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토복령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4초

간손상에 대한 해독제 개발 및 안전성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 유은영;김상건;정기화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327-327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간손상에 대한 해독제의 연구 및 안전성 평가연구로서 H$_2$-rcccptor길항제와 한방에서 건위역으로 이용되는 생약추출물 (생강, 정향 및 후박나무의 수피추출물, 강활, 시호, 토복령 및 금은화)이 화합물로 유발된 간독성에 미치는 효과를 고찰하였다. 또한 식물의 2차 대사산물로서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 향신료 등의 첨가제로 이용되는 monotcrpcnoids중 $\alpha$-pinene, limonenc, gcraniol 및 cincol 이 phase II 효소계중 glutathione S-transferase(GST)의 class alpha 및 mu family계 효소와 microsomal cpoxidc hydrolase(mEH)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 PDF

토복령(Smilax china)의 Steroid Saponin이 돌연변이원성에 미치는 영향 (Mutagenic Effect of Steroidal Saponins from Smilax china Rhizomes)

  • 김성환;손건호;정규찬
    • 약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285-289
    • /
    • 1989
  • Pontential mutagenic and antimutagenic activities of four steroidal saponins from Smilax china rhizomes were investigated. These saponins did not revealed mutagneicity in the Ames and SOS umu test. For antimutagenic activity by SOS umu test, two spirostanol glycosides, dioscin and gracillin, inhibited the activity of ${\beta}-galactosidase$ induced by AF-2, but their proto-type furostanol glycosides did not show this activity.

  • PDF

토복령의 생약학적 연구 (Pharmacognostical Study on the To Bog Ryung)

  • 박종희;김정묘;도원임
    • 생약학회지
    • /
    • 제33권3호통권130호
    • /
    • pp.169-172
    • /
    • 2002
  • Chinese crude drug 'To Bog Ryung' has been to cure chronic aperient, syphilis cough and diabetes. The botanical origin of the crude drug has never been studied pharmacognostically. To clarify the botanical origin of To Bog Ryung, the morphological and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the rhizomes of Smilax species growing in Korea, i.e. S. china, S. riparia var. ussuriensis, S. nipponica, S. sieboldii were compared. As a result, it was determined that To Bog Ryung was the rhizome of Smilax china and Smilax sieboldii.

토복령(土茯令, Smilacis Chinae Radix)으로부터 Dioscin의 분리 및 함량분석 (Isolation and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Dioscin from Smilacis Chinae Radix)

  • 서정학;이주미;권순진;장승엽;이경순;손건호
    • 생약학회지
    • /
    • 제32권2호통권125호
    • /
    • pp.153-156
    • /
    • 2001
  • The methods for isolation and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dioscin, a spirostanol triglycoside, from the roots of Smilax china have been developed. Isolation of dioscin was achieved by silica gel and RP-18 chromatography. The HPLC method used for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dioscin enabled the standardization of the crude drug. It suggests that the content of dioscin in Smilax china should be above 0.01%.

  • PDF

생약재의 항충치 및 항산화효과 탐색 (Anticariogenic and Antioxidant Activities from Medicinal Herbs)

