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토양성분함량

검색결과 727건 처리시간 0.03초

지형별 밭작물 재배지 토양화학성에 따른 시비 개선 (Improvement in Upland Soil Management on Different Topographies and Crops)

  • 김찬용;서영진;권태영;박준홍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47-152
    • /
    • 2010
  • 밭토양 환경 개선의 기초자료로 주요작물별, 경사 및 지형별로 토양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163개지점의 대표토양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경북지역 밭토양의 화학성분 평균분석치는 토양 pH는 5.9, 유기물은 23.2 g $kg^{-1}$, 유효인산은 549 mg $kg^{-1}$, 치환성 칼리, 칼슘 및 고토는 각각 0.9, 5.6 및 2.3 $cmol_c\;kg^{-1}$로서, 전국평균값에 비하여 토양 pH와 치환성 양이온은 높았고, 유기물과 유효인산의 함량은 낮았다. 2. 작물별 화학성분의 분석치를 비교한 결과, 토양 pH는 고추재배지에서, 유기물은 참깨재배지에서 적정범위 보다 낮았고, 치환성 양이온은 참깨재배지를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적정범위 이상 수준이었다. 3. 고추, 참깨, 콩재배지의 성분별 분포비율은 유효인산, 칼리성분은 과다분포비율을 보였다. 4. 토양 경사에 따른 토양화학성은 경사도가 낮아짐에 따라 대부분 양분함량이 높았고, 작물생육에 적정수준 범위 이상이었고, 7~30% slope에서 pH는 5.2~5.9로 적정범위에서 미달되었다. 5. 경북지역의 밭토양에 대한 지형별 토양화학성은 토양 pH의 경우 곡간지, 산록경사지 및 홍적대지에서 6.0~6.1로 적정범위였으며, 유기물함량, 유효인산과 치환성칼리의 경우 선상지에서 가장 높았고, 하성평탄지에서 대부분 성분이 낮았으나, 특히 홍적대지와 구릉지는 유효인산함량이 낮았다. 6. 작물별 지형에 따른 토양화학성분은 고추재배 지형별로는 뚜렷한 경향치가 없었으나, 상대적으로 시비량이 적은 콩과 참깨의 경우 고추와는 달리 시비에 의한 양분함량의 특성 보다는 지형에 의한 특성이 크게 나타났다. 고추에 대해서는 전체적인 감비가 이루어져야 하며, 콩과 참깨의 경우 지형에 따른 시비량을 결정하고 토양을 개량하는 방법으로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호주(濠洲)의 Brigalow 토양(土壤)에서 무기성분(無機成分)이 세가지 작물(作物)의 질소흡수(窒素吸收)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Soil Mineral Nutrients on Nitrogen Uptake of three Crops in Australian Brigalow Soil)

  • 안윤수;최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01-208
    • /
    • 1994
  • 밭토양(土壤) 심층(深層)에 용탈집적(溶脫集積)되어 있는 Nitrate를 작물(作物)이 이용(利用)할때 이의 흡수(吸收)를 저해(沮害)하는 토양성분(土壤成分)을 찾고자 검은연두(緣豆), 해바라기, 수수등 3가지 작물(作物)을 공시(供試)하여 이들 작물(作物)의 시용실소(施用室素)의 회수율(回收率)과 다른 토양성분(土壤成分)들의 관계를 구명(究明)하였다. 3가지 작물(作物)의 건물중(乾物重)과 질소규수량(窒素叫收量)은 토양(土壤)의 질소함량(窒素含量)이 높은 토양(土壤)에서 많았다. 염소흡수량(鹽素吸收量)은 해바리기와 수수에서는 염소농도(鹽素濃度)가 낮고 질소함량(窒素含量)이 높은 토양(土壤)에서, 검은연두(緣豆)에서는 질소함량(窒素含量)이 높은 토양(土壤)과 염소농도(鹽素濃度)가 높은 토양(土壤)에서 높았다. 3가지 작물의 시비질소(施肥窒素) 흡수비율(吸收比率)과 검은녹두(綠豆)의 고정질소(固定窒素) 비율(比率)은 질산태질소(窒酸態窒素) 함량(含量)이 가장 높은 토양(土壤)에서 낮았으며 토양질소(土壤窒素) 흡수비율(吸收比率)은 반대(反對)의 경향(傾向)을 보였다. 각종(各種) 양(陽)이온들의 흡수량(吸收量)이 증가(增加)할수록 3가지 작물(作物)의 시용질소(施用窒素) 회수율(回收率)이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었다. 해바라기와 수수에서는 염소흡수량(鹽素吸收量)이 많아짐에 따라 시용질소회수율(施用窒素回收率)도 증가(增加)하였으나 검은녹두(綠豆)에서는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었다. 검은연두(緣豆)의 시용질소(施用窒素) 회수율(回收率)은 토양(土壤)중 염소농도(鹽素濃度)가 높을수록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있는 감소(減少)를 보였다.

