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탐지 정확도

Search Result 1,548,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Event Detection System Based on Twitter Applied Geographical Name Denoising (지명 노이즈제거 기법을 적용한 트위터 기반 이벤트 탐지 시스템)

  • Woo, Seungmin;Hwang, Byung-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1095-1097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트위터 기반 이벤트 탐지에서의 기계학습을 통한 지명 노이즈제거 방식을 제안한다. 이벤트 탐지 시스템은 트위터 사용자 개개인을 이벤트 탐지의 센서로 이용하여 특정 지명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탐지하였다. 그러나 지명과 동형이의어 관계의 단어가 탐지되어 이벤트 탐지의 정확도를 낮추는 요인이 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먼저 노이즈 관련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이용하여 제거 필터링을 진행한 후에 기계학습을 이용해서 지명 유무를 결정하였다. 실험결과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예측기법은 89.6%의 신뢰도로 노이즈제거 기법의 필요성을 보였다.

An Efficient Text Detection Model using Bidirectional Feature Fusion (양방향 특징 결합을 이용한 효율적 문자 탐지 모델)

  • Lim, Seong-Taek;Choi, Hoeryeon;Lee, Hong-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67-68
    • /
    • 2021
  • 기존 객체탐지는 경계 상자 회귀방식을 적용하였지만, 문자는 왜곡과 변형이 심한 특성을 가진 객체로 U-net 구조의 이미지 분할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최근 문자 탐지는 통계적 모델에 비해 높은 정확도를 보이는 심층 신경망 기반의 모델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미지 분할을 통한 양방향 특징 결합 기법을 사용한 문자 탐지 모델을 제안한다. 이미지 분할 방식은 메모리의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고자 특징 추출 단계에서 경량화된 네트워크를 적용하였다. 또한, 객체 탐지에서 큰 성과를 보인 양방향 특징 결합 모듈을 U-net 구조에 추가하여 추출된 특징이 효과적으로 결합 되는 결과를 얻었다. 제안하는 모델의 문자 탐지 성능은 합성 문자 데이터셋을 이용한 실험을 통해 기존의 U-net 구조의 이미지 분할 방식보다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PDF

Research on File-based Malware Detection Method (악성코드 파일기반 탐지방법에 대한 연구)

  • Yoon, Ju Young;Kim, Sang Hoon;Kim, Seun 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0.11a
    • /
    • pp.370-373
    • /
    • 2020
  • 본 연구는 파일기반 악성파일 탐지시간을 줄이는 알고리즘 사용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기존 탐지방식은 파일의 시그니처 값에 대한 유사도를 단순히 비교하는 것에만 그쳐 오탐율이 높거나 새롭게 생성되는 악성파일을 대응할 수 없는 제한점이 있다. 또한 정확도를 높이고자 딥 러닝을 통한 탐지방식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 또한 동적분석으로 진행이 되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 제한이 있다. 그래서 우리는 이를 보완하는 VP Tree 탐지를 제안한다. 이 방법은 시그니처 값이 아닌 다차원에서의 해시 값의 데이터 위치를 기반으로 거리를 척도 한다. 유클리드 거리 법, 맨해튼 거리법이 사용되며 삼각부등식의 만족하는 기준으로 K-NN 이 생성이 되며, K-NN 을 이진 트리로 구성하여 인덱스를 통한 탐지를 진행하기에 기존 방법들을 보완할 수 있는 대안점이 될 수 있으며, 악성파일과 정상파일이 섞여 존재하는 총 3 만개의 데이터를 대상으로 악성파일 탐지 테스트를 진행하였으며 기본 방식에 비해 약 15~20%정도 속도가 단축된다는 것을 입증했다.

Dense Siamese Network for Building Change Detection (건물 변화 탐지를 위한 덴스 샴 네트워크)

  • Hwang, Gisu;Lee, Woo-Ju;Oh, Se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07a
    • /
    • pp.691-694
    • /
    • 2020
  • 최근 원격 탐사 영상의 발달로 인해 작지만 중요한 객체에 대한 탐지 가능성이 커져 건물 변화 탐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은 건물 변화 탐지 방법 중 가장 좋은 성능을 가진 PGA-SiamNet 의 세부 변화 탐지의 정확도가 낮은 한계점을 개선시키기 위해 DensNet 기반의 Dense Siamese Network 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공개된 WHU 데이터 세트에 대해 변화 탐지 측정 지표인 TPR, OA, F1, Kappa 에 대해 97.02%, 99.5%, 97.44%, 97.16%의 성능을 얻었다. 기존 PGA-SiamNet 에 비해 TPR 은 0.83%, F1 은 0.02%, Kappa 는 0.02% 증가하였으며, 세부 변화 탐지의 성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Research on Improving Fire Detectio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Performance (화재 탐지 인공지능 모델 성능 개선 연구)

  • Lee, Jeong-Rok;Lee, Dae-Woong;Jeong, Sae-Hyun;Jung, 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202-203
    • /
    • 2023
  • 최근 화재 탐지 분야는 불꽃 연기의 특징과 인공지능 인식(Detection) 모델을 활용하여 탐지율을 높이려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다. 기존 화재 탐지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모델 연구 이외에도 불꽃·연기의 특징을 다양한 방법으로 데이터 가공한 학습 데이터셋을 활용하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화재 탐지시 불꽃/연기의 오탐지율이 높은 것을 확인하고 오탐지율을 낮추기 위해 화재 상황을 인식하여 분류하는 방법과 데이터셋을 제안한다. 제안한 모델은 동영상을 학습데이터로 활용하여 화재 상황의 특징을 추출하여 분류모델에 적용하였다. 평가는 한국정보화진흥원(NIA)에서 진행하는 화재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Yolov8, Slowfast의 모델 성능을 비교 및 분석하였다.

