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태양열 흡수기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23초

열손실을 고려한 PTC(Parabolic Trough Concentrator) 흡수기 최적 직경 결정에 관한 연구 (Determination of the Optimal PTC Receiver Diameter Considering Heat Losses)

  • 강용혁;곽희열;윤환기;유창균;이동규;서태범
    • 태양에너지
    • /
    • 제20권1호
    • /
    • pp.73-80
    • /
    • 2000
  • Considering the optical performance of the reflector and analyzing heat losses from the receiver, the optimal diameter of the absorber for a PTC(Parabolic Trough Concentrator) system was numerically determ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 IST (Industrial Solar Technology)-PTC test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model. Good agreement was obtained with the deviation range from 0.4 to 7.7%. Generally, the net energy gained by the receiver shows the maximum at the particular absorber diameter and the specific gap size between the absorber and the glass envelop because the heat losses from the receiver becomes the minimu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nductive and convective heat losses became the minimum when the gap size was 7 to 10mm. Finally, it was known that the optimal absorber diameter was 62mm at $100^{\circ}C$, 57mm at $150^{\circ}C$, and 53mm at $200^{\circ}C$ of the absorber surface temperature, respectively.

  • PDF

진공관형 태양열 집열기의 내부형상 변화에 따른 성능 비교 (Thermal performance comparisons of the glass evacuated tube solar collectors of different absorber tubes)

  • 김용;서태범;윤성은;김영민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5년도 제17회 워크샵 및 추계학술대회
    • /
    • pp.595-598
    • /
    • 2005
  • The thermal performance of glass evacuated tube solar collectors are numerically and experimentally investigated. Four different shapes of solar collectors are considered and the performances of these solar collectors are compared. Dealing with a single collector tube, the effects of not only the shapes of the absorber tube but also the incidence angle of solar irradiation (beam radiation) on thermal performance of the collector are studied. However the solar irradiation consists of the beam radiation as well as the diffuse radiation. Also, the interference of solar irradiation and heat transfer interaction between the tubes exist in an actual solar collector. These effects are considered in this study experimentally and numerically the accuracy of the numerical model is verified by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result shows that the thermal performance of the absorber used a plate fin and U-tube is the best.

  • PDF

종횡비에 따른 태양열 집광흡수기의 열전달특성 (Heat Transfer Charaeteristic of Solar Concentration Absorber by the Aspect Ratio)

  • 이용훈;이중섭;배강열;정효민;정한식
    • 동력기계공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3-49
    • /
    • 2002
  • This paper showed the study on the heat transfer into space by the aspect ratio of solar concentration absorber,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the optimum aspect ratio and tilt angle. The boundary conditions of a numerical model are assumed as follows : (1) The heat source is located at the center of absorber. (2) The bottom wall is opened and adiabatic. (3) The top, right and left walls are cooled wall. The parameters for the study are the tilt angles and the aspect ratio. The velocity vectors and isotherms were dense at wall side and the heat source. The mean Nusselt number had a maximum value at Ar=1:1 and ${\theta}=0^{\circ}$ and showed a low value as the tilt angles were increased.

  • PDF

여름철 냉방/제습시스템 중 태양열 온수기를 적용할 수 있는 액체흡수제의 재생성능에 관한 연구(실험계획법에 의한 요인효과 분석에 관하여) (Study on the Regenerating Performance of Liquid Desiccant in the Cooling/Dehumidification System able to use a Solar Water Heater in Summer(On the Analysis of Source Effect by the Design of Experiments))

  • 최광환;김보철;김영진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1-8
    • /
    • 2002
  • With the possibility of hot water being able to be used as a heating source in a liquid desiccant system, an experimental apparatus for regeneration of the liquid desiccant was set up and series of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a climate-controlled chamb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certain the influences of experimental factors on regenerating performance and to suggest the optimal combination of factors affecting regeneration rate. Furthermore. in order to figure out the contribution ratio of the factors on regenerating performance, a multi-way factorial design among the design of experiments was adopted. According to experimental result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regenerating performance was temperature of the liquid desiccant and its contribution ratio was about 79.4%. In addition. the optimal operating combination was as follows; $60^{\circ}C$ of solution temperature, $14\ell$/min of solution flow rate, and 190m3/h of air volume.

