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토양 단면구조

Search Result 35,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Soil Characteristics on the Fluvial Terrace in the Basin of Ssangcheon (쌍천 하성단구의 토양 특성)

  • 강영복;박종원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5 no.2
    • /
    • pp.159-176
    • /
    • 2000
  • 본 연구는 남한강 상류의 소지류인 쌍천 유역에 발달한 하성단구의 퇴적물을 모재로 발달한 토양 특성을 조사.분석하였다. 중위 단구의 A1층은 갈색(10YR 4/3)의 미사질토양이고 발달도가 낮은 입상구조이며 B1층은 황갈색(10YR 5/8)의 사질식양토로 아각괴상구조이다. 고위단구의 A1층은 옅은 적갈색(5YR 4/3)의 미사질양토 내지 황갈색(10YR 5/8)의 미사질식토로 발달도가 낮은 아각괴상구조이다. B1층은 적색(2.5YR 3/6)의 사질식토 내지 밝은 적갈색(2.5YR 4/6)의 식양토로 발달도가 양호한 아각괴상구조이다. 고위단구 퇴적층을 모재로 발달한 토양의 구조는 중정도의아각괴상구조이고 조직이 치밀하다. 토양은 A1층, B1층,B2층으로 되어 있으며 또한 B층은 점토가 집적되어 있고 점토 피막이 나타난다. 쌍천의 중위단구상에 발달한 토양은 황갈색토이고 고위 단구상의 토양은 적색토이다. 고위단구 퇴적물을 모재로 발달한 본 적색토는 생성시가가 민델-리스 간빙기의 이전에 생성된 것으로 현재보다 온난한 생물-기후 조건하에서 탈규산화를 동반하는 적색토화작용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고위단구에 발달한 적색토는 토양단면의 형태적 및 물리 화학적인 특성등으로 보아 고적색토로 분류된다.

  • PDF

전라남도 남악 일원에 분포하는 조간대 퇴적층의 전기비저항 연구

  • 김성욱;이현재;최은경;안윤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1.09a
    • /
    • pp.212-215
    • /
    • 2001
  • 남악지역에 분포하는 조간대 퇴적층의 층서구조와 퇴적심도 및 기반암의 단열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전기비저항탐사를 실시하였다. 조간대 퇴적물에서 비저항은 하부로 갈수록 증가하며 대부분 3.0 Ohm-m이하의 비저항으로 고비저항의 기반암의 기반암과 뚜렷한 경계를 보여준다. 퇴적층의 층후는 퇴적지 중앙부에서 30m를 최대로 북쪽 (고해안선)과 남쪽 (영산강)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는데 선행 조사된 시추결과와 일치한다. 일부 지역의 전기비저항 해석단면과 시추단면에서 견고한 점토질 (stiff)의 지층이 분포하는데 이 지층은 북서-남동 방향의 고해안선과 나란하게 분포한다. 이것은 퇴적물을 공급한 흐름의 방향과 조간대의 확장방향이 북서-남동 방향임을 지시한다. 기반암의 단열구조로 판단되는 저비저항대는 조사지역의 동부에 집중되어 있으며 단열대의 연장방향은 북서-남동 방향이 우세하다.

  • PDF

살내유적지 발굴조사 : 1. 지형 및 토질분석

  • 김성욱;김인수;정성교;이성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2.09a
    • /
    • pp.323-326
    • /
    • 2002
  • 살내유적 발굴 현장에 분포하는 토양시료에 대한 지형과 토질분석을 실시하였다. 지형분석은 수치지형자료와 현장 측량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토양 시료의 채취는 트렌치된 곳에서 채취하였다. 토질의 수직적인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1개 지점은 심도별로 시료를 채취하였고, 퇴적단면에 대한 기재를 병행하였다. 유적지의 입지는 밀양강과 단장천이 합류되는 지점으로 수계의 변화는 퇴적물의 차이를 반영한다. 두 수계에 분포하는 암종은 서로 상이하며 유적지의 북동방향으로 갈수록 고도가 증가한다. 또한 토양의 자갈 구성비가 높은 점과 그리고 상, 하부 지층에서 구성 광물이 동일한 것은 유적지의 퇴적물이 같은 수계에서 기원되었음을 뜻하며 살내유적지는 단장천의 범람으로 형성되었다. 문차층은 세립의 실트와 모래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갈층은 대체로 경사져 있고 하부 지층을 깍고 채운 구조로 되어 있다. 토양의 입도는 유적지의 북에서 남으로, 서에서 동으로 잘수록 세립화되며, 2회에 걸쳐 상향 조립화의 구조를 보여준다.

