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토양전기전도도

Search Result 258,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Fine Soils in the Application of Electrokinetic Remediation (동전기력 복원공정 적용에 따른 세립토양의 전기화학적 특성 변화)

  • 고석오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7 no.3
    • /
    • pp.85-94
    • /
    • 2002
  • Overal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fine soils during the electrokinetic(EK) remediation. Zeta potential of kaolinite as a function of solution pH and surfactant concentration was investigated to make a relationship with electroosmotic flow direction and rate. During the EK experiments, pH of pore solution, electroosmotic permeability($k_e$), electric conductivity($\delta_e$) and voltage distribution was measured, respectively, The point of zero charge(PZC) of kaolinite was estimated to be about 4.2 and the zeta potential of kaolinite above PZC was more negative as solution pH increased. Sorption of surfactants on the kaolinite altered the zeta potential of kaolinite. resulting from the variation of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aolinite surface. hs the EK experiment progressed, low pH was predominant over most of the kaolinite specimen and thus resulted in very low mass and charge flow. The $k_e$ and $\delta_e$ was also affected by the variation of voltage drop across the EK column with time. Results from this study implied that zeta potential of kaolinite affected by the pH variation of pore solution and voltage distribution in soil column played important role in the determination of mass and charge flow during EK process. It was also suggested that pH adjustment or addition of suitable sorbates could alter the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il surface and thus maintain high mass and charge flow rate with time.

Comparison of soil arthropod community characteristics in organic and conventional orchards in Gangwon Province (강원지역 유기 및 관행 과수원에서의 절지동물 군집 특성 비교)

  • June Wee;Yong Ho Lee;Sun Hee Hong;Kijong Cho;Young Ju Oh;Chae Sun Na;Kwang Lai Park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41 no.4
    • /
    • pp.530-538
    • /
    • 2023
  • This study conducted an investigation into the effects of fruit type and cultivation practices (organic and conventional) on soil characteristics and soil arthropod communities within apple, blueberry, grape, peach, and pear orchards. The collection of soil arthropod communities was achieved through the utilization of pitfall traps, with concurrent measurements taken for soil moisture content, electrical conductivity, and temperatu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unveiled substantial impacts attributed to fruit type and cultivation practices on soil characteristics. Specifically, within organic apple orchards, discernibly higher levels of soil moisture content, electrical conductivity, and temperature were observed when compared to their conventional counterparts. The investigation into soil arthropod communities yielded a total of 1,527 individuals, classified in to five phyla and 15 orders. The range of abundance, species richness, and diversity indices varied across conventional and organic orchards. Cultivation practices were found not to exert a significant influence on soil arthropod community characteristics. However,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NMDS) analysis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tiation in soil arthropod community structure based on cultivation practices. This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vegetation structure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hat may influence soil arthropod communities comprehensively when assessing the impact of cultivation practices on soil arthropods. Furthermore, it emphasizes the need to account for both the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of soil arthropod communities in understanding the implications of cultivation practices on these organisms.

Changes in Early Stage Vegetation Succession as Affected by Desalinization Process in Dae-Ho Reclaimed Land (대호 간척지의 제염진해에 따른 초기 식생 변화)

  • Lee, Seung-Heon;An, Yeoul;Yoo, Sun-Ho;Lee, Sang-Mo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19 no.4
    • /
    • pp.364-369
    • /
    • 2000
  • In order to obtain the reference data to be used as an vegetation index for degree of desalinization, vegetation successions were surveyed and soil 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at the naturally maintained plot in Dae-Ho reclaimed land. Seven Groups $(A\;{\sim}\;G\;group)$ were classified as major vegetation; A group (Suaeda asparagoides MAKINO etc.), B group ( Aster tripolium L. etc.), C group (Stearia viridis L. BEAUV), D group ( Phragmites longivalvis STEUD), E group (Limonium tettagonum THUMB A. A. BULLOCK), F group (Trifolium repens L.), G group (Zoysia sinca HANCE etc.). As desalinization process proceeded, the wild vegetation changed in order of $A\;{\to}\;B\;group$, $D\;{\to}\;C\;group$, $E\;{\to}\;F$, G group. Soil texture of the naturally maintained plot was silt loam and soil fertility was very low compared with agricultural cultivated soil. Soil pH ranged from 7.0 to 8.0. Electrical conductivity (ECe) was below 10 and $20\;dS{\cdot}m^{-1}$ at top and subsoil, respectively, except the plot where A group were growing. Resulting from SAR and ECe, The plot where A group was growing was saline-sodic soil and the others were saline soil. The relation between vegetation sucession and soil desalinization showed that vegation appeared under $10\;dS{\cdot}m^{-1}$ of ECe and 15 of SAR except A group.