  • PDF

A Study on Tools Vehicle Detection and Vehicle Tracking (차량 탐지와 차량 추적에 대한 연구)

  • Se-Young Kim;Jae-Eun Min;Se-Hun Pyo;Sang-Il Cho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592-594
    • /
    • 2023
  • 차량 탐지와 차량 추적 기술은 교통관리 시스템, 자율주행 자동차 시스템 및 이를 응용한 보안 감시 시스템, 군사 작전 및 안전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차량 탐지는 YOLOv7 모델을, 차량 추적은 DeepSORT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도로의 차량들에 대해 탐지 및 추적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였다. 실험환경은 차량 탐지 데이터 셋(dataset)을 직접 라벨링(labeling) 하여 실험하였고, 차량 추적은 차량 탐지에서 학습해서 얻은 체크포인트(checkpoint) 모델을 가중치로 설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차량 탐지 실험결과는 validation 과 test 에서 높은 정확도를 확인할 수 있었고, 차량 추적은 Namsa 비디오 및 Seohaegyo 비디오에서도 차량 추적이 잘 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 Study on Effective Methods for DGA Domain Detection (DGA 도메인 탐지를 위한 효과적인 방법 연구)

  • Tae-Woo Kang;Soon-Tai Park;Ieck-chae Euo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4.05a
    • /
    • pp.196-198
    • /
    • 2024
  • DGA(Domain Generation Algorithms)로 생성된 도메인을 탐지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 결과가 선행되었다. 기존 연구 상에서는 딥러닝 모델인 LSTM을 이용한 DGA 도메인 탐지가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대두되었다. 하지만 본 논문 실험 결과, TCN 모델을 이용한 탐지 결과가 LSTM 모델보다 우수한 탐지 정확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탐지 모델을 대규모 도메인 처리가 필요한 현업에서 사용될 것을 고려하여, LSTM과 TCN 모델보다 빠른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XGBoost 모델을 확인하였다. TCN과 XGBoost 모델을 활용하여 현업에서 DGA 도메인을 탐지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Mean Teacher Learning Structure Optimization for Semantic Segmentation of Crack Detection (균열 탐지의 의미론적 분할을 위한 Mean Teacher 학습 구조 최적화 )

  • Seungbo Shim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27 no.5
    • /
    • pp.113-119
    • /
    • 2023
  • Most infrastructure structures were completed during periods of economic growth. The number of infrastructure structures reaching their lifespan is increasing, and the proportion of old structures is gradually increasing. The functions and performance of these structures at the time of design may deteriorate and may even lead to safety accidents. To prevent this repercussion, accurate inspection and appropriate repair are requisite. To this end, demand is increasing for computer vision and deep learning technology to accurately detect even minute cracks. However, deep learning algorithms require a large number of training data. In particular, label images indicating the location of cracks in the image are required. To secure a large number of those label images, a lot of labor and time are consumed. To reduce these costs as well as increase detection accuracy, this study proposed a learning structure based on mean teacher method. This learning structure was trained on a dataset of 900 labeled image dataset and 3000 unlabeled image dataset. The crack detection network model was evaluated on over 300 labeled image dataset, and the detection accuracy recorded a mean intersection over union of 89.23% and an F1 score of 89.12%. Through this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detection performance was improved compared to supervised learning. It is expected that this proposed method will be used in the future to reduce the cost required to secure label images.

Hierarchical Event Detection for Low-Energy Operation In Video Surveillance Embedded System (영상 감시용 임베디드 시스템에서의 저에너지 동작을 위한 계층적 사건 탐지)

  • Kim, Tae-Rim;Kim, Bum-Soo;Kim, Dae-Joon;Kim, Geon-Su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v.12 no.3
    • /
    • pp.204-211
    • /
    • 2011
  • Embedded systems require intensively complex and high power dissipating modules that have the capability of real-time high performance data processing, wide bandwidth communication, and low power consumption. However, the current battery technology has not been developed as much as meeting the requirements of portable embedded systems for long system lifetime. In this paper, new approach that operates with low energy consumption is proposed to overcome the situation while guaranteeing detection accuracy. The designed method associates a variety of detection algorithms hierarchically to detect events happening around the system. The Change for energy consumption characteristics is shown with change for probabilistic characteristics and those relationships are analytically explained from experiments. Furthermore, several techniques to consume low energy and achieve high detection accuracy are described, depending on the event static or dynamic characteristics.

Stacked Autoencoder Based Malware Feature Refinement Technology Research (Stacked Autoencoder 기반 악성코드 Feature 정제 기술 연구)

  • Kim, Hong-bi;Lee, Tae-ji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30 no.4
    • /
    • pp.593-603
    • /
    • 2020
  • The advent of malicious code has increased exponentially due to the spread of malicious code generation tools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the network, but there is a limit to the response through existing malicious code detection methods. According to this situation, a machine learning-based malicious code detection method is evolving, and in this paper, the feature of data is extracted from the PE header for machine-learning-based malicious code detection, and then it is used to automate the malware through autoencoder. Research on how to extract the indicated features and feature importance. In this paper, 549 features composed of information such as DLL/API that can be identified from PE files that are commonly used in malware analysis are extracted, and autoencoder is used through the extracted feature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malware detection in machine learning. It was proved to be successful in providing excellent accuracy and reducing the processing time by 2 times by effectively extracting the features of the data by compressively storing the data. The test results have been shown to be useful for classifying malware groups, and in the future, a classifier such as SVM will be introduced to continue research for more accurate malware det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