  • PDF

The Improvement Effect of Pinus densiflora Forest Disturbed by Human Trampling in the Solbat Neighborhood Park, Gangbuk-gu, Seoul (서울시 강북구 솔밭근린공원 소나무림 답압 피해 개선사업 효과 연구)

  • Kwon, Ki-Young;Han, Bong-Ho;Park, Seok-Cheol;Choi, Jin-Wo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0 no.5
    • /
    • pp.148-159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effect of improvement such measures as fence installation or planting of bush and herbaceous plants taken from Pinus densiflora forest in Solbat Neighborhood Park in Seoul, which was damaged by stamping. The study was conducted in 2005 and 2010 in order to analyze changes in planting types, planting structure of Pinus densiflora forest, soil hardness, cross-sectional structure of soil,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il. It was also measured by the growth of the branches and the diameter of Pinus densiflora, comparing before and after the improvement to study the effect of restoring Pinus densiflora forest damaged by stamping. When it comes to a change in planting type, Pinus densiflora forest without underlay was reduced from 48.5% in 2005 to 6.8% in 2010. Pinus densiflora forest with bush and herbaceous plants was increased dramatically from 7.4% to 46.8%. Regarding planting structure, in most area of the subject site, Pinus densiflora forest without under layer was transformed into the one with bush and herbaceous plants including Rhododendron mucronulatum, Rhododendron schippenbachii, Hemerocallis fulva, Aceriphyllum rossii, Hosta plantaginea growing in a wide area. The soil in the Solbat Neighborhood Park was very stiff with soil hardness of $54.8kg/cm^2$ in average. After the improvement efforts made in the Park in 2010, the soil hardness was mostly less than $4kg/cm^2$, being in a good condition with little influence on the growth of plants. When it comes to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soil, litter layer didn't exist in 2005 because of stamping and the organic matter layer was only 1.0cm thick, which provided an unfavorable condition for plant growth. However, after improvement, litter layer was formed up to 3.0cm and thickness of the organic matter layer also went up to 1.5~8.0cm in 2010 because the damage from stamping was reduced. Concerning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 of soil, in 2005 soil showed pH 5.76~6.70, organic matter content 7.15~10.55%, and available phosphorus 9.38~26.47mg/kg, having no big problems as a soil environment for growth of Pinus densiflora. 15 trees of Pinus densiflora were selected to see branch growth and it was found that the branches tended to grow better after improvement. 70 trees of Pinus densiflora from various grades of soil hardness also were selected to identify changes of diameter growth. In most cases, it was analyzed that Pinus densiflora grew better after improvement. After conducting this study, it was validated that such measures as fence installation or planting of bush and herbaceous plants to restore Pinus densiflora Forest damaged by stamping were effective in improving growth of Pinus densiflora.

Development of energy saving rotary blade for tractor (III) - Motion analysis of rotary blade - (에너지 절감형 트랙터 로타리날 개발 (III) - 로타리날의 운동분석 -)

  • 이현동;김기대;박우풍;김찬수;서일환;오종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2a
    • /
    • pp.517-522
    • /
    • 2002
  • 본 연구는 트랙터용 로타리날의 운동특성을 분석하는 연구로서, 로타리날의 운동특성 분석장치를 이용하여 기존에 국내에서 사용되는 로타리날로 경운 작업을 할 경우, 로타리날 운동 및 형상, 구조에 따른 운동특성을 정밀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문제점 및 보완점을 앞으로 개발될 에너지 절감형 트랙터 로타리날 개발에 필요한 주요 인자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그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로타리날의 운동특성을 분석할 수 있는 로타리날 운동특성 분석 시스템을 설계, 제작하였다. (2) 분석 시스템 제어용 프로그램 Visual Basic 6.0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여 개발하였다. (3) 국내 로타리날 제조회사 4곳 및 외국 1개사 제품의 운동특성을 분석한 결과, B, C, E maker 제품이 로타리 경운 작업에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4) B, C, E maker 제품에서 살펴보면, 토양을 절단할 때의 경심별 위치를 \circled3부분이 되도록 해야하며, 단면이 확실하게 닿지 않도록 단면의 경우 B maker 형상을 따라야 한다. 또한 배면이 토양에 닿는 부위가 적어야 한다.