  • PDF

Analysis of Electrical Conductivity during Desalinization of Reclaimed Tidal Lands (간척지 토양의 제염과정 중 전기전도도 분석)

  • 구자웅;최진규;손재권;윤광식;이동욱;조경훈
    •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43 no.4
    • /
    • pp.37-49
    • /
    • 2001
  •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produce the basic data for developing prediction techniques of desalinization to be applicable to reclaimed tidal lands at the beginning stage. the desalinization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by two water management practices, namely, the leaching method by subsurface drainage and the rinsing method by surface drainage. The 5 soil samples used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in 4 tidal land reclamation projects. Regression equations were obtain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electrical conductivity during the desalinization of reclaimed tidal lands and to estimate water requirements for desalinizat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According to USDA Salinity Laboratory classification system of salt affected soils the reclaimed tidal land soils used in this study were saline-sodic soils with the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and the high exchangeable sodium percentage. 2. With the increase of the water requirements for desalinization the electrical conductivity was decreased with high degree of correlationships and the desalinization effects were remakable in both the leaching method and the rinsing method. 3. In case of the leaching method the electrical conductivity had been reduced below the classification value of salt affected soils when the depth o water leached per unit depth of soil (Dwl/Ds) was 0.3 and the desalinization effects showed a tendency to be much the same in each treatment.

  • PDF

지하수 개발에 따른 자료 획득 및 이용에 관한 연구

  • Son Ju-Hyeong;Jeong Sang-Yong;Kim Sun-Yeong;Park Sang-Ju;Gwon Sun-G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5.04a
    • /
    • pp.90-93
    • /
    • 2005
  • 경상남도 합천군과 창녕군 생활용수 지하수 관정 개발시 지하수 굴착공종으로부터 얻어진 구간별 지층자료와 대수층 수질 자료를 획득하여 이용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지층정보를 파악하기 위하여 지하수공 굴착심도 10m마다 슬라임을 채취하였으며, 대수층 관통시에 지하수 시료를 구간별로 채수하여 전기전도도 및 수질시료를 분석하였다. 경도가 높은 지역의 경우, 음용수 수질기준치에 적합한 지하수를 개발하기 위해서 대수층별 전기전도도를 분석측정하여 경도를 간접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지하수 굴착심도 결정에 이용하였다. 그리고 대수층 구간별 불소 농도를 파악하였으며, 불소 농도가 높은 대수층 구간에서는 하부대수층 메움 등을 실시하였다. 대수층의 수질검사결과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우려 인자들(불소, 경도, 증발잔류물, 질산성 질소, 철, 알루미늄, 아연 등)에 대한 수질기준 초과 가능성을 대비한 양수시험 모니터링을 설계함으로써 지하수공의 수질 특성 파악이 가능하였다. 양수시험과정에서 탁도가 시간에 따라 기준치 이하까지 감소하는 일반적인 경향과 기준치 이상에서 더 이상 감소하지 않는 경향에 대한 원인을 분석할 수 있었다.

