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태백산맥(太白山脈)

Search Result 109, Processing Time 0.02 seconds

강원도 정선 임계면지역의 카르스트지형 연구

  • 김주욱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6 no.7
    • /
    • pp.28-31
    • /
    • 1981
  • 본역의 Karst Terrain은 태백산맥 준령의 서록상에 위치하여 있으므로 한반도에 분포하는 Karst Terrain 중 고도가 가장 높은 것이다. 그 해발고도는 700m 내외이다. 백복령(833m) 생계령(826m) 자병산(871m) 등은 본역의 태백산맥 준령상에 있다. Karst Terrain이 분포하는 태백산맥 준령의 서측은 완만한 경사의 지형을 이루나 그의 동측은 급경사를 이루어 Karst 제현상의 형성과 발달과정에 매우 특이한 양상을 보여준다.(중략)

  • PDF

Geographic variation of song on Great Tit, Parus Major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of the T'aebaek Mountains in Korea (태백산맥을 경계로 동서간 한국산 박새(Parus Major) 소리(song)의 지리적 변이)

  • 강정훈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d
    • /
    • pp.40-45
    • /
    • 1998
  • 본 논문은 한국산 박새(Parus major)의 소리(song)를 이용해서 태백산맥을 경계로 동서간의 지리적 변이에 관한 논문이다. 박새 소리의 지리적인 변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지역간 음절의 시간과 주파수 요인을 비교하고, factor의 군집화의 지역간의 변이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Cluster Analysis와 discriminant Analysis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태백산맥을 경계로 동쪽지역여과 서쪽지역은 영덕군과 청송군, 삼척시와 태백시를 중심으로 해서 지리적인 변이를 나타냈다.

  • PDF

Monutain Ranges of Korea (韓國의 山脈)

  • 권혁재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5 no.3
    • /
    • pp.389-400
    • /
    • 2000
  • 20세기 초에 고토가 설정한 우리나라의 산맥체계는 지질학적 증거의 뒷받팀이 부족했다. 그후 일본 지질학자들은 그의 산맥체계에 수정을 가하게 되었으나, 수정은 그가 설정한 틀의 범위내에서 이루어졌다. 중.고등학교 지리교과서의 산맥지도가 보여주는 산맥에는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지반의 융기에 의해 형성된 태백.소백.낭림.함경산맥으로 산세가 웅장하고 산줄기가 분명하며, 한반도의 골격을 이루고 있다. 다른 하나는 태백.낭림의 척량산맥에서 서해안까지 길게 뻗어내린 갈비뼈 모양의 산맥들이다. 중국방향 및 랴오뚱방향의 이들 산맥은 경동지형의 고위평탄면이 해체되는 과정에서 형성된 것으로 연속성이 약하고 구간에 따라서는 확인하기 어려우며, 처음부터 잘못 설정된 거이다. 산맥지도는 산지의 분포를 보여주는 것인데. 척량산맥 서쪽에는 이들 산맥과 관계없이 분포하는 산지가 오히려 더 많다. 산맥지도에는 하천도 그려져 있으나 하천은 산맥에 가려서 잘 드러나지 않는다. 갈비뼈모양의 산맥을 아예 없애고 그 대신 하천을 뚜렷하게 그려 넣어도 훌륭한 지도가 만들어진다. 하천은 오늘날 수자원으로서 매우 중요하다.

  • PDF

고씨동굴지역의 현황 조사

  • 홍시환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2 no.13
    • /
    • pp.23-48
    • /
    • 1986
  • 영월은 강원도의 서남쪽에 위치하여 우리나라 척량산맥인 태백산맥의 서사면인 영서지방에 점위한다. 태백선과 영동선철도로 연결되는 교통요지로 서울에서 1시간 10분거리에 있다. 영동고속도로로는 새말에서 장평을 거쳐 평창을 지나 영월에 이르게 되나 과거에 근 5시간에 달하던 영월이 수도권에서 3시간남짖으로 도달할 수 있는 교통입지로 앞으로 관광전망이 좋은 위치에 있다. (중략)

