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탈현장공법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7초

모듈러주택 적용을 위한 PC코어 시스템 제안 (Proposal of PC Core System for Modular Housing)

  • 김민준
    • 토지주택연구
    • /
    • 제14권1호
    • /
    • pp.115-122
    • /
    • 2023
  • 최근 Covid-19 및 건설현장 인력 고령화 등으로 인하여 공동주택 생산성은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탈현장(Off-Site Construction) 기반의 공장생산 방식으로의 공동주택 건설 방향 전환이 필요하다. 모듈러 공법은 공기단축이 가능하여 스마트 건축시스템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모듈러 공법의 공기단축을 극대화 할 수 있는 PC코어 시스템을 개발하고, 구조성능을 해석적 연구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제안된 PC코어 시스템은 완전 PC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접합방식은 건식 접합이다. 연구 결과, 제안된 PC코어 시스템은 모듈러 주택에 사용가능한 구조성능을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모듈러 프로젝트의 활성화를 위한 핵심과제 분석 (Analysis of Core Tasks for Activate Modular Construction Projects in Korea)

  • 이명도;이웅균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59-470
    • /
    • 2024
  • 모듈러 공법에 대한 정책적 지원과 시장 확대의 방안이 마련되고 있는 실정으로 활성화를 위한 명확한 과제 제시와 분석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모듈러 공법의 활성화를 위한 핵심과제의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기존 연구 분석을 통해 개선과제를 고찰하고 전문가 자문을 통해 보완하여 30개의 핵심과제를 도출하였다. 이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핵심과제에 대한 중요도-시급성 분석을 수행하고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모듈러 건축의 활성화에 필요한 핵심과제의 해결을 위한 전략적인 접근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BIM 기반 1인 가구 모듈러 공동주택 유닛 개발 (Development of Modular Apartment Unit for Single Person Household Based on BIM)

  • 이시현;유무영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809-820
    • /
    • 2023
  • 현대 사회에서는 1인 가구가 증가하고 주거 공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적절한 대안 모색이 중요하다. 빠른 시간 내에 경제적이고 지속 가능한 주거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 모듈러 건축이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기술을 활용한 모듈러 건축 유닛 설계 및 시공 과정 최적화 방법을 제안한다. 1인 가구의 주거 요구사항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BIM을 활용하여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모듈러 공동주택 유닛을 개발하였다. BIM은 건축 요소의 시각화 및 상호 연결을 제공하여 설계 과정의 오류를 최소화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모듈러 건축의 장점과 한계를 평가하였다. BIM을 활용한 모듈러 건축물은 주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적인 대안으로 제시될 수 있으며 주거 공간의 품질과 다양성을 높일 수 있다. 다만 기술적 요구사항 및 비용 등의 한계도 고려되어야 한다. BIM 기반 1인 가구 공동주택 유닛 설계의 가능성과 장점을 제시하고 1인 가구 개선을 위한 실질적인 해결책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시형 생활주택의 유닛 모듈라 공법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nit Modular Design Method of Urban-type Housing)

  • 이가경;임석호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2권5호
    • /
    • pp.101-110
    • /
    • 2011
  •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has announced a policy which can enable the building of urban type housing with the use of a prefabrication method 2010. However, such may possibly be at standstill owing to the prefabrication methodology that has not been currently developed in Korea. Moreover, small households of consisting of one or two family members have been steadily increasing, but the small housing units in which they reside has been decreasing. Due to this situation, urban type housing has been proposed. To expand the propagation of such urban type housing and to promote prefabrication methods, the top priority project is to develop a technology that is able to reduce construction costs, as well as to shorten the actual construction period. In consideration of this prefabrication system for an avenue to solve such problems, a series of systems and policies for the fostering of prefabricated urban type housing has been proposed. This study is to review a series of methods, technologies and policies that are required for such urban type housing and henceforth, to utilize such as preliminary data for further prefabricated urban type housing.

도시형 생활주택의 유닛 모듈라 공법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nit Modular Design Method of Urban-type Housing)

  • 이가경;임석호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75-80
    • /
    • 2011
  •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has announced a policy which could enable the building of urban type housing using a prefabrication method in 2010. However, it may possibly be at standstill owing to the prefabrication methodology has not been currently developed in Korea. Moreover, small households of one or two family members are been steadily increasing, but small housing in which they reside has been decreasing. Because of this situation, the urban type housing has been proposed. To expand the propagation of this urban type house and to promote the prefabrication method, the first-priority project is to develop a technology that is able to reduce the construction costs, as well as to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Considering this prefabrication system as an avenue to be able to solve these problems, a series of systems and policies for fostering prefabricated urban type housing has been proposed. This study is to review a series of methods, technologies and policies that are required for urban type housing and henceforth, to utilize them as preliminary data for prefabricated urban type housing.

  • PDF

국내 모듈러 건축 프로젝트의 단계별 BIM 활용업무 분석 (An Analysis of BIM uptake in Each Phase of Modular Construction Projects in Korea)

  • 이웅균;이명도
    •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 /
    • 제21권5호
    • /
    • pp.133-140
    • /
    • 2019
  •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and modular construction are regarded as important technologies that could contribute to overcoming the crisis faced by the construction industry. However, BIM uptake in current modular construction projects is limited. Moreover, there are no specific guidelines to support decision-making regarding the application of BIM in modular construction projec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ossibility for BIM uptake in each phase of modular construction projects in Korea. Initially, the literature detailing on BIM uptake cases in modular construction projects was reviewed. The detailed work and activities for each phase of a modular project were analyzed via a questionnaire targeting domestic modular experts, to derive items requiring improvement due to errors or changes occurring in the actual project. Ten realistic BIM uptake items were derived, reflecting the results of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interviews. Then, the BIM uptake items in each phase were analyzed in terms of necessity and efficiency via a second questionnaire using five-point Likert scales. Finally, the BIM utilization index (BIM UI) of the BIM uptake items was suggested as a priority measure. As a result, the BIM UI of "3D coordination" (U2), "design authoring and reviews for off-site fabrication" (U3), and "detailed 3D modeling for off-site fabrication" (U4), were assigned the highest prior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guidelines to support decision-making regarding the application of BIM in modular construction projects.

OECD 국가의 건설업 노동생산성 비교 및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Construction Labor Productivity in OECD Countries)

  • 박환표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75-185
    • /
    • 2023
  • OECD 국가를 대상으로 건설업의 노동생산성을 분석한 결과, 한국 건설업의 2019년 취업자당 노동생산성은 PPP 적용시 주요 선진국보다 낮은 수준이다. PPP 적용시 상대국을 100 기준으로 했을 때, 미국의 76.9, 일본의 88.4, OECD 평균의 85.1로 미흡한 수준이다. 특히 OECD 국가의 2019년도 건설업 취업자당 노동생산성을 분석한 결과, 한국은 25위 수준으로 OECD 35개 국가에서 차지하는 순위는 낮은 수준이다. OECD 국가의 건설시장규모와 건설업 노동생산성을 비교·분석한 결과, 건설시장규모가 큰 국가가 건설업 노동생산성이 높다고는 볼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설업의 노동생산성을 향상 시키기 위해서 첫째, 스마트 건설기술을 건설현장에 접목하여 적극 활용하는 방안, 둘째, 건설현장 작업보다는 OSC 기술로 공장작업을 통한 현장 설치작업의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모듈러 공법, 기술개발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하였다. 향후에는 첨단 로봇과 공장자동화를 통한 탈현장 생산방식 및 모듈 개발을 확대하면, 건설산업도 제조업과 같은 생산방식의 개편으로 노동생산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