(效果的) 일것이다. 6. 소석회(消石灰)와 규산(珪酸)의 시용(施用)은 연산(憐酸)과 가리(加里)의 요구량(要求量)을 증가(增加) 할것이며 비료(肥料) 삼요소(三要素)에 대(對)한 수도(水稻)의 응수곡선(應酬曲線)의 모습을 기왕(旣往)의 것과 달리 할것이다.

  • PDF

Comparison of Hydrologic Soil Groups with Classification Method (분류방법에 따른 수문학적 토양유형 비교)

  • Jung, Kang-Ho;Hur, Seung-Oh;Sonn, Yeon-Kyu;Park, Chan-Won;Ha, Sang-Keun;Kim, Nam-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97-105
    • /
    • 2007
  • 수문학적 토양유형은 복잡하게 세분되어 있는 토양의 종류를 수문학적인 목적에 따라 단순화하기 위해 만든 것으로 미농무성 토양보전국에서 고안한 개념이다. 우리나라 토양을 이 방법으로 구분하고자 하는 몇번의 시도가 있으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정 등(1995)이 분류한 수문학적 토양군이다. 이는 토양의 침투 투수특성에 대한 실측자료가 부족한 우리나라의 실정을 감안하여 토성속(textural family), 배수등급(drainage class), 불투수층(impermeable layer), 투수성(permeability)의 네가지 토양특성을 분류특성으로 하여 각각에 1-4점 범위로 점수를 매긴 후 합산한 점수를 기준으로 수문학적 토양유형을 분류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토양의 한계침투속도에 따라 수문학적 토양유형을 분류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방법으로 분류할 때 기존의 방법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고자 하였다. 정 등(1995)의 분류방법은 개념상 몇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먼저 토양의 수리특성은 같은 토성속이라 하여도 토양생성 과정과 토지이용 방법에 따라 그 차이가 매우 큼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해 고려하지 못하였으며 다음으로 지표유거가 많아 배수가 양호한 토양의 강우 유출을 과소평가한다. 또한 얕은 토심에 존재하는 불투수층이 존재하는 경우 토양의 수리특성에 관계없이 적은 양의 강우에도 유출이 발생하므로 별도의 제한인자로 간주하여야 한다. 토양의 한계 침투속도를 이용한 분류방법은 이러한 문제점을 상당 부분 개선할 수 있다. 토양의 한계침투속도를 산정하기 위해 현장에서 지표 한계침투속도와 투수속도를 측정하였으며 이 자료를 확장하여 해석하기 위해 입자특성을 이용한 Pedo Transfer Function을 개발하였다. 토심 50 cm 포화시 토양 투수성을 한계 침투속도로 가정하였으며 50 cm 이내에 암반층과 지하수위가 존재할 경우 투수성에 관계없이 D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새로운 방법으로 분류한 결과 기존의 분류와 몇가지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가장 큰 차이는 대부분의 논토양이 느린 한계침투속도의 영향으로 D유형에 속한 것이다. 산림토양과 밭토양은 기존 방법과 마찬가지로 A, B유형이 많았으며 암반층을 고려하기 전에는 기존 분류에 비해 강우 유출 가능성이 적은 쪽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암반층이 존재하는 토양을 고려한 결과 A 또는 B 유형에 속하던 상당수의 산림토양이 새로운 분류에서 D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지표 유거가 많아 배수등급이 매우양호로 분류되던 토양은 정 등(1995)의 분류와 비교하여 대부분 강우 유출 가능성이 큰 쪽으로 조정되었다. 새로운 수문학적 토양유형을 이용할 경우 낮은 토심에서 암반층이 발견되는 산림토양이 분포한 유역이나 산림, 밭 등에 식질 토양이 많이 분포하는 유역에서는 기존의 방법을 이용하는 것보다 강우 유출량이 높게 평가될 것으로 판단된다. 앞으로 강우 유출량 실측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지속적인 보정을 하여야 할 것이며 특히 불투수층의 존재시 일괄적으로 D유형으로 분류된 토양의 경우 깊이에 따라 C 또는 D 유형으로 세분하여 조정할 필요가 있다.