  • PDF

고씨동굴 주변지역의 인문환경

  • 홍현철;홍충렬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37 no.38
    • /
    • pp.39-45
    • /
    • 1994
  • 영월군은 강원도의 서남쪽에 위치하며 태백산맥의 서사면인 영서지방에 속한다. 철도교통은 태백선과 영동선으로 연결되며 서울에서 3시간 30분거리에 있다. 영동고속도로로는 새말에서 장평 평창을 지나 영월에 이르게 되며 수도권에서 3시간 정도로 도달할 수 있다. 즉 영월은 중원권인 충청도지방과 수도권인 경기지방 그리고 동해안지역인 영동지방등의 결절지역에 해당되는 교통요지라 할 수 있다. 특히 이곳은 태백산맥 서사면의 산간오지로 산세가 수려하고 한적한 비경인 관계로 조선시대 단종의 유배지로 정해졌던 고장이다.(중략)

  • PDF

고씨동굴 주변지역의 인문환경

  • 홍현철;홍충렬
    • Proceedings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Conference
    • /
    • 1994.11a
    • /
    • pp.90-90
    • /
    • 1994
  • 영월군은 강원도의 서남쪽에 위치하며 태백산맥의 서사면인 영서지방에 속한다. 철도교통은 태백선과 영동선으로 연결되며 서울에서 3시간 30분거리에 있다. 영동고속도로로는 새말에서 장평 평창을 지나 영월에 이르게 되며 수도권에서 3시간 정도로 도달할 수 있다. 즉 영월은 중원권인 충청도지방과 수도권인 경기지방 그리고 동해안지역인 영동지방등의 결절지역에 해당되는 교통요지라 할 수 있다. 특히 이곳은 태백산맥 서사면의 산간오지로 산세가 수려하고 한적한 비경인 관계로 조선시대 단종의 유배지로 정해졌던 고장이다.(중략)

  • PDF

Saussurea grandicapitula W. Lee et H. T. Im (Compositae), a New Species from the Taebaek Mountains, Korea (택배취, 취나물속의 일신종)

  • Lee, Woo-Tchul;Im, Hyoung-Tak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37 no.4
    • /
    • pp.387-393
    • /
    • 2007
  • Saussurea grandicapitulata, a new species of Saussurea, was repodrted in the Taebaek Mountains. It has peculiar morphological characters, easily distinguisable from other Saussurea in Korea and Japan; robust plant size, pale green leaf beneath, purplish brown-cobwebby hairs on petioles of radical and lower cauline leaves, few heads with not so long pedicel, big globose involucres with brown-cobwebby hairs, and often recurved long phyllaries. S. grandicapitula is an endemic species to Korea which was differentiated in consequence of adaptation to heavy snowy environment of the Taebaek Mountains.

소양강 상류 하안단구의 지형면 특성과 퇴적물 분석

  • 이광률;윤순옥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3.11a
    • /
    • pp.3-7
    • /
    • 2003
  • 북한강의 가장 큰 지류하천인 소양강은 발원지와 최상류부가 북한 지역이며, 상류부에서도 남한 지역은 휴전선에 접하여 군사지역이 많기 때문에 연구를 위한 접근과 활동이 쉽지 않다. 또한 하류부는 소양강댐으로 인해 하천 양안의 대부분이 소양호의 수면 아래에 수몰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소양강을 대상으로 한 지리학 및 지형학적 연구 성과는 거의 없다. 소양강은 남한의 하천 유역분지 중 최북단에 위치하며 태백산맥에 바로 접하고 있어, 태백산맥 일대의 구조 운동으로 인해 활발한 하각(incision) 작용이 나타난다. (중략)

  • PDF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Incised Meander Cutoff in Gyeonggi and Gangwon Provinces, Central Korea (경기${\cdot}$강원 지역 감입곡류 하천의 곡류절단면 분포 특성)

  • Lee Gwang-Ryul;Yoon Soon-Ock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9 no.6 s.105
    • /
    • pp.845-862
    • /
    • 2004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incised meander cutoff in Gyeonggi and Gangwon Provinces of Central Korea. The density of meander cutoff is highest in the mountain rivers including Naerin and Dongdae flowing on Jeongseon-gun and Inje-gun of Gangwon Province. Most of meander cutoff process has been occurred repeatedly during the Quaternary period, especially concentrated in the period of climatic change between glacial and interglacial stages. In the aspect of the lithology, the density of cutoff is highest in sedimentary rock, but lowest in igneous rock. As for geological structure, its frequency is high at $11{\sim}20km$ westerly away from the Taebaek Mountains, at subsequent channel, lower part of resequent channel, and channels crossing the fault line. The relation between distance from the Taebaek Mountains and altitude is very obvious at the western side of the Taebaek Mountains. The values of altitude, height from riverbed, and stream order are highest at sedimentary rock and lowest at volcanic ro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