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태양광전지 모델

Search Result 41, Processing Time 0.011 seconds

Development of PV cell performance analyzer (태양광전지 성능 분석기 개발)

  • Park, Hyeonah;Kim, Sungjun;Jang, Hyewon;Kim, Hyosung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3.07a
    • /
    • pp.66-67
    • /
    • 2013
  • 태양광전지는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의 형태로 변환한다. 태양광전지는 부하조건에 따라 전류원 및 전압원의 특성을 모두 갖는 I-V 특성곡선을 나타낸다. 같은 회사에서 제조한 동일한 모델의 태양광전지라 하더라도 특성에 조금씩 편차가 발생한다. 태양광전지를 직렬접속하여 대규모의 태양광어레이를 구성하는 경우, 각 태양광전지의 특성편차는 전체 태양광어레이의 전력생산능력을 감소시키게 되므로 같은 특성을 갖는 태양광전지를 구별하여 어레이를 제작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태양광전지의 특성을 자동적으로 측정 분석하여 LabVIEW GUI화면을 통하여 결과를 출력하는 태양광전지 성능 분석기를 개발한다.

  • PDF

태양광발전소 현장 진단평가 기술: 발전량 시뮬레이션과 다채널 I-V 장치를 통한 고장진단

  • Go, Seok-Hwan;Sin, U-Gyun;Sin, Ju-Yeong;Choe, Ui-Seong
    • Bulletin of the Korea Photovoltaic Society
    • /
    • v.7 no.2
    • /
    • pp.7-15
    • /
    • 2021
  • 태양광 발전소에 대한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IEC 61724-1에 적합한 계측장치를 설치하고 데이터를 수집하여 평가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태양광발전소 현장에서 DC 어레이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측정 일사량과 같은 환경정보 값과 태양광 DC 어레이 전압-전류 특성 곡선을 이용해 일사량에 따른 출력모델 식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모델 식은 태양전지 셀의 종류나 버스바에 따라서 차이가 발생되므로 기존의 태양전지 셀 등가회로 수식을 반영한 시뮬레이션 모델식이 적절히 변경되어야 함을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주기적인 진단 평가를 실시하지 않는 국내외 태양광 발전소는 성능저하가 발생된 상태로 운전되는 경우가 다수 일 것이다. 대부분의 관제모니터링을 시스템은 미쓰매칭 손실 평가분석이 불가능하며 운전상태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이 대부분이다. 이에 태양광 발전소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서는 현장진단 장치를 이용한 주기적 성능진단 평가나 발전소 데이터의 손실평가 분석 기술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Modeling and Analysis of The Buck Converter in Photovoltaic Power Conditioning System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서의 벅 컨버터 모델링과 해석)

  • Jung, Seung-Hwan;Choy, Ick;Choi, Ju-Yeop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8 no.7
    • /
    • pp.1039-1048
    • /
    • 2013
  • Generally, the buck converter controller was designed to control output voltage of the converter. However, design of the controller in photovoltaic power conditioning system is different from general design. the controller in photovoltaic power conditioning system controls input voltage of the converter(output voltage of the solar cell) for MPPT(Maximum Power Point Tracking). This paper proposes novel buck converter model which can control input voltage of the converter. We integrate this model with a model of solar cell. and linearize at the operating point(MPP). In addition, we determine whether or not suitable for the general linear controller design into small and large signal analysis.

Study on Power Analysis and Test Verification for STSAT-2 Solar Array (과학기술위성 2호 태양전지 배열기의 전력 성능 분석 및 시험 검증 연구)

  • Park, Je-Hong;Chang, Young-Ke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8 no.5
    • /
    • pp.507-517
    • /
    • 2010
  • The KOREAN AIR - R&D Center has developed a solar array for STSAT-2 Flight Model, SaTReC-KAIST, using a fully localized technology and has verified the performance through a launch vibration test, orbit environment test and electrical performance test. The solar array will be launched at NARO Space Center by KSLV-I which is the first Korean launch vehicle, in May 2010. In this paper, a current-voltage curve that shows the power characteristics of solar arrays was derived by applying elements that affects the power performance of STSAT-2's solar arrays to the solar cell equivalent models. The result was compared to LAPSS test results, and accuracy of the solar cell equivalent model and the power performance simulation has been analyzed.

A Modeling and Analysis of a Grid Connected Photovoltaic Generation System (계통 연계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모델링 및 해석)

  • Jeon, Jin-Hong;Kim, Seul-Ki;Ahn, Jong-Bo;Kim, Eung-Sa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07b
    • /
    • pp.1768-1770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계통 연계를 위한 실증 시스템 개발 연구의 일부로 진행되고 있는 태양 전지 어레이의 모델링과 해석 결과에 대한 내용을 제시하고자 한다.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를 변화하여 주는 태양 전지판과 발전된 전기 에너지를 전력 계통에 연계하여 주는 전력변환 장치(PCS)로 구성되어 있다. 모델링에 사용된 주요 파라미터는 현재 연구원에서 보유하고 있는 실제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기준으로 하였다. 개발된 모델을 이용하여 시스템의 주요 특성 곡선을 추출하였으며 기존의 연구 결과와 비교하여 제안된 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태양광 시스템 모델은 향후 전체 시스템의 동적 응답에 대한 해석 및 계통 연계 운전 검토를 위한 연구에 적용될 계획이다.

