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탄소량

Search Result 2,246,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2050 Carbon-neutrality scenario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in domestic building sector (2050년 국내 건물 부문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탄소중립 시나리오 연구)

  • Jiwoo Choi;Hakgeun Jeong;Hyungju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96-396
    • /
    • 2023
  • 기후 위기에 대한 대응으로 현재 많은 국가에서 2050년 탄소중립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다양한 부문의 배출 절감 계획을 내세웠다. 현재 건물 부문에서는 2050년의 목표배출량을 6.2 백만톤 CO2eq으로 설정하고 관련 정책적 수단을 검토 중이지만 달성 방안 등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건물 부문의 이산화탄소의 배출량 산정 모델을 개발하여, 205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 시나리오를 시뮬레이션하였다. 이를 토대로 국내의 건물 부문 탄소중립 가능성을 검토한 통합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향후 정책 및 기술 개발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탄소배출량 산정모델은 연면적 예측 및 사용 에너지의 원단위 환산, 탄소배출계수 등을 고려해 개발하였고, 이를 활용하여 4가지 탄소배출 시나리오를 분석하였다. 먼저 현재 정책 기반 탄소 배출 시나리오는 탄소중립에 이르지 못하여 더 강화된 시나리오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신규 건물을 대상으로 한 제로 에너지화 제도 기반 시나리오는 전체 탄소배출량에 큰 기여를 하지 못하며, 기존 건물 대상의 그린 리모델링 제도 기반 시나리오에서는 10년 이상 건물에 50% 이상의 높은 에너지 효율 개선을 시행해야 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전기화 시나리오에서는 화석연료와 전력의 탄소배출계수를 비교하여 적절한 에너지 전환 시점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건물 부문에서 2050년까지 탄소배출량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신축 건물의 에너지 자립율 100%, 에너지 전환 계획과 연동한 건물의 전기화, 그리고 그린리모델링을 통한 효율 개선 기준을 47% 이상 달성하는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 연구는 도전적인 온실가스 감축 마련의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탄소중립 가능성을 제시하여 실질적인 감축정책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Effect of Agitation Speed and Air Rate on Separation Efficiency in Fly Ash Flotation (플라이애시 부유선별 과정에서 교반속도와 공기주입량 변화에 따른 영향 연구)

  • Kim, Min Sik;Kang, Heon Chan
    • Resources Recycling
    • /
    • v.27 no.1
    • /
    • pp.45-54
    • /
    • 2018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echanical factors such as agitation speed and air rate in fly ash flotation. Specifically, we used thermal power plant fly ash with unburned carbon content of 3.4 to 3.7%. The effect of pH, agitation speed, collector dosage, and frother dosage - the key factors of froth flotation - showed unburned carbon recovery and unburned carbon content of 63% and 34%, respectively, when the dosage of safflower oil used as collector was 800 g/ton, pH was 7, agitation speed was 1,200 rpm, and frother dosage was 400 g/ton. The SEM/EDS analysis of fly ash in that case indicated that the spherical fly ash particles lowered the unburned carbon content as they floated with the air bubbles without being dissolved in the unburned carbon or settled in the ore solution. The other experiment of changing the mechanical factors such as agitation speed and air rate resulted in unburned carbon recovery and unburned carbon content of 74% and 67%, respectively, at air rate of 8 L/min and agitation speed of 900 rpm. The recovery and unburned carbon content increased as the low agitation speed and additional air injection decreased the strength of the eddy current in the ore solution and consequently prevented the floating of fine fly ash particles with unburned carbon. In addition, the recovery rate and unburned carbon increased further to 80% and 70%, respectively, showing the best performance when the agitation speed and air rate were lowered to 800 rpm and 6 L/min, respectively.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원뿔형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다발의 형성기전