  • PDF

Estimation of Sediment Yield using Gavrilovi$\acute{c}$ model (Gavrilovi$\acute{c}$ 모형을 이용한 유사량 추정)

  • Lee, Joon-Hak;Oh, Kyoung-D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862-865
    • /
    • 2012
  • 유사량은 하천의 단면을 단위시간 동안 통과하는 토사의 양을 의미하며, 하천 구조물의 설계 및 유지관리를 위한 기본자료로 활용된다. 유사량은 하천 유역의 지형적인 특성과 기상요소에 영향을 받으며, 이를 규명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다. GIS기반의 유사량 예측모델로서 국내에서는 개정범용토양유실공식과 유사운송비(Sediment Delivery Ratio)를 이용하여 유역단위 유사량을 예측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Gavrilovi$\acute{c}$ 모델은 유역의 총 연유사량을 예측하고 토양침식의 정도를 정량화할 수 있는 경험적 모형으로 지질 및 토양, 지형조건, 기후인자(연평균 강우량, 연평균 온도), 토지이용의 6가지 입력변수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는 Gavrilovi$\acute{c}$ 모델의 국내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한 것으로서, 왕숙천 유역을 대상으로 Gavrilovi$\acute{c}$ 모델을 적용하여 유사량을 산정해본 결과, 실측값을 약 20% 내외로 비교적 근사하게 추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a Wetland in Mt. Geumjeong (금정산 산지습지의 지질학적 특성)

  • Cha, Eun-Jee;Hamm, Se-Yeong;Kim, Hyun-Ji;Lee, Jeong-Hwan;Cheong, Jae-Yeol;Ok, Soon-Il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2 no.2
    • /
    • pp.1-12
    • /
    • 2010
  • This study examined 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a wetland in Mountain Geumjeong in Busan Metropolitan City. Field survey and laboratory tests were performed to identify topographic features, geological and structural geological characteristics, rock strength along the distance from the wetland, soil profile in the wetland, and chemical property of the wetland soil. The bedrock of the wetland consists of hornblende granite. Hornblende granite and rhyolitic rock around the wetland have the joints with strikes of N-S, E-W, and NE-SW directions and with higher dips greater than $60^{\circ}$. Lower rock strength and higher weathering grades take place towards the wetlands. According to X-ray diffraction analysis of wetland soil samples, kaolinite, montmorillonite, and gibbsite appear which demonstrate weathered products of feldspars in the hornblende granite. The soil profile in the wetland comprises O, A, B, and C horizons from the land surface. The contents of the organic matters decrease from shallow parts to deeper parts of the soil profile. In addition, $K^+$ and $Na^+$ originating from the weathering of feldspars are dominant components among inorganic ions in the wetland soil.

Development of Experimental System for Green Roof System (옥상녹화 효율성 검증실험장비 개발)

  • Park, JaeRock;Kim, SaeBom;Cheon, JongHyeon;Kim, ByungSung;Shin, Hyun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95-495
    • /
    • 2017
  • 도시화는 불투수면의 증가를 야기 시켜 물순환 왜곡, 다양한 오염 물질의 유입으로 인한 비점오염물질 유출, 인공 배출열의 증가로 인한 도시열섬효과 등 다양한 문제를 유발한다. 이러한 수리수문학적 및 환경생태학적 문제를 저감하기 위하여 도시지역과 같은 개발 사업에서는 수환경을 가능한 자연 상태로 복원하는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기법이 중요한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LID기법 중 하나인 옥상녹화는 에너지 이용을 최소한으로 한 자연 녹음의 효과적인 이용을 도모하여 환경공생도시 조성과 식물을 매개로한 자연 순환 과정을 도시구조에 도입하여 순환 시스템 재생이 가능 하도록한다. 노지녹화는 두꺼운 자연 토양을 이용하는 반면 옥상녹화는 적재하중의 제약(옥상의 적재하중 조건은 $150{\sim}180kgf/m^2$이다. 비중이 1.6~1.8인 토양을 20cm 객토한 경우, 약 $320kgf/m^2 $이상의 적재하중이 되기에 식재기반의 경량화는 중요한 사안이다.)으로 인해 용적밀도가 작은 인공경량토양 또는 개량토양을 이용하며, 토양 두께도 얇게 설정된다. 또한 토양의 두께는 식물의 크기와 종류 및 토양의 조성에 따라 다르기에 적재하중 조건을 고려한 적절한 토양과 식재 식물의 크기와 종류 결정은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옥상녹화식생에 대한 평가와 이에 대한 시험 프로세스가 가능한 실험 장치를 개발하였다. 옥상녹화 효율성 검증실험장비는 1m*1m*0.6m 아크릴 재질의 녹화셀로 경사조절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여 경사변화에 따른 유출, 침투, 증발산량의 탄성도 모의 평가를 할 수 있다. 또한 4점식 형태의 로드셀을 이용하여 녹화셀에서 발생하는 증발산량을 측정하고 관측된 증발산량은 RS-232c 이상의 통신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주기적인 관측치의 송수신이 가능하며 주기적 자료송수신 외에도 옥상 녹화셀의 측면에 하중 표시기를 설치하여 관측이 가능하다. 또한 저면에 바퀴설치를 통하여 이동 실험이 용이하며 현재 부산대학교 양산캠퍼스 한국 GI&LID 실증단지 연구센터 내 옥상녹화 실험장에 옥상녹화 효율성 검증 실험 장비를 설치하여 자연 혹은 인공강우를 통한 유출, 침투, 증발산량의 시험계측을 실시중이다. 이러한 옥상녹화 효율성 검증실험장비는 최대 하중 2,000kg, 측정해상도 0.02kg 이상을 허용하는 로드셀과 녹화셀을 이용하여 하중을 고려한 식생의 종류에 따른 평가가 가능하므로 최적 식재기반 단면구조 개발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토양 함수량 변화 측정으로 옥상녹화에 이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식물의 염분에 대한 저항성과 식물의 성장능력을 평가하여 녹화공간에 따른 옥상녹화에 사용할 식생을 결정할 수 있다.

