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태양광 발전 효율

Search Result 522, Processing Time 0.03 seconds

비납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 Lee, Seon-Ju
    • Bulletin of the Korea Photovoltaic Society
    • /
    • v.3 no.1
    • /
    • pp.6-16
    • /
    • 2017
  •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광흡수층으로 사용하는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의 우수한 전기적, 광학적 성질 덕분에 단기간에 전례 없는 효율 향상을 이루어 유망한 차세대 태양전지로 주목받고 있다. 그와 함께 중심 금속으로 사용되는 독성의 납을 대체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원고에서는 비납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을 이용한 태양전지 연구 동향과 향후 전망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 PDF

Differential Power Processing Converter system using High Step-up converter for Photovoltaic (고승압 컨버터를 사용한 태양광 차동 전력 조절기 구조)

  • Kim, Jae-Bong;Jeon, Young-Tae;Park, Joung-hu;Jeon, Hee-Jong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6.07a
    • /
    • pp.293-294
    • /
    • 2016
  •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그 필요성이 늘어남에 따라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기존에 태양광 발전 제어 방식인 스트링 방식이나, 마이크로 컨버터 같은 방식 이외에도 그늘짐 등으로 인해 발생한 태양광 모듈의 전력 차이만을 부담하는 컨버터를 이용한 차동 전력 조절 방식도 연구가 되고 있다. 차동 전력조절기는 담당하는 전력이 적고, 스트링 컨버터를 통해 많은 전력이 전달이 되어 기존의 방식 보다 효율이 높다. 하지만, 태양광 모듈 MPPT 전압으로 부터 DC_link 전압만큼의 승압이 필요하다. 따라서, 고승압, 고효율 컨버터를 차동 전력 조절기로 사용을 하면 기존의 차동 전력 방식보다 더 나은 동작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차동 전력 조절기로 고승압의 컨버터 토폴로지를 사용하여, 기존의 방식보다 고효율을 유지하면서 차동 전력 조절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를 제안한다.

  • PDF

TMC (Tracker Motion Controller) Using Sensors and GPS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Analysis (센서와 GPS를 이용한 TMC의 구현 및 성능 분석)

  • Ko, Jae-Ho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4 no.2
    • /
    • pp.828-834
    • /
    • 2013
  • In this paper, TMC (Tracker Motion Controller) as one of the many research methods for condensing efficiency improvements can be condensed into efficient solar system configuration to improve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of the castle with Concentrated solar silicon and photovoltaic systems (CPV)experiments using PV systems. Microprocessor used on the solar system, tracing the development of solar altitude and latitude of each is calculated in real time. Also accept the value from the sensor, motor control and communication with the central control system by calculating the value of the current position of the sun, there is a growing burden on the applicability. Through the way the program is appropriate for solar power systems and sensors hybrid-type algorithm was implemented in the ARM core with built-in TMC, Concentrated CPV system compared to the existing PV systems,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 TMC in the country's power generation efficiency compared and analyzed. Sensor method using existing experimental results Concentrated solar power systems to communicate the value of GPS location tracking method hybrid solar horizons in the coordinate system of the sun's azimuth and elevation angles calculated by the program in the calculations of astronomy through experimental resultslook clear day at high solar irradiation were shown to have a large difference. Stoppe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sun appears in the blind spot of the sensor, the sensor error that can occur from climate change, however, do not have a cloudy and clear day solar radiation sensor does not keep track of the position of the sun, rather than the sensor of excellence could be found. It is expected that research is constantly needed for the system with ongoing research for development of solar cell efficiency increases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of power generation, high efficiency condensing type according to the change of climate with the optimal development of the ability TMC.

Study on Generation Volume of Floating Solar Power Using Historical Insolation Data (과거 일사량 자료를 활용한 수상태양광 발전량 예측 연구)

  • Na, Hyeji;Kim, Kyeongseo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3 no.2
    • /
    • pp.249-258
    • /
    • 2023
  • Solar power has the largest proportion of power generation and facility capacity among renewable energy in South Korea. Floating solar power plant is a new way to resolve weakness of land solar power plant. This study analyzes the power generation of the 18.7 MW floating solar power project located in Saemangeum, Gunsan-si. Since the solar power generation has a characteristic that is greatly affected by the climate, various methods have been applied to predict solar power generation. In general, variables necessary for predicting power generation are solar insolation on inclined surfaces, solar generation efficiency, and panel installation area. This study analyzed solar power generation using the monthly solar insolation data from the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over the past 10 years. Monte Carlo simulation (MCS) was applied to predict the solar power generation with the variables including solar panel efficiency and insolation. In the case of Saemangeum solar power project, the most solar power generation was in May, the least was in December, the average solar power generation simulated on MCS is 2.1 GWh per month, the minimum monthly power generation is 0.3 GWh, and the maximum is 5.0 GWh.

