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태풍피해 예측모델

Search Result 62,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Sensitivity of Hydraulic Structures Design Parameter by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의한 수공구조물 설계인자 민감도 연구)

  • Kong, Jung-Sik;Kim, UlAnY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19-419
    • /
    • 2011
  • 이상호우, 사막화, 빙하융해, 생태계 먹이사슬 변화, 이상기온 등 기후변화의 행태는 지구 곳곳에서 다양하게 발발되고 있으며 그로인해 발생되는 인적 물적 피해가 심각하다. 1996년 집중호우에 의한 연천댐체 파괴, 2002년 8월의 낙동강 유역 장기홍수, 2002년 태풍 루사 및 2003년 태풍 매미 등 국내에서는 기후변화 중에서도 주로 이상호우로 인해 발생하는 피해가 많았으며 이들은 주기성이나 특성을 갖지 않아 예측이 어려운 관계로 망양보뢰 식의 후처리에 급급한 실정이었다.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지역별 홍수량, 가뭄량 등에 관한 연구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해당 기후모델 발현 시 기존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도 필수적이다. 나아가 기존 구조물 뿐 아니라 새로 시공되는 구조물의 설계에서 기후변화에 대한 안정성을 위해 추가적으로 포함해야 할 요소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 기후모델에 대해 그 모델이 예측하는 홍수량이 실제 발현되었을 경우를 가정하여, 기존 수공구조물의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영향인자의 민감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수공구조물은 붕괴 시 영향력이 큰 정도를 기준으로 필댐, 콘크리트차수벽형석괴댐(CFRD), 콘크리트중력식댐, 제방으로 그 범주를 제한 하였으며 대상유역은 한강으로 가정하였다. 구조물의 안정성 검토방법은 각 구조물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다. 흙이 주 재료인 제방과 필댐의 경우, 침투(Piping)와 비탈면(Sliding)에 대한 안정성 평가가 이루어지며 CFRD는 댐체와 벽체로 나누어 안정성평가를 하며 댐체 안정성 평가방법은 필댐과 유사하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설계기준(2009)과 댐설계기준(2005)에 따라 각 구조물의 기준안전율을 책정하였으며 점착력, 내부마찰각, 단위중량 등의 물성치는 해당 지역의 토질특성에 따라 여러 문헌을 참고하여 설정하였고 이를 SEEP/W, SLOPE/W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해석을 실시하였다. 콘크리트중력식댐은 활동, 전도, 지지력에 대해 각각 안정성을 평가하며 MIDAS와 ABAQUS 프로그램을 병행하여 해석하였다. 민감도(Sensitivity)란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설계인자들의 변화에 따라 안정성이 어떻게 변화하는 지를 말한다. 기후변화에 의한 수공구조물 설계인자 민감도 연구를 통해 기존 설계과정 또는 안정성 검토 시 해당인자의 기여도를 높이거나 새로운 설계인자를 추가하여 미래 상황에 대한 구조물의 위험 정도를 과거대비 상세히 예측할 수 있으며 나아가 적절한 대응 방안 제시에 기여하여 기후변화에 따른 피해를 감소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 PDF

Geo-Visualization of Storm-Surge Study based on Web-GIS (Web-GIS 기반 폭풍해일 시각화 기법 연구)

  • Kim, Jin-Ah;Park, K.S.;Kwon, Jae-Il;Park, Jin-Ah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8.06b
    • /
    • pp.246-249
    • /
    • 2008
  •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 및 해양온난화로 태풍의 강도가 높아지고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연안 지역의 침수범람과 같은 자연재해로 인한 인명 재산 피해가 심각해지고 있다. 이에 폭풍해일로 인한 연안 재해저감을 위한 해양 관측 및 수치 모델을 통한 정확한 폭풍해일 예측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Web-GIS 기반 실시간 폭풍해일 예측 결과의 시각화 기법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자연재해 저감을 위한 효과적 정보전달 통한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고자한다.

  • PDF

Inundating Disaster Assessment in Coastal Areas Using Urban Flood Model (도시홍수모델을 이용한 해안지역의 침수재해평가)

  • Yoo Hwan-Hee;Kim Weon-Seok;Kim Seong-Sa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4 no.3
    • /
    • pp.299-309
    • /
    • 2006
  • In recent years, a large natural disasters have occurred due to worldwide abnormal weather and the amount of damage has been increased more resulting from high density population and a large-sized buildings of the urbanized area. In this study. we estimate the flooded area according to rainfall probability intensify and sea level in Woreong dong, Masan occurred flood damages by typhoon Maemi using SWMM, a dynamic rainfall-runoff simulation model in urban area, and then analyze the damage of flood expected area through connecting with GIS database. In result, we can predict accurately expected area of inundation according to the rainfall intensity and sea level rise through dividing the study area into sub-area and estimating a flooded area and height using SWMM. We provide also the shelter information available for urban planning and flood risk estimation by landuse in expected flood area. Further research for hazard management system construction linked with web or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expects to increase its application.