  • PDF

전기부상법을 이용한 토양세정 유출수 중 유수분리에 관한 연구

  • 소정현;최상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2.09a
    • /
    • pp.99-102
    • /
    • 2002
  • 전기분해에 의한 부상현상을 이용하여 토양세정 후 발생되는 유출수 중의 유수를 분리하기 위한 적정 운전조건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전압에 의한 유수분리 효율을 관찰한 결과, 전기분해 1시간 후 3V의 전압만으로도 88% 정도의 제거율을 나타내었으며 6V 이상의 전압에서는 90% 정도로 거의 비슷한 제거율을 나타내어 대부분의 에멀젼이 분리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일조건에서는 전기분해 시간이 경과될 수록 분리효율이 향상되었으며, 전극 간격이 넓어질수록 같은 효율을 얻기 위해 소요되는 전압의 크기가 커짐을 알 수 있었다. 전기분해 시 양극에서는 OH$^{-}$의 방전으로 발생되는 산소에 의해 산화반응이 일어나며, 음극에서는 H$^{+}$가 방전되어 발생되는 수소에 의해 환원반응이 일어나며 미세한 기포가 형성된다. 유분의 부상분리 현상은 유분의 (-)charge와 전기분해에 의해서 발생되는 양이온의 결합으로 인한 중화반응 및 음극에서 발생되는 미세 수소기포로 인만 부상분리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전압 및 전기분해 시간이 증가하고 전극 간격이 좁을수록 음극에서 발생되는 미세기포의 양이 증가되어 부상효과가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전극 종류는 구리 > 알루미늄 > 철 > 티타늄 순으로 효율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양극으로 사용된 이러한 금속들의 전기전도도 차이에 의해 일어나는 현상으로 판단된다

  • PDF

Selection of Soil Remediation Method Depending on Geophysical Characteristics (지구물리학적 특성에 따른 토양 오염 복원 기술의 선택)

  • Cho, Jong-Soo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1.09a
    • /
    • pp.90-93
    • /
    • 2001
  • Various soil remedial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and main effort has been to overcome the limiting factors. Major factors were the geophysical characteristics, especially hydraulic, electrical, and heat conductivities. In this paper, I have reviewed the remedial technologies depending on those. Only with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nd information on those characteristics, selection of the best remedial method can be possible.

  • PDF

Effects of Salinity Level and Irrigation Rate on Kentucky Bluegrass (Poa pratensis L.) Growth and Salt Accumulation in Sand Growing Media Established Over the Reclaimed Saline Soil (염해지 토양을 기반으로 조성된 모래 지반구조에서 관수용수의 량 및 염농도에 따른 토양내 염류 집적과 켄터키 블루그래스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 Rahayu, Rahayu;Yang, Geun-Mo;Choi, Joon-Soo
    • Asian Journal of Turfgrass Science
    • /
    • v.25 no.1
    • /
    • pp.79-88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information on rates and salinity levels of irrigation for growth of Kentucky bluegrass by minimizing the hazard of salt accumulation in the sand based growing medium. Root zone profile consists of 20 cm sand based top soil, 20 cm of coarse sand as layer to interrupt capillary rise and 10 cm of reclaimed paddy soil as a base of the root zone profile. Topsoil was a mixture of dredged sand and peat with a ratio of 95%: 5% by volume. The columns were soaked into 5 cm depth saline water reservoir with salinity level of 3-5 $dSm^{-1}$. Salinity levels of irrigation water were 0, 2 and 3 $dSm^{-1}$. Irrigation rates were 3.8, 5.7 and 7.6 mm $day^{-1}$ which were equivalent to 70%, 100% and 130% of average ET (evapotranspiration) rate of Kentucky bluegrass, and irrigation interval was 3 days. Salt accumulation was due to irrigated water and moved up water from shallow water base. At the end of second year, the accumulation of salt in the rootzone showed ECc of3.86, 4.7 and 5.1 $dSm^{-1}$, and SAR of 19.2, 23.9 and 27.5 when the salinities were 0, 2 and 3 dS $m^{-1}$, respectively. Irrigation rates of 100% and 130% of ET rate with saline water did not decrease ECe and SAR in growing media. The growth of KEG was influenced by irrigation rate in the $1^{st}$ year, however, salinity level was more critical in the $2^{nd}$ year. Compared to non-saline water, saline water of 2 and 3 dS $m^{-1}$ resulted in decreased visual quality by 3.2% and 16.5%, by 6.4% and 39.3% in clipping weight, and by 5.5% and 5.0% in root mass, respectively.