Control Method of High Efficient Optimal Frequency for 250W Photovoltaic DC-MIC (250W급 태양광발전 시스템용 DC-MIC 최적 주파수 제어 기법)

  • Lee, Young-Dal;Lee, Dong-Hee;Lee, Hee-Seo;Lee, Byoung-Ku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2.07a
    • /
    • pp.27-28
    • /
    • 2012
  • 본 논문은 태양광 발전의 주변 환경 변화에 종속적인 태양광 모듈 출력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용 DC-MIC (Module Integrated Converter) 의 효율 향상을 위한 주파수 제어 기법을 제안한다. 최적 주파수 제어 기법을 위해 전부하 범위 DC-MIC의 효율을 이론과 실험을 통해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기존의 고속의 스위칭 주파수 대비 스위칭 주파수를 낮춰 효율을 높이고 과도 상태 구간 동안 주파수를 높여 시스템 응답 속도를 높이는 시스템을 구현한다.

  • PDF

Automated Machine Learning-Based Solar PV Forecasting Considering Solar Position Information (태양 위치 정보를 고려한 AutoML 기반의 태양광 발전량 예측)

  • Jinyeong Oh;Dayeong So;Byeongcheon Lee;Jihoon 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05a
    • /
    • pp.322-323
    • /
    • 2023
  • 지속 가능한 에너지인 태양광 발전은 전 세계에서 널리 활용하는 재생 에너지 원천 중 하나로 최근 효율적인 태양광 발전 시스템 운영을 위해 태양광 발전량을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태양광 발전량 예측 모델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기상 및 대기 환경을 넘어 태양의 위치에 따른 일사량의 정보가 필수적이나 태양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입력 변수로 활용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시간과 태양광 발전소 위치를 기반으로 태양의 고도와 방위각을 실시간으로 계산하여 입력 변수로 사용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AutoML 기반의 다양한 기계학습 모델을 구성하여 태양광 발전율을 예측하고 그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태양 위치 정보를 포함한 경우에 환경 변수만을 고려하였을 때보다 예측 성능이 크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Extra Trees 모델의 경우 태양 위치 정보를 추가하였을 때 MAE(Mean Absolute Error)가 33.90 에서 22.38 까지 낮아지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of PV Power Forecasting for Evaluation and Selection of Suitable PV Sites (태양광 발전소 건설부지 평가 및 선정을 위한 선형회귀분석 기반 태양광 발전량 추정 모델)

  • Heo, Jae;Park, Bumsoo;Kim, Byungil;Han, SangUk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20 no.6
    • /
    • pp.126-131
    • /
    • 2019
  • The estimation of available solar energy at particular locations is critical to find and assess suitable locations of PV sites. The amount of PV power generation is however affected by various geographical factors (e.g., weather), which may make it difficult to identify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affecting factors and power outputs and to apply findings from one study to another in different locations. This study thus undertakes a regression analysis using data collected from 172 PV plants spatially distributed in Korea to identify critical weather conditions and estimate the potential power generation of PV systems. Such data also include solar radiation, precipitation, fine dust, humidity, temperature, cloud amount, sunshine duration, and wind speed. The estimated PV power generation is then compared to the actual PV power generation to evaluate prediction performance. As a result, the proposed model achieves a MAPE of 11.696(%) and an R-squred of 0.979. It is also found that the variables, excluding humidity, a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redicting the efficiency of PV power generation. According, this study may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what weather conditions can be considered and the estimation of PV power generation for evaluating and determining suitable locations of PV facilities.