  • PDF

호주(濠洲) Narayen 시험장(試驗場)(CSIRO) 포장토양(圃場土壤)의 심도별(深度度) 성분(成分) 분포(分布) (Distribution of Soil Components and Their Relationships in Different Soil Depths in Australian Upland Soil (Narayen Exp. sta., CSIRO))

  • 안윤수;최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68-174
    • /
    • 1992
  • 밭토양(土壤)의 심층(深層)에 용탈집적(溶脫集積)되어 있는 nitrate를 작물(作物)이 이용(利用)할 때 이의 흡수(吸收)를 저해(沮害)하는 토양성분(土壤成分)을 찾고 그 요인(要因)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먼저 토양심도별(土壤深度別)로 nitrate와 chloride를 비롯한 몇가지 토양성분(土壤成分)들의 분포(分布)를 조사(調査)하였다. 1. 토심(土深) 150cm까지 몇가지 토양성분(土壤成分)들의 분포(分布)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T-N함량(含量)은 표토(表土)에서 많았다가 하층(下層)으로 갈수록 적어졌고, nitrate의 함량(含量)은 아래로 갈수록 적어지다가 토심(土深)110cm부터는 다시 증가(增加)하여 nitrate의 용탈(溶脫) 집적현상(集積現象)을 보였다. 2. $^{15}N$의 천연함량비율(天然含量比率)인 T-N과 nitrate의 ${\delta}a^{15}N$ 값은 하층(下層)으로 갈수록 높아졌고 다른 보문(報文)의 토양(土壤)들에 비(比)하여 높은 편이었다. 그러나 조사포장내(調査圃場內)에서 이들의 변이(變異)는 크지 않았다. 3. chloride함량(含量)과 EC값은 nitrate가 집적(集積)된 하층(下層)으로 갈수록 급격(急激)히 높아져 chloride와 염기(鹽基)들이 용탈집적(溶脫集積)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이들 간(間)에는 고도(高度)의 정(正)의 상관(相關)이 있었다.

  • PDF

시설재배 토양과 작물 잎 중의 미량원소 함량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Micronutrient Contents in Soils and Crops of Plastic Film House)