  • 박윤미;김선재;조광호;양은정;정순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84-293
    • /
    • 2006
  • 생약재를 이용하여 천연 자원에서 항충치와 항산화 물질을 탐색하고 부가가치를 높이고자 하였다. 41종의 생약재 20 g을 ethanol 300 mL에 추출하고 농축하여 전량을 20 mL로 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생약재의 phenolic compound의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phenolic compound의 함량은 tannic acid로 환산하여 나타냈다. 가장 많은 phenolic compound 함량은 측백으로 $115.24{\mu}g/mL$이었으며, 목과, 토복령, 목단, 소엽 , 팔각향이 각각 $97.49{\mu}g/mL,\;97{\mu}g/mL,\;96.27{\mu}g/mL,\;96.56{\mu}g/mL,\;94.40{\mu}g/mL$이었다. Streptococcus mutans와 타액을 배양한 균주 5종에 대하여 생약재 ethanol 추출물로 항균성효과 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 Streptococcus mutans에서는 팔각향과 공사인이 98%로 높았으며, S-1과 S-2에서는 팔각향이 98%, 계피가 94%로 높은 항균효과가 있었다. S-3는 목과 95, S-4는 희첨 97%이었고, S-5에서는 연자육이 94%로 항균효과가 높았다. Streptococcus mutans와 타액을 배양한 균주 5종에서 glucosyltransferase(GTase) 효소를 분리하여 생약재에 의한 활성저해효과를 측정하였다. Streptococcus mutans의 GTase에서는 팔각향과 공사인이 94%로 활성저해효과가 가장 높았다. S-1에서 분리한 GTase에 대해서는 공사인이 95%로 효소활성 저해 효과가 가장 높았으며, S-2는 팔각향이 59%로 가장 높았다. S-4의 GTase는 목과가 96%이고, 작약과 팔각향이 95%였고, S-5의 GTase에서는 측백이 90%로 효소활성 저해효과가 높았다. 생약재들의 항산화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DPPH radical scavenging를 알아보았으며, 시료는 $100{\mu}g/mL,\;200{\mu}g/mL,\;300{\mu}g/mL$를 첨가하여 측정하였다. 시료 $100{\mu}g/mL$에서 측백이 81.08%로 항산화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토복령, 계피가 각각 80.45%, 76.63%로 항산화활성이 높았다. 시료 $300{\mu}g/mL$에서는 연자육이 82.79%로 가장 높았으며, 감초, 계피, 공사인, 목과, 목단, 소엽, 애엽, 인진, 정향, 지각, 창이자, 천초, 측백, 토복령, 헛개나무, 홍화자 등 또한 항산화활성이 높았다. 생약재 ethanol추출물 중 항충치, 항산화효과가 높은 생약재들은 대부분 많은 phonolic compound함량을 나타내고 있어 phenolic compound는 항충치 및 항산화효과에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발효 청미래덩굴잎 추출물의 혼합에 의한 토복령의 항산화활성 증진효과 (Enhanced Anti-oxidant Activity Effects of Smilax china L. Rhizome Water Extracts Added with Its Fermented Leaf Water Extracts)

  • 이상일;이예경;김순동;심순미;양승환;성금화;서주원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7권2호
    • /
    • pp.145-152
    • /
    • 2014
  • Aspergillus oryzae로 발효시킨 청미래덩굴(Smilax china L) 잎열수추출물(FSCL)의 첨가가 토복령 열수추출물(SCLR)의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각 2% 열수추출물을 0:100 (A), 20:80 (B), 40:60 (C), 60:40 (D), 80:20 (E), 100:0 (F) (v/v)의 조건으로 혼합하였을 때 total polypheno l(TP) 및 total flavonoid (TF) 함량, $OD_{475}$, 전자공여능(EDA), 철환원력(FRAP), xanthine oxidase (XO) 및 aldehyde oxidase (AO)에 대한 저해활성과 관능적 품질을 조사하였다. A와 F의 TP 함량은 각각 3.78 및 9.37 mg/100 mL, TF 함량은 각각 0.24 및 1.84 mg/100 mL로 FSCL이 SCLR에 비하여 TP는 2.48배, TF는 7.67배가 높았으며 FSCL의 첨가비율이 높아질수록 비례적으로 높았다($R^2=0.9887$, $R^2=0.9592$). $OD_{475}$는 FSCL의 첨가비율이 높아질수록 거의 비례적으로 높은 흡광도를 나타내었다($R^2=0.9850$). EDA (% at mL)는 A (25.75%)에 비하여 F (54.63%)에서 2.12배가 높았으며 FSCL의 첨가비율이 높을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R^2=0.9668$). FRAP ($Fe^{2+}{\mu}mole/g$ of dry basis)의 경우도 EDA와 마찬가지로 A (1.18)에 비하여 F (4.92)에서 4.17배가 높았으며, FSCL의 첨가비율이 높아질수록 비례적으로 높았다($R^2$=0.9907). A의 XO에 대한 저해활성(mg/mL of $IC_{50}$)은 1.19로 F의 2.96에 비하여 59.80%가 높았으며, FSCL의 첨가비율이 높아질수록 비례적으로 감소하였다($R^2$=0.9490). 그러나 AO에 대한 저해활성(mg/mL of $IC_{50}$)은 XO의 경우와 반대로 A (3.37)에 비하여 F (1.41)에서 58.16%의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FSCL의 첨가비율이 높아질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향에 대한 기호도는 A와 F에서는 각각 2.77 및 2.72점으로 비슷한 값을 보였으며 발효청미래덩굴잎 열수추출물을 20-80 비율로 혼합하였을 때는 다소 향상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상호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40% 혼합(C) 하였을 때는 무첨가 경우(A 또는 F)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향상되었다. 맛에 대한 기호도는 F에 비하여 A에서 다소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C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색상에 대한 기호도는 40-80% 첨가한 경우가 A, F 및 B보다 높았다. 입맛과 종합적인 품질에 대한 기호도는 C, D에서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 A. oryzae로 발효시킨 청미래덩굴잎의 열수추출물은 보이차 스타일의 적갈색을 나타내며, 토복령 열수추출물과 혼합함으로써 음료로서의 기호성이 높아짐과 동시에 EDA 및 FRAP와 같은 항산화활성이 높아지나, ROS 생성계 효소로 알려져 있는 XO와 AO의 활성 억제현상은 상반된 결과를 나타내고 있어 이와 관련된 기능성 식품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현재 실험의 결과만으로는 어떠한 성분이 이러한 항산화활성의 변화에 관여하는지는 확인할 수 없으며 추후 계속적인 연구 검토가 필요하다.