A Risk Evaluation Method of Slope Failure Due to Rainfall using a Digital Terrain Model (수치지형모델을 이용한 강우시 사면 붕괴 위험도 평가에 관한 제안)

  • Chae, JongGil;Jung, MinSu;Torii, Nobuyuki;Okimura, Takashi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0 no.6C
    • /
    • pp.219-229
    • /
    • 2010
  • Slope failure in South Korea generally occurs by the localized heavy rain in a rainy season and typhoon, and it annually causes huge losses of both life and property because nearly 70% of territory in South Korea is covered with mountains. It is required to measure the risk of slope failure quantitatively before proper prevention methods are provided. However, there is no way to estimate the risk based on realtime rainfall, geological characteristics, and geotechnical engineering properties. This study presents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rrion model to predict slope stability using infinite slope stability theory combined with temporal groundwater change. Case studie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factors to affect slope stability in Japan.

제내지 홍수재해 대피 계획 수립을 위한 도시홍수범람모형(SIMOD) 개발

  • Lee, Suk Ho;Kim, Jin Hyuck;Kang, Dong Ho;Kim, By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81-81
    • /
    • 2017
  • 최근 발생하는 태풍 또는 국지성호우는 단기간에 많은 양의 강우를 동반하고 있으며, 이로인한 내수침수 및 외수범람 피해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홍수피해를 저감하기 위한 하나의 대책으로 내수 또는 외수로 인한 피해를 미리 예측하고 대비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피해를 미리 예측하기 위한 기존의 모델들은 지표유출, 지하유출, 침투, 증발산 등 다양한 강우-유출 알고리즘에 의해 홍수범람모의를 분석하게 된다. 따라서 그 모의시간이 길게 나타나 재난상황을 대처하는 데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홍수로 인한 제내지의 침수 확산 경로 빠른 시간 안에 모의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알고리즘을 단순화시킨 홍수범람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분포형 홍수범람 모형인 SIMOD(Simplified Inundation MODel)는 홍수가 발생된 시점에서 그리드화된 주변셀로의 홍수전의를 위하여 주변셀과의 경사를 이용하여 차등 분배하는 다중흐름방향법(Multi Direction Method, MDM)과, 하나의 낮은 고도의 셀에서 수위가 높아져 인접셀보다 수위가 증가하면 그 수위는 인접 셀들과 균등해 진다는 가정인 평수가정법(Flat-Water Assumption, FWA)인 두 가지 알고리즘을 이용한다. 개발된 모형의 적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용 모형인 FLO-2D를 이용하여 각 모의시간별 침수면적과 모형의 구동시간을 비교하였다. 비교결과 초기 1시간을 제외하고 홍수피해 면적이 10% 전후로 나타나 SIMOD의 적용성이 확인되었다. 모의 구동시간의 경우 32시간 모의시 SIMOD는 10분 안에 결과가 나오는 반면 FLO-2D는 1시간 이상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피계획을 수립하기 위하여 제방붕괴시나리오를 이용한 제내지 침수모의를 실시하였다. 대상지역은 금호강하류 성서산업단지 유역으로 계획홍수위는 200년 빈도 홍수위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폭 35m, 높이 7m의 제방파제로 인한 외수위 유입을 가정하여 제내지의 시간별 침수면적 모의하였다. 모의된 결과를 이용하여 시간대별 대피경로를 산정함으로써 홍수로 인한 대피 계획 수립에 적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PDF

Prediction of potential Landslide Sites Using GIS (지리정보시스템에 기반한 산지재해 예측)

  • Cha, Kyung Seob;Kim, Tae Hoon;Kim, Young J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ocietal Security
    • /
    • v.1 no.4
    • /
    • pp.57-64
    • /
    • 2008
  • Korea has been suffered from serious damages of lives and properties, due to landslides that are triggered by heavy rains in every monsoon season. This study developed the physically based landslide prediction model which consists of 3 parts, such as slope stability analysis model, groundwater flow model and soil depth model. To evaluate its applicability to the prediction of landslides, the data of actual landslides were plotted on the areas predicted on the GIS map. The matching rate of this model to the actual data was 84.8%. The relation between hydrological and landform factors and potential landslide were analyzed.

  • PDF

NAVER Data Lab data-based Assessment of National Awareness Vulnerability of Past Floods over the Korean Peninsula (2011-2018) (NAVER DATA LAB 데이터 기반 과거 한반도 홍수에 대한 대중 인지도 취약성 평가 (2011-2018))