  • PDF

A Infiltration Analysis in Unsaturated Porous Layer with Permeable Sidewalk Block (투수성 보도블록에서의 불포화 투수층 침투 해석)

  • Lee, Jae-Joon;Lee, Ye-Hee;Kwak, Cha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905-905
    • /
    • 2012
  • 현재 도시유역의 홍수피해를 경감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우수유출 저감시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그러나 침투형 우수유출 저감시설의 경우 침투량 산정에 필요한 여러 인자 중 토성에 의해 저감 능력에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강우시 침투로 인한 토양내 함수비의 변화와 선행강우 조건 등에 의해 정량적인 분석이 어려워 활용도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09년 국립방재연구원에서 시행한 침투실험 자료의 조건과 동일하게 투수계수 및 형상이 다른 두 종류의 투수성 보도블록 A, B와 토양내 선행강우의 유무에 대하여 표 1과 같이 검증 케이스로 구분하고, 4 가지의 강우강도로 모의 조건을 설정한 후 불포화 투수층의 침투해석을 실시하고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모의결과에 대한 검증을 시행하였으며, 모의 결과의 검증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통계적인 적합도를 나타내는 평균제곱오차(RMSE), 평균편차비율(PBIAS), 모형 효율성 계수(NSE), 지속성 모형효율성 계수(PME)을 산정해 보았다. 검증 결과 그림 1과 같이 투수성 보도블록 B의 형태가 투수성 보도블록 A의 형태보다 적합도가 높게 나타났고, 50mm/hr의 강우강도에서 변동성이 크게 나타났으나, 50mm/hr를 제외한 나머지 강우조건에서 양호한 적합도를 보였으며, 선행강우가 있는 조건이 선행강우가 없는 조건에 비해 높은 적합도를 나타내었다.

  • PDF

Effects of Forest Environmental Changes on Soil Characteristics by Forest Fire (산화에 의한 산림환경변화가 토양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 Nam, Yi;Min, Ell-Sik;Chang, Kwan-Soon;Park, Kwan-Soo;Lee, Yoon-Won
    • Journal of Korea Soil Environment Society
    • /
    • v.3 no.2
    • /
    • pp.61-70
    • /
    • 1998
  • This research has been made for influence of forest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tree-clearcutting affecting to soil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n water storage capacity at forest fire land in Keumsan, Chungnam. The analyzed factors were bulk density, porosity, field moisture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air permeability and organic matter content, Field moisture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and air permeability at uncutting sites were higher than those at clearcutting sites, especially the most differences were appeared at lower slope. After 2 years passed since forest fire, the most changeable parts of soil characteristics were 5-l5cm depth below soil surface. Total Porosity, coarse pore and fine pore at uncutting sites were higher than those at clearcutting sites. Also, as soil depth increased, total porosity and coarse pore were decreased. Bulk density at uncutting sites was lower than that at clearcutting sites, and was decreased as soil depth increased. The order of the change trend in field moisture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air permeability and porosity was slope lower>middle>upper. Organic matter content at uncutting sites were higher than those at clearcutting sites, and decreased as soil depth increased. As soil depth increased, bulk density had the positive correlation, in other hand, porosity, coarse pore, field moisture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air permeability and organic matter content had the negative correlation. It was concluded that forest environmental changes by forest fire degrade soil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 PDF

Estimation of Pesticide Leaching Potential Using GUS, RF and AF Index in Cheju Citrus Orchard Soils (제주도 감귤원 토양에서 GUS, RF, AF 지수를 이용한 농약의 용탈잠재성 평가)