  • 정종배;김복진;유관식;이승호;신현진;황태경;최희열;이용우;이윤정;김종집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17-227
    • /
    • 2006
  • 본 연구는 시설재배 고추, 오이, 토마토를 대상으로 토양 및 식물체 중 미량원소 함량을 조사하여 미량원소의 적정시비관리를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일반작물에 대한 평균적인 토양 중 적정 미량원소 함량기준과 비교하면, Fe, Mn, Zn의 함량은 조사된 대부분의 토양에서 과잉상태이었고 Cu 또한 고추 재배지를 제외하면 대부분 과잉 상태이었다. 고추 재배지에서 Cu 함량이 적정 수준이하인 토양 비율이 30%정도였다. B는 다른 미량원소에 비하여 과잉상태인 토양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으나 고추 재배지의 경우에는 부족 토양 비율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작물 잎 중의 미량원소 함량은 원소별 또는 작물별로 매우 넓은 범위에 분포하였다. B, Fe, Mn은 대부분이 적정 함량 범위에 있었으나, Cu와 Zn은 적정 함량 이하인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농가조사에서 미량원소의 가시적인 과잉 또는 결핍 증상은 발견되지 않았다. 토양 중의 가용성 미량원소 함량과 작물 잎 중의 미량원소 함량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고, 작물별 또는 미량원소별로 토양중의 가용성 함량이 적정수준 이상임에도 불구하고 잎 중의 미량원소 함량이 매우 낮은 경우도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조사된 농가별로 토양 특성이 다양하고 시비관리 및 수분관리 방법 등이 크게 다르기 때문일 것이다. 대부분 농가에서 토양 중의 미량원소 함량이 과잉임을 고려하면 뿌리를 통한 작물의 미량원소 흡수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미량원소의 흡수에 장애가 될 수 있는 다량 원소의 과다시비나 염류집적 문제의 해결을 포함한 시비 및 토양관리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토양검정과 작물체 분석 자료를 확보하여 작물생육에 기여하지 못하는 과잉의 미량원소 시비 관행의 문제점을 보다 철저히 검토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방제가를 보였다. 초기 이병엽율이 약 16% 정도였을 때 공시약제를 처리한 결과 boscalid와 metrafenone 처리구는 각각 100% 및 97.5%의 방제가를 보였다. 그러나 triflumizole 및 fenarimol는 비교적 낮은 30.8% 및 51.6%의 방제가를 보였다. 공시약제를 흰가루병이 발생한 다음 처리한 후 이병엽을 염색하여 흰가루 병균의 균사생장과 포자형성 등을 관찰한 결과 균사가 용균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균사의 용균정도와 분생포자형성 억제 정도는 병 방제효과와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을 의미한다. IV형은 가장 후기에 포획된 유체포유물이며, 광산 주변에 분포하는 석회암체 등의 변성퇴적암류로부터 $CO_{2}$ 성분과 다양한 성분의 유체가 공급되어 생성된 것으로 여겨진다. 정동이 발달하고 있지 않으며, 백운모를 함유하고 있는 대유페그마타이트는 변성작용에 의한 부분용융에 의해 형성된 멜트에서 결정화되었으며, 상당히 높은 압력의 환경에서 대유페그마타이트의 결정화작용 과정에서 용리한 유체의 성분이 전기석에 포획되어 있다. 이때 용리된 유체는 다양한 성분을 지니고 있었으며, 매우 낮은 공융온도와 다양한 딸결정은 포유물 내에 NaCl, KCl 이외에 적어도 $CaCl_{2},\;MgCl_{2}$와 같은 성분을 포함하고 있음을 지시한다. 유체의 용리는 적어도 $2.7{\sim}5.3$ kbar 이상의 압력과 $230{\sim}328^{\circ}C$ 이상의 온도에서 시작되었다.없었다. 결론적으로 일부 한방제와 생약제제는 육계에서 항생제를 대체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특히 혈액의 성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실증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trip과 Sof-Lex

토양이화학성(土壤理化學性) 및 무기성분(無機成分) 흡수량(吸收量)이 시호(柴胡)(Bupleurum falcatum L.)근(根) 중(中) Saikosaponin a, c의 함량(含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the Soil Fertility and the Inorganic Nutrients in the Root on the Contents of Saikosaponin a, c in the Root of Bupleurum falcatum L.)

  • 장상문;박병윤;최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9-52
    • /
    • 1990
  • 시호(柴胡)의 주(主) 약효성분(藥效成分)인 saikosaponin a 및 c의 함량(含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산지에서 채취(採取)한 1년근(年根) 중(中)의 saikosaponin a, c의 함량(含量)과 재배지(栽培地) 토양(土壤)의 이화학성(理化學性)과의 관계(關係)를 규명하였다. 시호근(柴胡根) 중(中)의 saikosaponin a 및 c의 함량(含量)은 각각(各各) 0.141~0.479%와 0.042~0.094%의 범위에 속(屬)하였다. Saikosaponin a의 함량(含量)은 표토(表土)의 전질소함량(全窒素含量)과 부(負)의 상관(相關)이 인정(認定)되었다. Saikosaponin a 및 c의 함량(含量)은 시호근(柴胡根) 중(中)의 Fe의 함량(含量)과 공(共)히 부(負)의 상관(相關)이 인정(認定)되었다.

