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토양발달

Search Result 498,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상이한 삼림생태계에서 강우량에 따른 투수 특성 변화

  • 정덕영;오종민;진연호;손요한;주영특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1998.06a
    • /
    • pp.74-78
    • /
    • 1998
  • 경기도 퇴촌에 위치한 경희대학교 연습림내의 낙엽송, 잣나무 및 굴참나무의 천연활엽수로 구성된 3개의 임반에서 경사도와 년간 강우량 변화에 따른 투수특성을 조사하였다. 3개의 임반의 O, A, B층은 3개 임반 모두 경사도가 낮은 하부사면에서 관찰되었으나 경사도가 높은 산사면이나 수간우가 많은 일부 지역에서는 바로 암반층 또는 풍화층이 나타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잣나무 임반은 유기물 퇴적층과 A층이 낙엽송이나 굴참나무 임반보다 잘 발달되어 O층은 약 5내지 10cm 정도이고 A층 또한 O층 아래로 약 50cm까지 깊게 발달되었다. 낙엽송 임반의 하부사면의 경우 A층의 발달이 약 35cm부터 약60cm 에 이르고 있으나 토성을 구성하는 요소중 직경 2mm 이상의 자갈에 토양입자들이 전체 토양의 40%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토층분화 특성을 달리하는 임반에서의 투수특성은 표층토에서는 약 5.2cm/hr였고 A층에서는 평균 8.2cm/hr 정도였다. 이는 A층에서의 토성이 주로 자갈로 구성되어 대공극을 이루고 있고 평균 부피수분함량이 약 25%인 점을 감안하면 상대 투수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산지사면의 상부보다 상대투수속도가 증가되는 경향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상부에서의 토층발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투수속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실험의 결과로 추정할 때 지표층에 존재하는 유기물과 토층 분화 정도가 투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oil Classification by Soil Taxonomy and Soil Properties of Korea (Soil Taxonomy 토양분류체계와 우리나라의 토양특성)

  • Hyun, Byung-Keun;Jung, Sug-Jae;Sonn, Yeon-Kyu;Rim, Sang-Kyu;Song, Kwa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84-88
    • /
    • 2007
  • 우리나라의 토양조사는 미농무성(USDA)의 분류방법에 따라 개략토양조사($'65{\sim}'67$년), 정밀토양조사($'68{\sim}'79$년), 논토양배양사업 10개년계획($'80{\sim}'90$년), 그리고 밭토양세부정밀토양조사($'95{\sim}'99$년) 등을 실시하였다. 현지에서의 토양조사는 지형, 배수등급, 토성, 자갈함량, 유효토심, 경사 등 현지의 지형지물 및 환경을 통하여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전국에 대한 토양조사 결과, 토양통 (심토의 특성이 유사한 토양) 390개, 토양구(표토의 토성을 세분) 536개, 토양상(경사도 및 침식등급을 세분) 1,321개로 분류되어 있다. 우리나라 토양형성 발달에 미친 기후인자는 습윤권역(Udic moisture regime)과 토양온도는 mesic과 일부 남해안과 제주지역의 thermic인 토양온도(Soil moisture regime)였으며, 식생인자는 높은 지역의 경우에는 산림이 낮은 저지대 평탄지는 자연초지가 대부분이다. 지형인자는 동고서저지형으로 동부는 산악지, 서부는 경사가 완만한 구릉지며, 한강 등 대부분이 서남방향으로 흐르는 지형이다. 모재는 다양하나 70%이상이 화강암, 화강편마암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시간인자의 경우에는 기간이 매우 오래되었으나, 지형이 복잡하여 토양발달이 약한 Inceptisol과 층위발달이 없는 Entisol이 대부분이며, 다음으로 Ultisol과 Alfisol이 뒤를 이었다. 일부 Andisol, Mollisol, Histosol이 존재하였다. 우리나라의 토양분류는 Soil Taxonomy에 의해 분류되었는데, 이것은 토양의 단면내에 존재하는 감식층위(Diagnostic Horizon)의 유무 및 종류에 따른 분류이다. 토양분류 결과 최고 상위분류 단위인 목(order)이 7개, 아목(suborder) 14개, 대군(great group) 27개, 아군(sub group) 67개, 속(family) 161개로 분류되었으며, 가장 저차단위인 통(series)이 390개 분류되었다. 또한 작물이용측면에서 실용적 분류를 실시하였는데, 논토양의 경우 보통논, 미숙논, 사질논, 습논, 염해논, 특이산성논으로 분류할 경우 각각의 분포면적이 31.9%, 23.0%, 31.9%, 9.1%, 3.9%, 0.2%이었다. 밭토양의 경우에도 보통밭, 사질밭, 미숙밭, 중점밭, 고원밭, 화산회밭으로 6개 유형으로 분류할 경우 각각의 분포면적은 41.9%, 23.3%, 17.5%, 13.9%, 1.1. 2.2% 이었다. 도시화 및 도로확대 등 다양한 토지이용 및 지형개변으로 과거의 토양정보가 많이 변경되었다. 그래서, 앞으로는 인공위성자료 및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빠르고 쉽게 활용할 수 있는 토양조사 방법개발과 기 구축된 토양도의 수정, 보완 작업이 필요한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현실이다.