  • PDF

Evidences of Soil-Forming Processes and Groundwater Movement Obscuring Sedimentary Structures: A Trench Profile in Yongjang-li, Gyeongju, South Korea (퇴적 구조 관찰 시 유념해야 할 토양화 및 지하수 유동 흔적: 경주 용장리 트렌치 단면의 예)

  • Yoon, Soh-joung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52 no.6
    • /
    • pp.519-528
    • /
    • 2019
  • In 2017,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KIGAM) has excavated a trench at Yongjang-li in the city of Gyeongju to examine the evidence of fault movement related with the 2016 earthquake in unconsolidated sediments. In the trench profile, the author has observed the features of ongoing soil-forming processes and groundwater movement overlapped on the sedimentary layers. The soil formation was in its initial stage, and most of the original sedimentary layers could be observed. The color changes depending on the redox conditions and by the Mn/Fe oxide precipitation, however, were the most significant features obscuring sedimentary records. The dark Mn oxide precipitates formed at the groundwater levels often concealed the sedimentary unit boundaries. The groundwater levels varied depending on the particle sizes of the sedimentary layers contacting the groundwater, and the Mn oxide precipitates have formed at varying depths. The groundwater could move upward along the narrow pores in the fine-textured sedimentary layer more than a few meters showing the gray color indicating a reducing condition for iron.

Comparison of Soil Profile Development Index of the Residuum Soils Derived from Conglomerate (역암지대(礫岩地帶) 잔적토양(殘積土壤)의 토양단면발달지수(土壤斷面發達指數) 비교(比較))

  • Kim, Jung-Kon;Jung, Yeun-Tae;Son, Il-Soo;Yoon, El-Soo;Um, Ki-Tae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19 no.2
    • /
    • pp.99-105
    • /
    • 198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soil profile development indices of Sinjeong series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areas in Yeongnam district.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soils studied were belong to fine loamy family of hilly residual soils derived from conglomerate. These soils were well drained and dominantly had 30-60% slopes, and used for forest. 2. The surfaces were typified by brownish red (5YR) or brownish yellow (10YR) loam, subsoils were clay loam of reddish brown (5YR) or reddish yellow (7.5YR) and the substrata were in dark reddish brown (5YR) or pink (7.5YR) sandy loam. 3. The indices of horizon development of the soils studied were from 0.18 to 0.38 and the index in illuvial horizons with clay films were over 0.36, that were higher than the others. The profile development indices were similar to each other ranging from 30.18 to 35.93. 4. Posi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among horizon development indices and normalized values of structure, texture and consistences,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ile development indices and consistences were not the same. 5. The amount of clay minerals formed in the soil horizons per 100g of parent materials were 1.1-1.6g and the rates of the clay leached were around 4.4-5.9%. 6. The sphericity and roundness of the gravels contained in the soils studied were 0.741 and 0.715, respectively. These similarity of "well rounded" gravels certify that the parent rocks were formed under similar environm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