  • PDF

제지(製紙)슬러지와 슬러지 시용토양중(施用土壤中)의 유해성분(有害性分)에 관하여 (On the Harzadous Components of Paper Mill Sludge and Sludge Treated Soil)

  • 이규승;최종우;조정례;김문규
    • 농업과학연구
    • /
    • 제19권2호
    • /
    • pp.194-200
    • /
    • 1992
  • 제지슬러지를 퇴비(堆肥) 등 유기물자원(有機物資源)으로이용하기 위하여 44점의(點) 제지슬러지를 제지회사에서 직접 채취하여 슬러지 중의 중금속 성분과 $PCB_s$ 함량을 조사하였고, 아울러 Kraft지슬러지와 판지(板紙)슬러지를 이용한 농가포장(農家圃場) 토양중의 중금속함량을 무시용(無施用) 토양과 비교하여 보았으며 중요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슬러지 중에서는 납이 평균(平均) 14.5-25.7ppm으로 비교적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Al, Cd, Cu, Fe, 및 Zn 등은 일반토양중 함량과 비교하여 큰 문제가 없는 수준이었으며, Cr과 Hg은 검출(檢出)되지 않았다. 2. Kraft지, 판지(板紙), 신문용지(新聞用紙)슬러지 중의 $PCB_s$ 함량을 조사해 본 결과, kraft지와(紙) 판지(板紙) 슬러지에서는 10ppb 이하로서 거의 무시할 수준이었으며, 신문용지 슬러지에는 다소간 존재하였으나 $PCB_s$ 총량(總量)을 정량하지는 못하였다. 3. 제지슬러지 시용토양중의 금속성분함량은 무처리토양과 비교하여 유의성있는 증가 양상을 보이지 않았으며, 전반적인 함량은 토양중 평균함량범위 이내였다. 4. 이상의 결과로 보아 제지슬러지의 토양환원은 현단계에서 부작용을 일으킬 우려가 없다고 평가할 수 있다.

  • PDF

토양의 총인산과 유효인산함량을 측정하기 위한 근적외 기술의 이용 (Use of NIR Technique for Determination of Total Phosphorus and Available Phosphorus in Korean Soils)

  • 유관식;박진숙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50-54
    • /
    • 2008
  • 근적외선스펙트로메타는 토양의 성분을 측정하는 새로운 기술로 발전하고 있다. 작물이 요구하는 토양의 인산 함량을 측정하는 데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침출액과 침출조건에 따라서 다르기 때문에 어려운 성분이다. 그러나 근적외선 방법을 이용하여 표준곡선을 정확하게만 만들어, 표준곡선 작성 시 Wiliams의 상관계수안내를 이용하면 상관계수의 수치에 따라서 토양의 총인산과 유효인산을 측정하는데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근적외 기술은 정밀도를 향상하면 포장 현지에서의 토양검정에도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쉬운 기술로 생각된다.

주요(主要) 노지채소(露地菜蔬) 주산지(主産地) 토양(土壤)의 화학적(化學的) 특성(特性) (Soil Chemical Properties of Major Vegetable Producing Open Fields)

  • 황기성;이성재;곽용호;김기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46-151
    • /
    • 1997
  • 주요(主要) 채소류(菜蔬類) 재배지 토양의 화학적 특성을 밝히고, 화학성분 함량의 변동양상(變動樣相)을 파악하여 토양개량(土壤改良) 및 시비량(施肥量) 기준설정(基準設定)의 기초자료(基礎資料)로 활용(活用)하고자 고추, 마늘, 양파, 수박, 무, 배추, 감자 등의 주산단지(主産團地)에서 작물별로 30개 포장(圃場)(합계(合計) 210개 포장(圃場))을 선정(選定)하여 토양화학성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노지채소(露地菜蔬) 재배지 토양의 양분함량은 대체적(大體的)으로 채소류 재배에 적합(適合)하나 성분별(成分別)로 구분(區分)하여 보면 pH와 유기물(有機物), 고토(苦土)등은 밭토양 개량목표에 미달(未達)되고 있으나 인산과 가리는 개량목표를 상회(上廻)하였다. 2. 채소류 재배지 토양의 양분함량(養分含量)을 작물별로 구분(區分)하여 보면 마늘>감자>배추>양파>고추>무>수박 재배지 순(順)으로 높았다. 3. 채소류 재배지 토양의 미량원소(微量元素) 함량(含量)은 Fe 71~89, Mn 38~40, Cu 1.4~1.6, Zn 2.2~3.0 mg/kg 범위(範圍) 이었다. 4. 밭토양의 화학성분 분포비율(分布比率)을 보면 pH는 5.0 이하가 41%인 반면(反面) 유효인산과 치환성 칼리 및 석회는 각각(各各) 73, 47, 63%가 밭토양 개량목표(改良目標)를 상회(上廻)하고 있다.