  • PDF

Taxonomical Classification and Genesis of Yongheung Series in Jeju Island (제주도 토양인 용흥통의 분류 및 생성)

  • Song, Kwan-Cheol;Hyun, Byung-Geun;Moon, Kyung-Hwan;Jeon, Seung-Jong;Lim, Han-Cheol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42 no.6
    • /
    • pp.478-485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classify Yongheung series based on the second edition of Soil Taxonomy and to discuss the formation of Yongheung series in Jeju Island. Morphological properties of typifying pedon of Yongheung series were investigated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Soil Survey Laboratory Methods Manual. The typifying pedon contains 3.2~3.4% oxalate extractable (Al + 1/2 Fe), less than 85% phosphate retention, and higher bulk density than $0.90Mg\;m^{-3}$. That can not be classified as Andisol. But it has an argillic horizon from a depth of 15 to 150 cm and a base saturation (sum of cations) of less than 35% at 125 cm below the upper boundary of the argillic horizon. That can be classified as Ultisol, not as Andisol or Alfisol. The typifying pedon has 0.9 % or more organic carbon in the upper 15 cm of the argillic horizon and accordingly, can be classified as Humult. It has a clay distribution in which the percentage of clay does not decrese from its maximum amount by 20% or more within a depth of 150 cm from the mineral soil surface, and keys out as Palehumult. Also that meets the requirements of Typic Palehumult. That has 35 % or more clay at the particle-size control section and has mesic soil temperature regime. Yongheung series can be classified as fine, mixed, thermic family of Typic Palehumults, not as fine, mixed, thermic family of Typic Hapludalfs. Most soils distributed in the southern coastal areas in Jeju island which have a humid climate are developed as Andisols. But Yongheung series distributed in this areas and derived from mainly trachyte, trachytic andesite, and volcanic ash are developed as Ultisols.

Soil Properties in Quercus mongolica Communities (신갈나무림의 군집별 토양특성)

  • 박관수;장규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2 no.3
    • /
    • pp.236-241
    • /
    • 1998
  • This study was to compare soil characteristics among Quercus mongolica communities that characterize the boreal-temperate deciduous forest in Korea. The classification of Quercus mongolica community and soil sampling were carried in Mt. Odae and Mt. Jungwang in Kangwondo from April of 1991 to October of 1994. The study area was classified as 5 Quercus mongolica communities with Braun-Blanquet method as follows; Quercus mongolica - Abies nephrolepis, Quercus mongolica - Acer pseudosieboldianum, Quercus mongolica - Lindera obtusiloba, Quercus mongolica - Acer mandshuricum, and Quercus mongolica - Carpinus cordata communities. Quercus mongolica - Abies nephorolepis community had the most shallow depth of A horizon(5cm) among communities, and root penetration was mainly from 0 to 10cm soil depth, and they had a dry soil moisture condition. Depth of A horizon of Quercus mongolica - Lindera obtusiloba and Quercus mongolica - Acer mandshuricum communities was about 20cm, and root penetration was mainly from 0 to 20cm soil depth, and they had a slightly dry soil moisture condition. Quercus mongolica - Acer mandshuricum, and Quercus mongolica -Carpinus cordata communities had the deepest depth of A horizon(35cm) and root was well developed over 45cm, and they had a moderately-slight dry soil condition. The soil organic matter, total N, exchangeable Ca, Mg and K concentration and CEC was the greatest in Quercus mongolica-Acer mandshuricum community and Quercus mongolica-Carpinus cordata community among communities. Quercus mongolica - Abies nephyolepis community had the smallest soil organic matter, total N, and CEC among communities. There were large differences among Quercus mongolica communities by soil properties and the result may be due to different habitat positions in the landscape among communities.