  • Eun Mi Lee;Young Uk Yu;Young hun Jeong;Jong Hun K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59-59
    • /
    • 2023
  • 기후변화로 인한 집중호우와 홍수는 하천의 범람, 내수침수 등을 일으킨다. 최근 발생한 2022년9월 태풍 '힌남노'는 포항시 10명의 인명 피해와 1조 7000억원의 재산 피해로 막대한 피해를 야기시켰다. 본 연구는 2011년부터 2018년까지 시군구 단위의 행정구역별 홍수 기간 강우량, 피해액, 홍수 지역의 인구 자료를 NAVER DATA LAB(2016년부터 자료 제공) '홍수' 검색량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량의 강우량 또는 높은 피해액이 발생한 시기에 홍수 검색량이 낮았던 지역을 홍수에 대한 대중 인지도가 취약한 지역으로 정의하였다. '홍수' 검색량과 강우량, 피해액, 홍수 지역 인구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강우량과 인구는 각각 0.86, 0.81의 높은 상관계수를 보인 반면, 피해액은 0.52로 상대적으로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2016-2018년 특/광역시단위 분석 결과, 총 17번의 홍수 발생 중 '인천광역시'와 '세종특별시'에서 피해액 규모가 각각 2, 3순위로 높았던 반면 홍수 인지도는 각각 6, 11순위로 홍수 인지도가 취약한 지역으로 평가되었다. 도 단위 평가 시, 총 34번의 홍수 발생 중 '강원도'와 '경상북도'에서 피해액 규모 3순위, 강우량 10순위 일 때, 홍수 인지도는 27순위로 홍수 인지도가 취약한 지역으로 평가되었다. 다중 선형회귀 기법을 통해 2016년부터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모델을 훈련하여 2016년 이전의 '홍수' 검색량 예측 자료를 재생산하였다. 2011-2015년 특/광역시 중심의 평가에서, 총 25번의 홍수 발생 중 부산광역시에서 피해액 규모가 1순위, 강우량이 2순위로 높았던 반면 홍수 인지도는 6순위로 홍수인지도가 취약한 지역으로 평가되었다. 도 단위 평가 시, 총 50번의 홍수 발생 중 '충청남도'와 '경기도'에서 피해액 규모가 3순위일 때 홍수 인지도가 7순위로 홍수 인지도가 취약한 지역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는 물리·사회시스템의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사회수문학적 접근 방식으로 홍수에 대한 사회적 취약성을 새롭게 제시하며 사회과학과 수자원 분야의 융합연구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 PDF

Umyeon Mountain Debris Flow Movement Analysis Using Random Walk Model (Random Walk Model을 활용한 우면산 토석류 거동 분석)

  • Kim, Gihong;Won, Sangyeon;Mo, Sehw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2 no.5
    • /
    • pp.515-525
    • /
    • 2014
  • Recently, because of increasing in downpour and typhoon, which are caused by climate changes, those sedimentation disasters, such as landslide and debris flow, have become frequent. Those sedimentation disasters take place in natural slope. In order to predict debris flow damage range within wide area, the response model is more appropriate than numerical analysis. However, to make a prediction using Random Walk Model, the regional parameters is needed to be decided, since the regional environments conditions are not always same. This random Walk Model is a probability model with easy calculation method, and simplified slope facto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alculate the optimal parameters of Random Walk Model for Umyeon mountain in Seoul, where the large debris flow has occurred in 2011. Debris flow initiation zones and sedimentation zones were extracted through field survey, aerial photograph and visual reading of debris flow before and after its occurrence via LiDAR DEM.

A Modified Logistic Regression Model for Probabilistic Prediction of Debris Flow at the Granitic Rock Area and Its Application; Landslide Prediction Map of Gangreung Area (화강암질암지역 토석류 산사태 예측을 위한 로지스틱 회귀모델의 수정 및 적용 - 강릉지역을 대상으로)

  • Cho, Yong-Chan;Chae, Byung-Gon;Kim, Won-Young;Chang, Tae-Woo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0 no.1 s.182
    • /
    • pp.115-128
    • /
    • 2007
  • This study proposed a modified logistic regression model for a probabilistic prediction of debris flow on natural terrain at the granitic rock area. The modified model dose not contain any categorical factors that were used in the previous model and secured higher reliability of prediction than that of the previous one. The modified model is composed of lithology, two factors of geomorphology, and three factors of soil property. Verification result shows that the prediction reliability is more than 86%. Using the modified regression model, the landslide prediction maps were established. In case of Sacheon area, the prediction map showed that the landslide occurrence was not well corresponded with the model since, even though the forest-fred area was distributed on the center of the model, no factors were considered for the landslide predictions. On the other hand, the prediction model was well corresponded with landslide occurrence at Jumunjin-Yeongok area. The prediction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has very high availability to employ in other granitic areas.

Design of Summer Very Short-term Precipitation Forecasting Pattern in Metropolitan Area Using Optimized RBFNNs (최적화된 다항식 방사형 기저함수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수도권 여름철 초단기 강수예측 패턴 설계)

  • Kim, Hyun-Ki;Choi, Woo-Yong;Oh, Sung-Kw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23 no.6
    • /
    • pp.533-538
    • /
    • 2013
  • The damage caused by Recent frequently occurring locality torrential rains is increasing rapidly. In case of densely populated metropolitan area, casualties and property damage is a serious due to landslides and debris flows and floods. Therefore, the importance of predictions about the torrential is increasing. Precipitation characteristic of the bad weather in Korea is divided into typhoons and torrential rains. This seems to vary depending on the duration and area. Rainfall is difficult to predict because regional precipitation is large volatility and nonlinear. In this paper, Very short-term precipitation forecasting pattern model is implemented using KLAPS data used by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we designed very short term precipitation forecasting pattern model using GA-based RBFNNs. the structural and parametric values such as the number of Inputs, polynomial type,number of fcm cluster, and fuzzification coefficient are optimized by GA optimization algorith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