The Growth of Hosta longips According to Soil Depth and Composted Growing Media Available to Rooftop Garden (옥상정원에 이용 가능한 혼합 인공토양의 종류 및 토심에 따른 비비추의 생육 반응)

  • 최희선;이상수;이용범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29 no.3
    • /
    • pp.46-54
    • /
    • 2001
  • 도시녹지 면적 확대의 해결책으로 부각되고 있는 옥상정원은 조성이 용이해야 하며, 옥상정원 조성에 있어 가장 문제시되는 하중 또한 고려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들로 인해 최근 경량 인공토양의 이용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나, 자연토양에 비해 고가(高價)라는 이유로 자연토양이 주로 이용되거나, 인공토양이 이용되더라도 대부분 무기질계 단종(斷種) 인공토양만으로 시공되고 있어 식물 생육측면에서 단점 보완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옥상정원 조성에 이용 가능한 유·무기질계 인공토양들을 혼합 조성하여 그 물리·화학적 특성을 살펴보고, 각각의 혼합 인공토양 및 토심에 따른 식물생육을 조사해 봄으로써 이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12종류의 혼합 경량 인공토양 및 5종류의 토심(5, 10, 20, 30cm)으로 조성된 인공지방산에 2000년 6월 7일 비비추(Hosta longipes)를 정식하였으며, 정식 112일 후에 최종 생육조사를 실시하였다. 혼합 경량 인공 토양 및 토심에 따른 토양의 물리 화학성은 인공토양 분석법을 기초로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 1) 질석;피트모스(1:1, v/v), 펄라이트:질석:피트모스(1:1:2, v/v/v), 펄라이트;피트모스;입상암면(1:1:1, v/v/v) 혼합 경량 인공토양에서 비비추의 생육이 가장 좋았으며, 물리·화학성도 다른 토양에 비해 양호하였고, 하중도 적게 측정되었다. 2) 토심에 따른 비비추의 생육에서는 토심 10∼20cm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아, 토심 10cm에서도 자생 초화류의 생육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3)또한 인공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식물 생육(생체중)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전기전도도(EC), Na함량 및 토양표면 온도가 식물 생육에 있어 다른 요인들에 비해 더 큰 영향을 끼침을 살펴볼 수 있었다. 위의 결과들을 살펴볼 때 혼합 경량 인공토양은 토심을 낮추어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식물 생육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 기존 건물의 옥상정원에서도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본 실험에서는 더 나아가 저장기적인 혼합 인공토양의 물리·화학성 변화 및 식물생육을 살펴보는 연구 또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Calculation of TDR Sensor Coefficient through Measurement of Soil Sample (토양시료 측정을 통한 TDR 센서 계수 보정)

  • Moon, Duck Young;Lim, Kwang Su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76-76
    • /
    • 2015
  • 토양수분은 생태수문학에서 식생과의 상호작용의 중요한 인자이자, 대기와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총체적인 물 순환에 밀접한 관련이 있다. 수문학적으로는 증발, 침투, 지하수 함량, 토양 침식, 식생 분포 등을 지배하는 중요한 요소이고, 특히 시 공간적 분포특성은 강수 사상 후 토양으로의 침투 및 토양수분의 재분포, 증발산과 불포화대에서의 오염물의 이송을 예측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또한, '07년 하천법 개정으로 증발산량 및 토양수분량이 신규 수문조사 항목으로 추가되어, 토양수분 측정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졌다. 따라서, 2008년 5월, K-water연구원에서는 현재 시험유역으로 운영하고 있는 용담시험유역에 토양수분관측망(6개 관측소)을 구축하였다. 토양수분계는 토양수분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인자인 강우자료의 획득이 이루어지는 지점에 설치하여 정확도와 신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용담시험 유역 내 6개 우량관측소에 설치하였다. 하지만 장비의 노후화에 따른 자료 취득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2013년 4월, 토양수분계를 전면 교체하였다. 토양수분계는 기존의 FDR 방식에서 EC 농도에 대한 영향이 가장 적고, 플럭스 타워에 위치한 토양수분계 센서와 동일한 TDR 방식의 센서로 장비를 전면 교체하였다. 센서 설치 장소 변경에 따른 TDR 센서의 검증과 그리고 흙의 종류, 입도, 다짐도, 온도 등에 의한 오차가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이에 대한 보정을 실시하였다. 원지반 시료채취를 통하여 토양수분량을 측정하였고, TDR 센서에 의해 측정된 토양수분량과 채취된 시료에서 측정된 토양수분량의 결과를 비교하였고, 각 지점별 토양구성비와 전기전도도 조건을 고려하여 각 토층별 계수적용을 달리하여 센서 보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기존 센서 제조사에서 제안한 방정식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 보다는 센서 검증을 통하여 얻은 계수보정에 의한 토양수분 변환식을 사용하는 것이 정확한 현장 자료를 확보할 수 있고, 신뢰도 높은 자료를 얻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