토복령(土茯笭)의 Raw 264.7 세포에 대한 항염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milacis Glabrae Rhizoma in Raw 264.7 Cells)

  • 오성원;김병우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88-297
    • /
    • 2009
  • Objective : Inflammatory cytokines have a close relationship to 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IDDM). The inhibitory effect of Smilacis Glabrae Rhizoma (SGR) were examined on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prostaglandin $E_2$ $(PGE_2)$, synthase (iNOS), cyclooxygenase-2 (COX-2),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and NF-${\kappa}$B activation in Raw 264.7 cells. Methods: Raw 264.7 cells were pretreated with SGR(20, 50, 100 ${\mu}g$/ml), and then cultured with lipopolysaccharides (LPS). Cell viability was measured by MTT assay; inhibition of NO, $PGE_2$, and TNF-${\alpha}$ production were measured by Griess reagent and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 Induction of COX-2 and iNOS were determined by western blotting analysis. Inhibition of NF-${\kappa}$B was measured by immunofluorescence assay (IFA). Results: SGR inactivated NF-${\kappa}$B, and inhibited the production of NO, iNOS, and $PGE_2$. Inhibition of COX-2 and TNF-${\alpha}$ could not be confirmed. Conclusions: From the above result. SGR was found to have an anti-inflammatory effect of inhibition of NO, iNOS, and $PGE_2$ production via inhibition of NF-${\kappa}$B.

  • PDF

토복령에 함유되는 (+)-Catechin과 Diosgenin의 함량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Catechin and Diosgenin from Smilax china L. Rhizome)

  • 윤준;윤기훈;황윤정;이지연;신화섭;이민원
    • 생약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189-194
    • /
    • 2015
  • Validation and contents determination of (+)-catechin and diosgenin from Smilax china L. rhizome (SC) were confirmed using Ultra-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UPLC). (+)-Catechin was isolated from 60% prethanol SC extract and diosgenin was isolated by acid hydrolysis of saponin fraction from 60% prethanol extract of SC. Finally we have established the validation of the isolated compounds [(+)-catechin, diosgenin] and contents determinations of (+)-catechin and diosgenin by UPLC on 60% prethanol extract of SC [(+)-catechin: 0.06878%, diosgenin: 0.48169%], and on hot water extract of SC [(+)-catechin: 0.06584%, diosgenin: 0.42178%].

토복령(土茯苓)의 기원식물별 위암 세포 SNU-1에 대한 항암효과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Anti-cancer Effects of Smilacis Chinae Rhizoma and Smilacis Glabrae Rhizoma on Stomach Cancer SNU-1 Cells)

  • 안한규;한효상;이영종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3-31
    • /
    • 2010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nticancer effects of Smilacis Chinae Rhizoma (SCR) and Smilacis Glabrae Rhizoma (SGR) on stomach cancer SNU-1 cells. Methods : The cell proliferation, apoptosis and cytokine level from the extracts were examined in order to compare the anticancer effects of SCR and SGR on SNU-1 cells. Results : SCR had greater anticancer effects than SGR in terms of the inhibition of cell proliferation and apoptosis in the SNU-1 cells. SCR decreased TGF-$\beta$ and SGR increased IL-2 in SNU-1 cells. SCR decreased more TGF-$\beta$ and increased more TNF-$\alpha$ compared to SGR. Conclusions : There were few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and fraction, but a greater anticancer effect of SCR was shown as compared with SG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