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태풍 "매미"

Search Result 164,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Estimate of Recent Typhoon Maemi· Kompasu·Tembin (최근 태풍 매미·곰파스·템빈의 평가)

  • Oh, Jong Seop;Ryu, Ji Hyeob;Lim, Ik Hy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8 no.1
    • /
    • pp.29-37
    • /
    • 2015
  •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estimation of fluctuation wind velocity spectrum and turbulence characteristics in the major cities reflecting the recent meteorological with typhoon wind velocity about 2003 (Maemi) 2010 (Kompasu) 2012 (Tembi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spectral analysis for longitudinal component fluctuating velocity. In the processes of analysis, the longitudinal velocity spectrums are compared widely used spectrum models with horizontal wind velocity observations data obtained at Korea Meteorological Adminstration (KMA) and properties of the atmospheric air for typhoon fluctuating wind data are estimated to parameters with turbulency intensity, shear velocity and roughness length.

Flood Control Effects by Parallel Reservoirs System Operation (병렬저수지 연계에 의한 홍수조절효과)

  • Ryu, Jae-Uk;Choe, Hyeon-Il;Ji, Hong-G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342-345
    • /
    • 2010
  • 본 연구는 인접한 저수지 간의 연계운영을 통한 홍수조절 및 용수공급능력을 제고시키기 위한 저수용량 공유기법 개발의 일환으로 영주댐과 안동댐 및 임하댐의 병렬저수지 시스템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홍수조절에 의한 병렬저수지의 연계운영기법으로서 병렬저수지 시스템인 영주/안동/임하댐 유역에서 홍수시 영주/임하댐의 저수량을 안동댐으로 전환시켜 영주/임하댐의 홍수조절능력을 제고시키고 안동댐의 저수량을 확보시켜 용수공급능력을 제고시킬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최적화계수(유량전환비:a)는 영주댐의 경우 1999년 9월 22일 ~ 26일 호우, 태풍 루사 및 태풍 매미일 때 모두 a=1.000, 임하댐의 경우 1999년 9월 22일 ~ 26일 호우, 태풍 루사 및 태풍 매미일 때 각각의 유량전환비는 $a_{1999}$=0.135, $a_{2002}$=0.372 및 $a_{2003}$=0.420으로 산정되었다. 영주댐에서 안동댐으로 그리고 임하댐에서 안동댐으로 전환할 수 있는 유량은 실제 호우적용시 전환유량은 매우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유량전환시 댐하류 안동, 지보, 달지지점에서 홍수 조절효과가 큼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nalysis of Cause of Typhoon Chaba Using XP-SWMM (XP-SWMM모형을 이용한 태풍 차바 침수원인 분석)

  • Park, Jun Hyoung;Ji, Moon Hwan;Cho, Hong J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25-425
    • /
    • 2018
  • 최근 이상기후로 인해 우리나라의 강수량과 집중호우가 증가하고 있으며, 태풍의 빈도는 낮아졌지만 태풍의 강도가 높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2002년 태풍 '루사', 2003년 태풍 '매미', 2006년 태풍 '에위니아' 그리고 2016년 태풍 '차바' 등에 의해 울산지역에서는 집중호우로 인한 많은 인명과 재산피해가 발생하였다. 2016년 태풍 '차바' 당시 300년 빈도를 초과하는 시간당 104.2mm의 강우가 발생했으며, 울산 시가지를 비롯한 전역에 막대한 침수피해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차원 도시유출모형인 XP-SWMM모형을 이용하여 2016년 태풍 '차바' 당시에 울산 시가지 중심인 우정혁신도시를 비롯한 침수가 발생한 태화 우정시장 일대에 대한 침수원인 분석을 하였다. XP-SWMM모형을 이용하여 우수관거에 흐르는 홍수수문곡선을 산정하고 관거의 용량을 초과하여 범람한 유량은 2D 모델링을 통하여 침수분석을 하였다. 침수분석결과는 연구지역의 실제 침수심 및 CCTV자료 분석을 통한 침수심과 비교하였다.

  • PDF

Inundation Numerical Simulation in Masan Coastal Area (마산 연안의 침수 수치모형 실험)

  • Kim, Cha-Kyum;Lee, Jong-Tae;Jang, Ho-Si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3 no.11
    • /
    • pp.985-994
    • /
    • 2010
  • Typoon Maemi landed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at 21:00, September 12, 2003 with a central pressure of 950 hPa. A three dimensional (3D) inundation model was established to calculate the storm surge and flooded area due to Typoon Maemi. A field survey of storm surge traces in Masan Cit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inundation water depth. Hydromet-Rankin Vortex model was used to calculate the atmospheric pressure and the surface wind fields. The inundation area, storm surge and typoon-induced current were calculated using the 3D model. The peak of computed storm surge in Masan Port using the 3D model was 238 cm, and the observed peak was 230 cm. The simulated storm surge and the inundation area showed good agreement with field survey data. The comparison of the 3D and the two dimensional (2D) models of storm surge was carried out, and the 3D model was more accurate. The computed typoon-induced currents in the surface layer of Masan Bay went into the inner bay with 30~60 cm/s, while the currents in the bottom layer flowed out with 20~40 cm/s.

Analysis of Principal Storm Surge in the Downstream of Nakdong River (낙동강 하류역의 주요 폭풍해일고 검토)

  • Kim, Da-In;Kim, Kang-Min;Lee, Joong-Woo;Kwon, So-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34-35
    • /
    • 2018
  • 낙동강 하류역은 최근의 퇴적우세 지형변화와 더불어, 기후변화에 따른 태풍강도 강화 등으로 인한 해일고 증가가 우려된다. 따라서, 과거 태풍자료를 수집 분석한 후 연구지역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태풍을 모델 태풍으로 선정하여 낙동강 하류역에 위치한 주요지점별 폭풍해일고 변화를 파악하였다. 실험결과, 최대 폭풍해일고는 태풍 매미 내습시에 나타났으며, 하단 매립지 전면에서 1.1~1.5m, 명지주거단지 전면에서 1.2~1.3m, 녹산국가산업단지 전면에서 1.3~1.5m로 하단 매립지 전면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향후, 과거 지형변화를 고려한 폭풍해일고 검토를 통하여 최근의 급격한 지형변화로 인한 영향을 파악한 대비를 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