CPFD를 이용한 태양열 유동층 흡열기의 수력학적 특성 해석 (Analysis of Hydrodynamics in a Directly-Irradiated Fluidized Bed Solar Receiver Using CPFD Simulation)

  • 김수영;원근혜;이민지;김성원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0권4호
    • /
    • pp.535-543
    • /
    • 2022
  • 실리콘 카바이드 입자(평균 입도 123 ㎛)의 유동층 태양열 흡열기의 성능 및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입자 거동 해석을 위해 MP-PIC 모델을 이용하여 전산모사를 수행하였고, 기존 실험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검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실험적으로 접근하기 어려운 유동층 표면 부근에서의 거동을 모사함으로써 흡열 성능과 입자 거동과의 상호 영향을 분석하였다. CPFD 모사결과는 입자층 및 프리보드에서의 평균 고체체류량과 압력요동 등 수력학적 특성 실험결과를 잘 예측하였다. 입자 흡열기에서 1차적으로 태양열 에너지를 흡수하여 층 내부로 전달하는 층 표면 부근에서의 국부 고체체류량은 입자층 내 기포거동에 따라 중심부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는 불균일 분포를 나타내었다. 프리보드 영역에서 국부 고체체류량은 기체속도가 증가할수록 축방향과 각 높이에서의 횡방향에서 불균일성이 증가하였고, 이는 입자 흡열기의 프리보드 영역 내 비산된 입자에 의해 반사된 태양광 에너지 손실과 연관된 압력강하 상대표준편차 증가의 원인임을 나타내었다. 입자 흡열기 내 기체속도 증가에 따른 국부적인 기체 및 입자 속도의 변화에 대한 고찰을 통해, 유동층 내 국부적인 입자거동 특성은 Geldart B 입자 물성과 관련된 입자층 내 기포 거동과 밀접하게 연관됨을 확인하였다. 유동층 입자 흡열기의 성능 척도인 일사량 당 유동기체의 출입구 온도차(∆T/IDNI)는 입자 층 표면 및 표면 상부 프리보드 영역 내 압력요동 RSD와 상관관계가 매우 높음을 확인하였고, 이 결과는 흡열기 성능 개선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중국 1 MWe급 태양열발전시스템에 대한 기초 운전해석 (Preliminary Simulation Study on 1 MWe STP System in China)

  • ;;강용혁;김종규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98-701
    • /
    • 2007
  • DAHAN, the first 1 MWe Solar Power Tower system locates north to Beijing where nearby The Great Wall is now under construction with cooperation between China and Korea. Results in predicting the preliminary performance of this central receiver system are presented in this paper. Operating cycles under some typical weather condition days are simulated and commented.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assess the impact of alternative plant designs or operating strategies on annual energy production, with the final objective being to optimize the design of central receiver power plants. Two subsystems are considered in the system simulation: the solar field and the power block. Mathematic models are used to represent physical phenomena and relationships so that the characteristics of physical processes involving these phenomena can be predicted. Decisions regarding the best position for locating heliostats relative to the receiver and how high to place the receiver above the field constitute a multifaceted problem. Four different kinds of field layout are designed and analyzed by the use of ray tracing and mathematical simulation techniques to determine the overall optical performance ${\eta}_{field}$ and the spillage ${\eta}_{spill}$.The power block including a Rankine cycle is analyzed by conventional energy balance methods.

  • PDF

고체 수소를 이용한 군용 연료전지 차량

  • 이부윤
    • 기계저널
    • /
    • 제44권1호
    • /
    • pp.27-27
    • /
    • 2004
  • 미국 국방부 소속 육군차량사업부(National A Automotive Center)는 대체에너지를 이용한 군용 차량 개발을 위해 Michigan 주 Rochester Hills에 위치한 E Energy Conversion Devices(ECD) 사와 일부 기술 개발 에 대한 기술 제휴를 한다고 발표했다. 국방부는 태양전 지와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는 대체에너지 차량을 개발하 기 위해 ECD에 1단계 연구에 필요한 연구비를 지원했다. 이번 연구에는 연료전지를사용한차량개발을위해 5 500,$\omega$0달러가 투자되는데, Texaco Ovollic Hydrogen S Systems(TOHC)의 고체 휴대용 수소 연료와 채충천 (refueling) 시스탬이 주요 개발 목표로 설정됐다. ECD의 역할은 최근 개발된 Toyota Prius에 시범 적으로 장착된 저압 고체형 수소 저장 시스템의 기술을 군용 차량에 알맞게 전환시키는 것이다. TOHC와 ECD가 개발한 고체형 수소 보관 시스댐은 고압을 요구하는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저 장 시스템이 갖고 있는 많은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연료전지를 이용한 엔진 개발 중 최신 기술이다. 특히 전투 상황에서 차량이 폭발하기 쉬운 수소 저장 탱크를 장착한 채 전 장으로간다는 것은적에게 노출 될 경우자살과마찬가지인 치명적인 피해를 입을수 있다. 이 프로젝트의 개요를 살펴보면, 수소 저장 시스템은 적어도 약 lOkg의 수소를 적은 용적 내에 낮은 압력에서 안전하게 고체 상태로 저장할 수 있다. 이 고체 저장 용기는 하루에 두 번 1.7kg의 수소를 10분 이내에 재급유할 수 있다. 수소는대부분고압가스형태나저온액체 형태로보관된다. 기체나액체 형태의 수소는 연료전 지에 사용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점이 많다. Ovonie 수소 저장 방법은 수소를 저압 고체 형태 ( (metal hydride)로 보관하는 방법으로, 고압 기체나 저온 액체가 갖고 있는 많은 문제점들을 해결 할수있다. 그림을 참조하면 고체 형태의 수소 보관 방법이 다른 보관 방법에 비교해 단위 체적당 최고 6배 많은수소질량을보관할수 있다. 이 고체 형태의 보관방법은수소가적절한합금과평형 압력 이 상의 환경에 놓일 경우 합금에 홉착되는 현상을 이용하고 있다. 수소를 흡수한 합금은 새로운 특성 을 가진 metal hydride로 변하게 된다. 이 과정 에서 열이 부산물로 발생한다. 반대로 수소를 metal hydride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합금을 가열해야 한다.