  • PDF

A Study on Soil Particle Size in Mountains of Seoul Vicinity for Forest Restoration (생태 복원을 위한 서울근교의 삼림 토양 입자 크기에 관한 연구)

  • Kim, Jae Ge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 /
    • v.5 no.6
    • /
    • pp.1-8
    • /
    • 2002
  • 서울근교에 존재하는 소나무림은 낙엽활엽수림으로 바뀌고 있다. 그러므로 서울근교의 산림에 대한 조사는 자연 식생형 산림 특히 소나무 복원에 그 시사점을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근교에 존재하는 8개 산의 15개 지소를 선정하여 그곳에 존재하는 식생형을 파악하고, 토양의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여 산림 복원 시 고려할 토양 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8개 산에서 선정된 15개 조사지소는 소나무군락, 소나무-낙엽활엽수군락, 낙엽활엽수군락으로 나누어 물리적 토양 특성을 조사하였다. 소나무의 평균 중요치는 소나무군락에서 137이었으며 소나무-낙엽활엽수군락에서는 8이었다. 평균 바위분포 면적-토양 깊이-경사는 소나무군락에서 26-22-31, 소나무-낙엽활엽수군락에서 7-53-32, 낙엽활엽수군락에서 14%-34cm-$28^{\circ}$로 나타났다. 소나무군락, 소나무-낙엽활엽수군락, 낙엽활엽수군락의 임상 및 토양에 존재하는 총 유기물량은 각각 2490, 1757, and $2107g/m^2$로 조사되었다. L층에서의 유기물량은 모든 군락 유형에서 비슷하였으나, F층과 H층에서는 매우 다르게 나타났다 : F층은 소나무군락에서 가장 발달하였고 H층은 낙엽활엽수군락에서 가장 발달하였다. 통계처리 결과는 바위분포 면적, 고도, 경사, 사면은 군락의 유형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여주지 않았으나, 토양의 깊이, 자갈의 함량, 세사와 미사의 함량은 군락의 유형에 따라 다름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소나무군락의 토양이 자갈과 세사의 높은 함량과 관련이 있으며, 이에 따라 H층의 발달이 미약하게 나타남을 보여 주었다. 그러므로 2-10mm의 자갈이 40% 이상되는 장소에는 분해가 덜된 유기물과 소나무를 사용할 때 복원의 성공가능성이 높으며, 자갈의 함량이 30% 이하이며 모래의 함량이 50% 이상인 장소에는 분해된 유기물의 함량을 높이고 낙엽활엽수를 이용하는 것이 복원성공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The Chemical Properties and Fertilizer Effect of a Residual By-product of Glutamic Acid Fermentation (구르타민 산발효잔사가공물(酸醱酵殘渣加工物)의 성질(性質)과 비효 -II. 토양(土壤)의 이화학적성질(理化學的性質) 개량효과)

  • Hong, Chong Woon;Jung, Yee Geun;Park, Chon Suh;Kim, Yung Sup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6 no.4
    • /
    • pp.227-230
    • /
    • 1973
  • To elucidate the effect of the organic carbon compounds included in a separate from glutamic acid fermentation residue (G. A. F. R) on the improvement of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on a soil low in organic matter content, treated with G. A. F. R and compost, observations on the total organic matter, humic acid, fulvic acid, C. E. C. and the development of aggregates were made. From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s it was concluded that, the organic carbon compound in the tested G. A. R. F. is more effective than compost in increasing the total organic matter, humic acid, fulvic acid and C. E. C. of soil and in enhancing the development of soil aggregates.

  • PDF

Weathering and Crack Development in the Rocks of Protecting-Chamber for Standing-Buddha of Mireuk-ri Temple site at Jungwon (중원 미륵리사지 입상석불 보호석실의 암석의 풍화와 균열의 발달양상)

  • Lee, Sang Hun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 /
    • v.7 no.2
    • /
    • pp.68-79
    • /
    • 1998
  • The protecting-chamber for a standing Buddha of Mireuk-ri temple site at Jungwon is composed of granite of Cretaceous age which mainly consists of quartz, perthite, plagioclase, and biotite with minor amounts of muscovite, apatite, chlorite, sericite and opaque mineral. There are abundant cracks which may be developed by strong weathering and differential loading by structural unbalances of the whole protecting-chamber. Cracks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based on genesis as those formed by exfoliation, intrinsic, and pressure. The exfoliation occurred along the onion structure of the granite. The pressure cracks are generally superimposed on the exfoliation ones, which might be developed by structural unbalance of the protecting-chamber resulted from differential loading in places. The structural unbalance may be due to change in physical properties of the rocks according to strong weathering, differential settling of basement soil by difference in loading in places of protecting-chamber, westward creep of the basement soil below the West wall and related different resistance of the basement soil against the loading, and partial depression of the West wall. For the conservation of the protecting-chamber, it must be considered the method of stabilizing the basement and treatment of the cracks.

