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to improve the fertilizer use in upland soil on the different topographies, and crops at 163 upland fields located in the parts of Gyengsangbuk-do area. The soil distribution was based on crops, and topographiese. Soils from these fields were analyzed for pH, organic mater, available phosphorus ($P_2O_5$), exchangeable potassium, calcium and magnesium, and found to have pH5.9, organic mater 23.2 g $kg^{-1}$, $P_2O_5$ 549 mg $kg^{-1}$, exchangeable potassium, calcium and magnesium were 0.9, 5.6, and 2.3 $cmol^+\;kg^{-1}$, respectively. The excessive distribution percent of soil samples for crops were higher than the optimum range in $P_2O_5$, and exchangeable potassium. The content of organic matter, $P_2O_5$, exchangeable potassium, calcium, and magnesium were increased with the decreasing slope. The major chemical components in fans topographies were 28.4 g $kg^{-1}$ for organic matter, 700 mg $kg^{-1}$ for $P_2O_5$, and 1.0 $cmol_c\;kg^{-1}$ for exchangeable potassium relatively higher in comparison with other topographies. The content of $P_2O_5$ were lower in diluvium, and hilly areas than other topographies. The soil of red pepper was more influenced by the amount of applied fertility than the slope, and topographies, On the other hand the crops like soybean and sesame, were more affected by the slope, and topographies.
밭토양 환경 개선의 기초자료로 주요작물별, 경사 및 지형별로 토양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163개지점의 대표토양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경북지역 밭토양의 화학성분 평균분석치는 토양 pH는 5.9, 유기물은 23.2 g $kg^{-1}$, 유효인산은 549 mg $kg^{-1}$, 치환성 칼리, 칼슘 및 고토는 각각 0.9, 5.6 및 2.3 $cmol_c\;kg^{-1}$로서, 전국평균값에 비하여 토양 pH와 치환성 양이온은 높았고, 유기물과 유효인산의 함량은 낮았다. 2. 작물별 화학성분의 분석치를 비교한 결과, 토양 pH는 고추재배지에서, 유기물은 참깨재배지에서 적정범위 보다 낮았고, 치환성 양이온은 참깨재배지를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적정범위 이상 수준이었다. 3. 고추, 참깨, 콩재배지의 성분별 분포비율은 유효인산, 칼리성분은 과다분포비율을 보였다. 4. 토양 경사에 따른 토양화학성은 경사도가 낮아짐에 따라 대부분 양분함량이 높았고, 작물생육에 적정수준 범위 이상이었고, 7~30% slope에서 pH는 5.2~5.9로 적정범위에서 미달되었다. 5. 경북지역의 밭토양에 대한 지형별 토양화학성은 토양 pH의 경우 곡간지, 산록경사지 및 홍적대지에서 6.0~6.1로 적정범위였으며, 유기물함량, 유효인산과 치환성칼리의 경우 선상지에서 가장 높았고, 하성평탄지에서 대부분 성분이 낮았으나, 특히 홍적대지와 구릉지는 유효인산함량이 낮았다. 6. 작물별 지형에 따른 토양화학성분은 고추재배 지형별로는 뚜렷한 경향치가 없었으나, 상대적으로 시비량이 적은 콩과 참깨의 경우 고추와는 달리 시비에 의한 양분함량의 특성 보다는 지형에 의한 특성이 크게 나타났다. 고추에 대해서는 전체적인 감비가 이루어져야 하며, 콩과 참깨의 경우 지형에 따른 시비량을 결정하고 토양을 개량하는 방법으로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