  • Oh, Sang-Sil;Moon, Doo-Khil;Chung, Jong-Bae;Hyun, Hae-Nam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21 no.1
    • /
    • pp.7-16
    • /
    • 2002
  • Contamination of groundwater by agrochemicals used in the regional-scale Is now a major environmental problem, and this is especially true for Cheju island where virtually all potable water is from groundwat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leaching potential of eight pesticides in soils of citrus orchards using groundwater ubiquity score (GUS), retardation factor (RF) and attenuation factor (AF). Considering GUS estimated in 30 citrus orchard soils, metribuzin and metolachlor were classified as leacher, alachlor in volcanic ash soils and linuron in non-volcanic soils were classified as leacher, but chlorothalonil and chlorpyrifos were classified as non-leacher. For RF values, metribuzin was classified to be mobile in soils of low organic carbon, metolachlor and alachlor were classified to be moderately immobile in most soils, but linuron, diuron, diniconazole, chlorothalonil and chlorpyrifos were all classified to be very immobile. For AF values, diniconazole, chlorothalonil, and chlorpyrifos were classified to be very unlikely leachable in all of the soils, metribuzin was classified to be likely leachable, and metolahclor, alachlor, linuron and diuron were classified to be leachable only in non-volcanic soils. Although there were some variations in the relative potential of teachability of pesticides estimated with the three different indices, the ranking was essentially determined on the base of the intrinsic properties of the chemicals and environmental properties. Among the eight pesticides, metribuzin, metolachlor, and alachlor, which have high water solubility and low $K_{oc}$ values, have a significant leaching potential especially in non-volcanic ash soils of low organic carbon. But diniconazole, chlorothalonil, and chlorpyrifos, which have low water solubility and high $K_{oc}$ values, were classified to be very immobile in all of the soils. Therefore, to lower the possibility of pesticide contamination of the groundwater in Cheju island, those pesticides which have high water solubility and low $K_{oc}$ values should be used with care in soils of low organic carbon including non-volcanic ash soils.

Comparison of Soil Permeability and Time-Series Variation of Soil Moisture in Areas with Different Land Use in an Agricultural Region of Gangwon Province, Korea (강원도 농촌지역에서 토지이용에 따른 토양수분의 시계열적 변동 특성 및 토양 투수성 비교)

  • Lee, Minwook;Lee, Sungbeen;Lee, Jin-Yong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32 no.4
    • /
    • pp.483-498
    • /
    • 2022
  • Soil moisture is defined as water in the pores of the soil's unsaturated zone, and it is closely related to various hydrological processes. This study aims to provide meaningful data by identifying factors affecting soil moisture through comparing soil moisture content and soil permeability in a study area covering six different land use types in an agricultural region that is highly dependent on groundwater. We conduct auto-correlation analysis, spectral density analysis, and cross-correlation analysis using time-series data. Soil moisture content shows to have weak auto-correlation and memory effects, and precipitation appears to have a substantial influence on soil moisture content. Saturation hydraulic conductivity does not vary markedly with changing land use, and instead appears to be affected by the inhomogenous soil structure.

An Experimental Study to Improve Permeability and Cleaning Efficiency of Oil Contaminated Soil by Plasma Blasting (플라즈마 블라스팅을 이용한 유류오염토양의 투수성과 정화효율 개선을 위한 실험적 연구)

  • Jang, Hyun-Shic;Kim, Ki-Joon;Song, Jae-Yong;An, Sang-Gon;Jang, Bo-An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30 no.4
    • /
    • pp.557-575
    • /
    • 2020
  • Plasma blasting which is generated by high voltage arc discharge of electricity is applied to soil mass to improve permeability of soil and cleaning efficiency of oil contamination. A new high voltage generator was manufactured and three types of soil including silty sand, silty sand mixed with lime and silty sand mixed with cement were prepared. Small and large soil columns were produced using these types of soil and plasma blasting was performed within soil columns to investigate the variation of soil volume penetrated by fluid and permeability. Soil volume penetrated by fluid increased by 11~71% when plasma blasting was applied in soil. Although plasma blasting with low electricity voltage induced horizontal fracture and fluid penetrated along this weak plane, plasma blasting with high voltage induced spherical penetration of fluid. Plasma blasting increased the permeability of soil. Permeabilty of soils mixed with lime and cement increased by 450~1,052% with plasma blasting. Permeability of soil increased as discharge voltage increased when plasma blasing was applied once. However, several blastings with the same discharge voltage increase or decrease permeability of soil. Oil contaminated soil was prepared by adding diesel into soil artificially and plasma blasting was performed in these oil contaminated soil. Cleaning efficiency increased by average of 393% for soil located nearby the blasting and by average of 239% for soil located far from the blasting. Cleaning efficiency did not show any correlation with discharge voltage. All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plasma blasting might be used for in-situ cleaning of oil contaminated soil because plasma blasting increased permeability of soil and cleaning efficiency.

