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테크놀로지 교수학적 내용 지식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8초

대수학습에서 테크놀로지 사용의 긍적적인 요소와 잠정적인 문제점 (Promising Advantages and Potential Pitfalls of Reliance on Technology in Learning Algebra)

  • 김동중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89-104
    • /
    • 2010
  • 급변하는 테크놀로지 사회에서 대수학습에서 테크놀로지 사용은 중시하지 않을 수 없다. 대수학습에서 테크놀로지 사용은 많은 학습적 그리고 교육학적 논점을 제기한다. 본 연구에서 이전 연구들을 네 가지 중요한 논점을 중심으로 종합적으로 요약한다: 개념적 이해, 기능, 도구적 형성, 그리고 투명성. 마지막으로 대수 학습에서 테크놀로지 교수학적 내용 지식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한다.

  • PDF

예비 수학교사의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TPACK) 신장을 위한 팀 프로젝트 효과 연구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eam Project to Improve TPACK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 임해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9권4호
    • /
    • pp.545-564
    • /
    • 2009
  •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TPACK)은 1986년 Shulman이 제시한 내용교수지식(PCK)에 테크놀로지 지식이 통합된 새로운 지식 즉, 교사의 내용지식(CK), 교수학적 지식(PK), 테크놀로지 지식(TK)의 교집합에 해당하는 지식을 뜻한다. 본 연구에서는 2009년 1학기 서울시 소재 사범대학에서 팀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하는 테크놀로지 강의를 개설하고 설계, 분석하여 예비 수학교사의 TPACK 신장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강의 초 예비 수학교사들은 테크놀로지에 대해 낮은 자신감을 나타냈지만, 강의가 끝날 무렵의 테크놀로지 관련 수학교수효능감은 3.88부터 4.50사이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예비 수학교사들은 팀 프로젝트가 TPACK에 긍정적 또는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응답했는데, 이는 팀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하는 테크놀로지 강의가 예비 수학교사가 앞으로 교사가 되어 테크놀로지를 활용하는 수업을 설계할 때 필요한 지식과 자신감을 갖도록 하는 데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교사의 TPACK이 정보화 시대의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교육목표 달성을 위해 필수적인 지식이라 볼 때, 앞으로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테크놀로지 강의가 테크놀로지의 사용 방법과 단편적인 적용 사례를 전달하는 방식보다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을 계획하고 설계하는 방식으로 변화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 PDF

TPACK에서 테크놀로지의 확장, 도구, 응용 소프트웨어, 그리고 프로그래밍 (Extension of Technology in TPACK: Tools, Application Software, and Programming)

  • 최정원;이은경;이영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5년도 제52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3권2호
    • /
    • pp.137-138
    • /
    • 2015
  • 학습 효과는 교사의 질을 능가할 수 없으므로 교사가 학습자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전략이나 방법은 학습자의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 된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교사는 교육학적 지식, 교과 내용학적 지식을 수업에 적절히 통합하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특히 현대 사회는 테크놀로지가 발전하면서 수업에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학습의 효과를 높이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테크놀로지라는 영역에 포함되는 것들을 살펴보면 주로 도구나 응용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것에 한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도구나 응용소프트웨어는 이들이 제공할 수 있는 기능 내에서만 활용 가능하다는 점에서 제약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TPACK의 테크놀로지 지식을 프로그래밍으로까지 그 범위를 확장하는 가능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PDF

예비 고등 수학교사들의 Geometer's Sketchpad 를 이용한 수업 시연에 관한 다중 사례 연구 (A Multiple-Case Study of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Teaching Demonstrations with Geometer's Sketchpad)

  • 김소민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303-323
    • /
    • 2017
  • 이 연구는 예비 고등 수학 교사들이 수학 개념을 테크놀로지를 이용하여 어떻게 가르치는 지에 관한 다중 사례 연구이다. 예비 교사들은 퍼포먼스 인터뷰에서 Geometer's Sketchpad(GSP) 를 사용해 특정 수학 개념을 어떻게 가르칠 것 인지를 실제 수업처럼 시연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예비 교사들은 다양한 종류의 학습지도안을 디자인 했으며, 그들의 수업 시연에서 각기 다른 교수학적 그리고 공학적 기술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예비 교사들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이 테크놀로지 통합 수학 수업의 중요한 요인임을 제안한다. 그러므로 수학 교사 교육자들은 예비 교사들이 테크놀로지를 이용해 효과적으로 수학을 가르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그들이 강력한 교수학적 내용 지식을 얻을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 PDF

중국의 예비교사와 현직교사 간의 테크놀로지-교수내용지식 차이 분석 및 성별 상호작용 효과 (The Technology-Pedagogy, and Content Knowledge differences between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and the related effects of gender interaction in China)