다결정 실리콘 태양전지용 웨이퍼의 물성과 태양전지 발전효율 상관관계 연구

  • Lee, Myeong-Bok;Song, Gyu-Ho;Ryu, Han-Hui;Lee, Hyeong-Min;Bae, So-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2a
    • /
    • pp.382-382
    • /
    • 2011
  • 보다 저렴한 다결정 실리콘 웨이퍼를 사용한 다결정 실리콘 태양전지의 발전효율개선을 위해서는 태양광스펙트럼의 표면 흡수기구를 최적화하고, 전자-정공쌍의 생성극대화 및 재결합 기구 제어를 통한 전하운바자들의 안정적인 분리와 전극으로의 효율적인 수집이 필수적인다. 현재 양질의 다결정 실리콘 웨이퍼에 기반한 다결정 실리콘 태양전지 양산공정에서 16~17% 발전효율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18% 이상의 발전효율을 얻기 위해서는 보다 더 우수한 품질의 다결정 실리콘 웨이퍼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15.5~16.5% 대역의 평균 발전효율을 갖는 15.6 cm${\times}$15.6 cm 크기 고효율 다결정 실리콘 태양전지 전면의 전자발광(EL : electroluminescence)데이터로부터 효율기여도가 높은 위치와 상대적으로 기여도가 낮은 위치들을 선정하여 380~1050nm 파장대역의 광선속에 대해 국부적인 외부양자효율(EQE : external quantum efficiency)을 측정하고 투과전자현미경(TEM : tunneling electron microscope) 등을 활용하여 결정방향 등에 기인하는 양자효율 악화기구를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15%대의 상대적으로 낮은 발전효율을 보이는 태양전지들은 300~600 nm 단파장 영역에서 양자효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저급한 결정성의 웨이퍼에 기인하고 16.5%이상의 높은 발전효율을 갖는 태양전지들은 단파장영역에서 높은 양자효율을 갖는 영역이 수광면적의 80~90%를 차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더불어 15%대의 발전효율을 갖는 태양전지에서는 600~1100 nm 파장대역에서 상대적으로 악화된 양자효율을 갖는 저급한 결정성 영역이 30~40%를 차지하였으나 16.5%대역의 고효율 태양전지에서는 저급한 결정성 영역이 5~10%를 차지하여 대조를 보였다. 따라서 18%이상의 높은 발전효율을 갖는 다결정 실리콘 태양전지의 양산을 위해서는 양자효율이 우수한 양품의 웨이퍼를 기반으로 표면 texturing을 통해 평균 태양광 흡수율을 90%이상으로 개선하고, 보다 미세한 프론트 전극패턴을 통해 수광면적을 개선하고 선택적인 에미티공정 기술 등을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Optimal Operation of Photovoltaic Charging System (태양광 발전 배터리 충전 시스템 최적 동작에 관한 연구)

  • Yoo, Kyu-Hyeon;Lee, Woo-Cheol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8.07a
    • /
    • pp.183-185
    • /
    • 2018
  • 최근 석유나 석탄 에너지 사용으로 인한 대기오염 및 미세먼지와 원자력 발전으로 인한 핵 폐기 물질 처리의 어려움, 방사능 오염이 발생하는 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신재생에너지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로 인해 정부에서도 신재생에너지의 비중을 확대하기 위한 정책들이 시행되고 있는데 그 중 태양광 발전 시스템이 가장 크게 주목받고 있다. 태양광 발전이 성장함에 따라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왔으며 이 중 DC-DC 컨버터로 구성된 태양광 발전 energy storage system (ESS) 시스템이 효율이 높고 시장성이 좋아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5kW 태양광 발전 배터리 충전 시스템을 구성하여 컨버터의 동작 및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고 이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내용을 검증하였다.

  • PDF

태양광발전소 현장 진단평가 기술: 발전량 시뮬레이션과 다채널 I-V 장치를 통한 고장진단

  • Go, Seok-Hwan;Sin, U-Gyun;Sin, Ju-Yeong;Choe, Ui-Seong
    • Bulletin of the Korea Photovoltaic Society
    • /
    • v.7 no.2
    • /
    • pp.7-15
    • /
    • 2021
  • 태양광 발전소에 대한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IEC 61724-1에 적합한 계측장치를 설치하고 데이터를 수집하여 평가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태양광발전소 현장에서 DC 어레이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측정 일사량과 같은 환경정보 값과 태양광 DC 어레이 전압-전류 특성 곡선을 이용해 일사량에 따른 출력모델 식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모델 식은 태양전지 셀의 종류나 버스바에 따라서 차이가 발생되므로 기존의 태양전지 셀 등가회로 수식을 반영한 시뮬레이션 모델식이 적절히 변경되어야 함을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주기적인 진단 평가를 실시하지 않는 국내외 태양광 발전소는 성능저하가 발생된 상태로 운전되는 경우가 다수 일 것이다. 대부분의 관제모니터링을 시스템은 미쓰매칭 손실 평가분석이 불가능하며 운전상태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이 대부분이다. 이에 태양광 발전소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서는 현장진단 장치를 이용한 주기적 성능진단 평가나 발전소 데이터의 손실평가 분석 기술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