  • PDF

東海熱收支 의 時.空間的인 分布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s of heat fluxes in the East Sea(Sea of Japan))

  • 박원선;오임상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91-115
    • /
    • 1995
  • 동해에서의 해양-대기 열교환량을 1961년부터 1990년까지의 선상관측자료와 1976 년부터 1985년까지의 일본기상처 부표자료를 이용하여 구하였다. 그리고 이 결과와 해 양상층부 200m 내의 열용량의 계절변화로부터 해양내부의 열유동량을 계산하였다. 겨 울에는 유입되는 단과복사량과 방출되는 장파오복사량의 크기가 비슷해 복사에 의한 열방출량은 적지만 열속과 자멸속이 강하여 전 해역에서 대기로 많은 열량을 방출한 다. 유효열방출량의 공간적인 변화폭은 100 Wm/SUP -2/이상이며, 최대의 열방출량은 쓰가루해협 부근에서 일어나고 대한해협과 울릉분지역등 남부역이 높은 방출량이 나타 난다. 특히 남서 해역의 강한 열방출이 겨울에 동해 중층균실수의 형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여름에는 강한 태양복사와 낮은 난류속의 영향으로 전해역에서 120~ 140 Wm/SUP -2/의 비슷한 크기로 해양이 가열된다. 해양내부의 열유동은 일본연안에서 양의 값을 나타내 여름의 강한 대마난류에 의한 열량의 유입을 보이며, 그 크기는 해 면을 통해 흡수한 열량보다 커서 여름에는 대마난류에 의한 열유입이 중요함을 보여준 다. 한국연안에서는 음의 값으로 수온이 낮은 북한 한류계수의 남하를 나타낸다. 봄과 가을은 3월과 100월에 각각 최소, 최대를 나타낸다. 유효열교환량의 연변화폭은 남서 해역의 경우 약 580 Wm/SUP -2/이다. 해표면을 통한 연평균 유효열교환량은 모든 해역 에서 음의 값으로 대기중으로 열량을 방출하며, 그 크기는 쓰가루해협부근에서 -130 Wm/SUP -2/로 강하고 대한해협과 울릉분지역에서도 이웃하는 해역보다 많은 열량을 방 출한다. 위도 35$^{\circ}$~39$^{\circ}$N 사이에서의 공간적인 연평균값의 크기는 단파복사량, 자멸 속, 장파복사, 열속의 크기로 각각 129, -90, -58, -32Wm/SUP -2/으로 유효열교환량은 -51W/SUP -2이다.

  • PDF

SAR 영상과 GPS 추적기를 이용한 여름철 해빙 이동 궤적 추적 (Sea Ice Drift Tracking from SAR Images and GPS Tracker)

  • 박정원;김현철;서민지;박지은;박진구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57-268
    • /
    • 2023
  • 해빙은 지구의 태양에너지 흡수량 및 대기-해양간 열과 물질 교환을 조절함으로써 기후조절자의 역할을 하며 그 생성, 이동, 소멸은 인공위성에 의해 주기적으로 모니터링 되고 있다. 그러나 수동마이크로파방사계 관측을 중심으로 한 저해상 산출물은 해빙 표면이 빠르게 변하는 여름철에 정확도가 크게 떨어지며,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관측이 대체재로 떠오르고 있으나 그간의 연구는 주로 겨울철 해빙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이 연구에서는 SAR 영상과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추적기를 이용하여 해빙의 거칠기, 높낮이, 구조 등 표면 상태 변화가 심한 늦여름~초가을 시기의 해빙 이동 추적 기술을 평가, 분석하였다. 그 결과 겨울철보다는 관측 불확실성이 증가하나 GPS 실측치와의 상관관계는 0.98로 우수했으며, 해빙 농도 50% 이상인 경우에 해빙 농도와 적용 알고리즘의 산출 성능은 상관관계 0.59로 서로 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