  • PDF

경남지역 과수원 토양 화학성분이 미생물 생태에 미치는 영향 (Response of Microbe to Chemical Properties from Orchard Soil in Gyeongnam Province)

  • 이영한;장용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36-241
    • /
    • 2011
  • 경남지역 과수원 토양 25개소를 대상으로 2010년에 토양 화학성분과 미생물 다양성을 검토하고 토성, 지형 및 작물별 주요 변동요인을 주성분분석으로 해석하였다. 토양 유효인산 및 치환성 칼륨 함량은 적정수준 보다 각각 2.6배 및 2.3배 높았으며 대부분 토양 화학성분의 최소값과 최대값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지형적으로 산록경사지는 토양 유효인산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p<0.05) 미사질양토에서 곰팡이와 형광성 슈도모나스균 개체수가 사양토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5). 주성분 분석결과 제 1주성분이 28.4%, 제 2주성분이 20.1%로서 전체 48.5%의 자료를 설명할 수 있었으며 제 1주성분은 토양의 세균 개체수가 가장 크게 기여하였다. 토양 유기물 함량은 곰팡이 개체수와 정의상관을 보인 반면 세균 개체수와 부의상관을 나타냈다.

하수오니 및 석회시용이 열무의 생육과 화학성분에 미치는 영향 (Growth and Mineral Composition of Young Radish in Soils Amended with Sewage Sludge and Lime)

  • 정구복;김원일;이종식;김진호;윤순강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87-93
    • /
    • 2003
  • 하수오니의 농경지 유입에 따른 작물의 생육상황, 피해증상 및 부위별 무기성분 함량에 미치는 석회의 개량 효과를 검토하고, 토양 및 식물체중의 화학성분이 식물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공단하수오니 및 석회를 조합 처리하고 3요소구를 대조구로 하여 열무의 생육상과 화학성분 함량을 분석 비교하였다. 시험 후 토양의 화학성은 하수오니구가 3요소구와 비교하여 EC, T-N 및 미량성분 함량은 높았고, Av, $P_2O_5$ 및 치환성 양이온은 낮게 나타났다. 하수오니 시용구에서 열무의 피해증상으로 잎의 황백화 현상을 보였으나 석회처리구에서는 생육이 양호하였고 황백화 현상도 나타나지 않았다. 하수오니 시용구에서 석회의 개량효과로 열무 생육과 수량감소를 경감시키는 효과가 나타났으며, 특히 하수오니 50 Mg/ha 구에서는 무처리에 비해 잎과 뿌리의 수량이 각각 29%, 48% 증수되었다. 하수오니 시용구에서 3요소구와 비교하여 열무증의 유효성분인 P, K, Ca 및 Mg 함량이 낮았으나 석회처리로 열무에 흡수된 유효성분 함량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토양 및 열무 엽중의 Cu, Zn, Ni 함량을 열무 잎의 T-N과는 정의 상관, P 및 양이온과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열무중의 Cu, Zn, Ni함량은 잎과 뿌리 모두에서 열무 생체수량과 고도의 부의 상관을 보였다. 2차 회귀식에 의해 계산된 열무 엽중의 Cu, Zn에 대한 5% 수량감소 농도는 각각 22.4, 349 mg/kg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