Salinity Content in Soil on Chemical Composition and Productivity of Rice in Reclaimed Saline Paddy Field (토양의 염분농도 차이가 벼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

  • 권병선;백선영;임준택;신동영;김학진;현규환;신정식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4a
    • /
    • pp.79-82
    • /
    • 2003
  • 대부분의 신 간척지 논은 점토 함량이 적은 반면 미사 함량이 많고 토양 콜로이드의 분산제 역할을 하는 Na함량이 높기 때문에 이러한 토양은 입단화가 저해되고 투수성이 불량해 진다. 이러한 투수와 더불어 다량의 SiO$_2$, F$_2$, MR, MgO 등이 하층으로 용출되어 투수성과 통기성을 저하시키고 간척지 토양의 토양 물리화학적 불량에 의한 저수확답의 원인의 되어 벼의 재배가 어렵고 생산성이 낮아 경제성을 기대하기 어렵다. (김, 1992 : 고건, 1988 ;단야, 1983 ; 전중등, 1974).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토양의 염분농도차이가 토양화학성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간척지 토양의 경제성을 높이는데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출수기는 0.1%의 염분농도 토양은 8월15일, 0.4%의 염분농도 토양은 8월 20일, 0.8%의 염분 농도 토양은 8월 25일로서 0.1%의 염분농도 토양이 가장 빨랐다. 2. 쌀수량은 토양의 염분농도가 0.1%로 낮은 토양이 599kg/10a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0,4%의 염분농도 토양이 568kg/10a이었고 0.8%의 염분농도 토양은 446kg/10a로 가장 낮았으며 쌀수량 구성요소 역시 같은 경향으로 0.1%의 염분농도 토양에서 가장 우수하였고 다음으로는 0.4%, 0.8%순으로 나타났었다. 3. 쌀수량과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간의 상관에서는 pH와는 부의 상관, 유기물, 인산, 질소, 가리, 칼슘, 마그네슘의 함량간에는 정의상관이있다. 4. 전남광양만 간척지에서 쌀수량과 수량 구성요소면에서 볼때에 적합한 토양의 염분농도는 0.1%이라고 사료된다.

  • PDF

양수시험분석에 의한 제주도 화산암 대수층의 수리적 특성

  • 우윤정;함세영;정재열;이상선;장차연;박윤석;김봉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4a
    • /
    • pp.292-295
    • /
    • 2003
  • 제주도 전역의 88개소에서 측정한 양수시험자료를 분석하여 투수량계수를 산출하였으며, 투수량계수계수와 비양수량의 관계식을 산출하였다. 제주도의 화산암 대수층은 대체로 투수성이 크고 대수층의 상.하부로부터 상당량의 지하수가 공급되므로 누수피압대수층이 적합한 모델로 판단된다. 투수량계수는 0.405~1038.52m$^2$/d로서 넓은 범위에 걸쳐서 분포하며 이는 제주도 화산 암의 투수성이 지역에 따라 다양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비양수량(Q/s)-투수량계수(T) 관계식은 T = 0.582(Q/s)$^{0.974}$ 로 계산되었으며, 이 관계식은 지역적으로 투수량계수 산출이 불가능할 경우에 비양수량만으로 투수량계수를 추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