  • 마만지;백종남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353-359
    • /
    • 2020
  • 이 연구는 중국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테크놀로지-교수내용지식(TPACK) 차이를 분석하고, 그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통계학적 변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계획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중국 닝샤의 예비교사 335명, 현직교사 232명 등 총 567명이며, TPACK 수준에 대해 온라인 설문지에 응답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직교사는 예비교사에 비해 TPACK 모든 영역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TK 차이에 대해 성별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이 연구는 중국의 예비교사와 현직교사 간의 TPACK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중국 교사의 TPACK 역량 향상을 위한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결과에 따라 논의하였으며,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TPACK 기반 융합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우리 몸의 구조와 기능' 단원 중 배설 기관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PACK based STEAM program - Focused on the excretory organs in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our body' unit -)

  • 고동국;홍승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0권4호
    • /
    • pp.443-45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초등과학 교육과정의 '우리 몸의 구조와 기능' 단원에서 배설 기관을 주제로 TPACK 기반의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은 교육과정 분석 및 학습 목표 세부화, 물리적·심리적 학습 환경 분석, 교수·학습 방법 및 테크놀로지 선정, 수업에 활용할 교사의 TPACK 요인 정리 및 교수·학습자료 개발, 프로그램 적용 및 효과성 검증의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STEAM 프로그램 설계 과정에서 고려한 교사의 TPACK은 내용학 지식(배설 기관의 생김새와 하는 일), 교육학 지식(STEAM, 문제 기반 학습, 조사학습, 토의학습, 협동 학습, 과학 글쓰기), 테크놀로지 지식(3D 프린터 및 스마트 기기 활용 기술)과 지식 간의 융합적인 요인이었다. 프로그램은 총 8시간으로 구성되었으며 실험 집단으로 선정된 5학년 학생 29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비교 집단의 5학년 27명에게는 교과서 중심으로 개발된 같은 주제의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실험 집단은 비교 집단에 비하여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과학적 태도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고 STEAM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도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두 집단 간의 학업성취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학생들은 스스로 조사하고 탐구하며 알게 된 지식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 친구들과의 토의 및 협동 학습 과정을 통해 창의적 문제해결력이 향상되었던 것으로 보이며 새로운 기술의 활용, 학생 중심의 활동 과정 및 실생활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과학적 태도와 만족도가 높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예비교사를 위한 온라인 피지컬 컴퓨팅 교육과정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online physical computing curriculum for pre-service teachers)

  • 김태령;한선관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4호
    • /
    • pp.621-632
    • /
    • 2021
  • 본 연구는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피지컬 컴퓨팅 교육을 온라인 환경에서 실행하기 위한 교육과정의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이다. 먼저 ADDIE 교수설계 모형에 따라 15주 과정의 소프트웨어와 피지컬 컴퓨팅 교육과정을 설계하였다. 온라인에서 사용할 수 있는 도구로 스마트폰 기반의 EPL인 포켓코드와 그에 포함된 각종 센서를 사용한 프로그램을 주제로 교육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결과 예비교사들의 교수효능감은 개인효능감, 교수학적 지식, 테크놀로지 교수내용 지식, 결과 기대, 학생에 대한 신념이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소프트웨어 태도 부분은 소프트웨어 흥미와 소프트웨어의 가치 부분이 유의미하게 증대되었고 소프트웨어 공학자에 대한 인식은 변화가 없었다. 일반적으로 피지컬 컴퓨팅의 경우 조작 활동이 많이 들어가 온라인 환경에서 실행하기 어렵다. 해당 연구와 같이 비대면 환경 또는 블렌디드 환경에서 효율적인 교육을 지속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과정이 개발되길 기대한다.

예비 초등교사의 테크놀로지 교수학적 내용지식을 향상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Designing and Implementing Integrated Lessons fo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Development)

  • 최영미;홍승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8권2호
    • /
    • pp.287-304
    • /
    • 2019
  • Teaching with technology has been widespread in practical classroom settings, and increased the needs to enhance pre-service teachers' capability with a variety of technolog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cused on designing and implementing a training program to develop pre-service teachers'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TPACK) which promotes them use technologies tactically in integrated science classes. Based on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PACK and Practitioner's Guide to TPACK, the authors developed ten periods of lessons comprised instructional skills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Subsequently, the program was applied into a teacher trainee course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TPACK training program for pre-service teachers significantly influenced on attitude toward convergence, TPACK,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of the engaged participants. The developed program, meanwhile, caused a significant TPACK improvement of female participants of the teachers college more effectively. Furthermore, it mitigated the gap between science and humanity tracks coming from their high schools. Consequently, there are possibilities to improve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strategies for integrated classes, if they have opportunities to review the comprehensibility of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intersected areas with metacognitive perspect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