  • PDF

Detect Maximum Power Point in Solar Cell Panel Array (태양 전지 패널 어레이에서 최대전력점 검출)

  • Jeong, Ji-Won;Ahn, Tae-Ch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390-1391
    • /
    • 2011
  •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서의 최대 전력점 추적(MPPT, Maximum Power Point Tracking)제어를 실험을 하기 위해 부분선형 다이오드 모델을 이용한 태블로 해석을 통해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태양전지 모듈의 특성을 시뮬레이션 하였다. 태양전지 모듈의 V-I 특성과 태양전지 패널을 직렬-병렬 어레이로 연결 시, 부분 그늘 문제(Partial Shading Problem)의 지역 최대 점(global peak)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simulation of solar cell for stand-alone photovoltaic system (독립형 태양광 시스템에 적용한 태양전지 시뮬레이션에 관한 연구)

  • Hwang, Gye-Ho;Kim, Won-Gon;Yun, Jong-Bo;Moon, In-Ho;Lee, Bong-Seob;Jung, Do-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II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8.10a
    • /
    • pp.221-224
    • /
    • 2008
  • 본 논문은 일사량과 온도의 조건에 따른 태양전지 셀의 등가회로 모델을 모델링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제작사의 태양광 모듈을 시뮬레이션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검토결과 태양광 모듈의 사양서와 시뮬레이션 값의 오차율이 낮아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었으며, 또한 최적인 태양광 모듈 어레이를 시뮬레이션하여 최적인 태양전지 모듈 어레이의 규모를 선택하여 독립형 태양광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또, 특정지역에 설치 최적인 출력전력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 PDF

Analysis of New Solar Cell Model for the Virtual Implemented Solar Cell System (가상구현 태양전지 시스템을 위한 태양전지의 새로운 모델링)

  • Jeong, Byung-Hwan;Kang, Byoung-Hee;Lee, Myung-Un;Choe, Gyu-Ha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 /
    • v.11 no.1
    • /
    • pp.79-89
    • /
    • 2006
  • Particularly the photovoltaic systems are preferred because the output is extracted to the useful electric energy. However,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photovoltaic(PV) systems using solar cell or array depend on the weather conditions. The assistant equipment which emulates the solar cell characteristics that can be controlled arbitrarily by researcher is required to the researchers for reliable experimental data.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research a solar cell model of which output characteristics varied by setting the weather conditions such as insolation levels and temperatures. Therefore, this paper was presented that improved model which is based on interpolation model. To verified the improved model, it is confirmed using the simulation of MATLAB. Also,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by the characteristics of virtual implemented solar cell(VISC) system with the proposed solar cell model.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re exists actual ewer within 5% between actual solar cell and VISC system.

Improved Parameter Extraction Algorithm for Photovoltaic Array Circuit Model (태양광 패널의 등가회로 모델링 알고리즘 개선)

  • Park, Jun-Young;Choi, Sung-Ji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4.07a
    • /
    • pp.369-370
    • /
    • 2014
  • 태양광 PCS개발과정에서는 온도나 방사량 등을 변화시키며 태양전지 패널의 I-V곡선을 모사할 수 있는 태양광 시뮬레이션 모델이 필요하다. 이러한 용도로 볼 때 특히 다이오드 기반의 등가회로 모델은 물리적인 성질을 바탕으로 태양광 패널의 특성을 비교적 정확히 설명할 수 있으나 특유의 비선형성으로 인하여 복잡한 회로 모델 파라미터 추출 기법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데이터 시트값에 기반한 새로운 태양광 패널 회로 모델링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단결정 태양광 패널의 실제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대전력점 ${\pm}10%$부근의 전류오차 적분값을 기준으로 기존 방법과 정확도를 비교한 결과 20%의 정확도 개선을 얻었다.

  • PDF

A Study on Optimization of Perovskite Solar Cell Light Absorption Layer Thin Film Based on Machine Learning (머신러닝 기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광흡수층 박막 최적화를 위한 연구)

  • Ha, Jae-jun;Lee, Jun-hyuk;Oh, Ju-young;Lee, Dong-ge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7
    • /
    • pp.55-62
    • /
    • 2022
  • The perovskite solar cell is an active part of research in renewable energy fields such as solar energy, wind, hydroelectric power, marine energy, bioenergy, and hydrogen energy to replace fossil fuels such as oil, coal, and natural gas, which will gradually disappear as power demand increases due to the increase in use of the Internet of Things and Virtual environments du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perovskite solar cell is a solar cell device using an organic-inorganic hybrid material having a perovskite structure, and has advantages of replacing existing silicon solar cells with high efficiency, low cost solutions, and low temperature processes. In order to optimize the light absorption layer thin film predicted by the existing empirical method, reliability must be verified through device characteristics evaluation. However, since it costs a lot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ght-absorbing layer thin film device, the number of tests is limit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development and applicability of a clear and valid model using machine learning or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as an auxiliary means for optimizing the light absorption layer thin film are considered infinite. In this study, to estimate the light absorption layer thin-film optimization of perovskite solar cells, the regression models of the support vector machine's linear kernel, R.B.F kernel, polynomial kernel, and sigmoid kernel were compared to verify the accuracy difference for each kernel fun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