  • PDF

상이한 삼림생태계에서의 토층분화 특성과 변화에 따른 수분 이동 특성

  • 정덕영;오종민;진연호;손요한;주영특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1998.06a
    • /
    • pp.69-73
    • /
    • 1998
  • 경기도 퇴촌에 위치한 경희대학교 연습림내의 경사도와 수종을 달리하는 3개의 서로 다른 임반에서 등고선을 따라 지표면의 토층분화를 조사하였고 이에 따른 수분침투특성을 조사하였다. 3개의 임반은 낙엽송, 잣나무 및 굴참나무의 천연활엽수로 구성되었고 이에 구성 수종에 따라 지표면에 퇴적되는 O, A, B층의 깊이를 달리한다. 토층분화 길이는 3개 임반 모두 경사도가 낮은 하부사면에서 양호하게 발달하였으며 경사도가 높은 산사면이나 수간우가 많은 일부 지역에서는 유거수에 의해 유기물이나 표층토가 유실되어 바로 암반층 또는 풍화층이 나타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잣나무 임반의 경우 밀식 수간에 의해 유기물퇴적층과 A층의 발달이 다른 낙엽송이나 굴참나무 임반보다 토층 발달 깊이가 약 2배 이상으로 깊게 발달되었다. 그리고 조사된 임반의 하부사면의 경우 A층의 발달이 약 35cm부터 약 60cm에 이르고 있으나 토성을 구성하는 요소 중 직경 2mm 이상의 자갈에 토양입자들이 전체 토양의 40%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토층분화 특성을 달리하는 임반에서의 수분 이동특성은 퇴적된 유기물의 두께가 깊으면 깊을수록 수분침투율은 낮아지는 반면 포면 유거수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지표면, 유기물 퇴적층 아래, 지표면으로부터 30cm 아래에 설치된 Lysimeter를 이용하여 조사된 침출수의 분포는 전체를 100으로 환산시 지표면은 약 55%, 유기물퇴적층 아래는 30%, 그라고 30cm의 위치에서는 나머지 15%정도의 침출수가 포집되었다. 따라서 본 실험의 결과를 살펴보았을 때 지표 층에 존재하는 유기물이 전체 수분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양 실험 결과, 서식지에서 조사된 결과인 잎과 줄기에서 Pb$\alpha$ 추정시에는 SeaWiFS 위성과 관련된 global algorithms 중에서 490nm와 555nm의 복합밴드를 포함하는 OC2 알고리즘(ocean color chlorophyll 2 algorithm)을 사용하는 것이 OC2 series 및 OC4 알고리즘보다 좋은 추정 값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환경에서는 5일에서 7월에 주로 이 충체의 유충이 발육되고 전파되는 것으로 추측되었다.러 가지 방법들을 적극 적용하여 금후 검토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잡은 전혀 삭과가 형성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종간 교잡종을 자방친으로 하고 그 자방친의 화분친을 사용할 때만 교잡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여교잡을 통한 종간잡종 품종육성 활용방안을 금후 적극 확대 검토해야 할 것이다하였다.함을 보이고 있다.X> , ZnCl$_{3}$$^{-}$같은

  • PDF

Comparison of Soil Profile Development Index of the Residuum Soils Derived from Conglomerate (역암지대(礫岩地帶) 잔적토양(殘積土壤)의 토양단면발달지수(土壤斷面發達指數) 비교(比較))

  • Kim, Jung-Kon;Jung, Yeun-Tae;Son, Il-Soo;Yoon, El-Soo;Um, Ki-Tae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19 no.2
    • /
    • pp.99-105
    • /
    • 198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soil profile development indices of Sinjeong series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areas in Yeongnam district.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soils studied were belong to fine loamy family of hilly residual soils derived from conglomerate. These soils were well drained and dominantly had 30-60% slopes, and used for forest. 2. The surfaces were typified by brownish red (5YR) or brownish yellow (10YR) loam, subsoils were clay loam of reddish brown (5YR) or reddish yellow (7.5YR) and the substrata were in dark reddish brown (5YR) or pink (7.5YR) sandy loam. 3. The indices of horizon development of the soils studied were from 0.18 to 0.38 and the index in illuvial horizons with clay films were over 0.36, that were higher than the others. The profile development indices were similar to each other ranging from 30.18 to 35.93. 4. Posi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among horizon development indices and normalized values of structure, texture and consistences,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ile development indices and consistences were not the same. 5. The amount of clay minerals formed in the soil horizons per 100g of parent materials were 1.1-1.6g and the rates of the clay leached were around 4.4-5.9%. 6. The sphericity and roundness of the gravels contained in the soils studied were 0.741 and 0.715, respectively. These similarity of "well rounded" gravels certify that the parent rocks were formed under similar environm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