  • Im, Seon-Taek;Kim, Go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8a
    • /
    • pp.129-129
    • /
    • 2010
  • 플라즈마 처리를 통하여 수직 합성된 다중벽 탄소나노튜브가 원뿔형 다발이 될 수 있으며 원뿔형 탄소나노튜브 다발은 기존의 구조적, 기계적 성질의 향상과 더불어 향상된 전계방출 능력을 가질 것으로 기대되어 이를 X-선원, 전계방출디스플레이(FED),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백라이트 등의 전자빔 원으로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원뿔형 탄소나노튜브 다발의 형상 제어를 통하여 전계방출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원뿔형 탄소나노튜브 다발이 생성되는 메커니즘과 조사되는 플라즈마의 역할에 대해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플라즈마 생성부와 조사부를 분리한 유도결합형 플라즈마 원을 사용하여 입사되는 이온의 에너지, 조사량, 입자 종을 독립적으로 제어하였고 이를 통하여 원뿔형 탄소나노튜브 다발이 형성되는 메커니즘과 플라즈마의 역할을 밝혀내었다. 알곤 및 수소 플라즈마 처리에서는 원뿔형 탄소나노튜브 다발이 형성되지 않았으나 질소 및 산소 플라즈마 처리에서는 원뿔형 탄소나노튜브 다발이 형성되었다. 특히 산소 플라즈마 처리가 원뿔형 탄소나노튜브 다발 형성에 효과적이었다. 원뿔형 탄소나노튜브 다발의 형성 메커니즘은 탄소나노튜브의 분극과 쉬스 전기장의 상호작용을 이용한 모델을 사용하여 설명하였다. 질소 및 산소 플라즈마 처리에서는 탄소나노튜브 끝단에 생성되는 C-N, C-O 결합에 의해 향상된 유도 쌍극자와 쉬스 전기장에 의해 탄소나노튜브 끝단이 모여 원뿔형 탄소나노튜브 다발이 생성됨을 밝혀내었다. 산소 플라즈마 처리에서 입사되는 이온의 에너지 조절에 의한 쉬스 전기장 조절과 조사량 조절을 독립적으로 수행하여 원뿔형 탄소나노튜브 다발의 직경 및 높이가 쉬스 전기장 및 조사량에 따라 조절 가능함을 보였다. 이로부터 입사되는 이온의 입자 종, 쉬스 전기장 및 조사량 조절 등의 플라즈마 인자 조절을 통하여 원뿔형 탄소나노튜브 다발의 형상 제어가 가능함을 보였다. 탄소나노튜브의 형상 제어와 더불어 세슘 입자 삽입을 통한 탄소나노튜브의 일함수 감소를 통하여 향상된 전계 방출 특성을 갖는 탄소나노튜브 팁의 제조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Analysis of Carbon Emissions According to Combustion of Tree Branch, Bark and Living Leaf in Pinus Densiflora (소나무 부위별 연소에 따른 탄소배출량 분석)

  • Park, Young-Ju;Kim, Min-Jung;Lee, Hae-P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10a
    • /
    • pp.385-38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산불발생 시 온실가스의 배출량을 추정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산림연료의 연소에 따른 탄소배출량을 분석하였다. 산림연료는 소나무를 대상으로 생엽, 가지, 수피 등 부위별로 연소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콘칼로리미터를 이용하여 일산화탄소와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분석하였다. 중량 50g의 연료 기준, 일산화탄소의 배출량은 1.8~4.0g 정도였으며,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은 49.3~84.7g 정도를 나타냈다. 부위별로 큰 차이를 나타냈는데 수피는 생엽과 가지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일산화탄소와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pecial Report - The Climatic Change Convention and Carbon Foot Print Lablel (특집 - 기후변화협약에 따른 국내 탄소라벨링 동향과 기업 대응)

  • Kim, Ik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203
    • /
    • pp.65-75
    • /
    • 2010
  • 본 원고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핵심 정책대안 중의 하나인 탄소성적표지제도에 대한 그간의 운영실적을 소개하고 인증제품의 주를 이루는 포장용기를 활용한 비내구재 제품에 대한 탄소발자국에 대한 다양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포장용기가 제품에서 차지하는 탄소발자국의 기여도에 대한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자사 제품에 대한 탄소배출량을 계산하는데 필요한 탄소배출량 계산법을 탄소성적표지 인증기준을 중심으로 사례를 들어 쉽게 설명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에코디자인을 적용한 저탄소제품 개발에 대한 우수사례를 소개함으로써 포장용기를 활용한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들에게 기업의 저탄소경영을 위한 최소한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상에서 보았듯이 이젠 우리가 생산하는 제품에 대한 탄소배출량을 줄이는 것은 선택이 아닌 살아남기 위한 필생의 전략이 되고 있다. 우리 기업만의 독자적인 저탄소경영 전략을 수립하고 탄소성적표지제도를 기업의 저탄소경영전략의 일환으로 삼아 소비자와 지속적으로 커뮤니케이션 해 나가는 것이 기업의 이미지제고와 경쟁력을 높이는데 초석이 될 거라는 것을 필자는 믿어 의심치 않는다.

  • PDF

An Analysis of Local Quantity of Carbon Absorption, Fixation and Emission by Using GIS

  • Kim, Hyeon-Tae;Moon, Byeong-Eun;Choi, Eun-Gyu;Kim, Chi-Ho;Ryou, Young-Sun;Kim, Jong-Goo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 /
    • v.22 no.1
    • /
    • pp.40-48
    • /
    • 2014
  • Due to increasing greenhouse gas emissions, global warming and abnormal weather phenomena it has become important on a national level to keep a count of greenhouse gases being emitted. We want to take advantage of any selected area, as the basic data for the calcula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Forest and Grassland, Paddy fields, and Fields(crops), Greenhouse(crops), Pig farm, Cattle farm, Farm household(populations, agricultural machinery) and Vehicle, the basic building blocks shots with a small amount of per-unit basis, the statistics calculated based on regional carbon emissions through the literature and experimental. Carbon absorption 772,960 ton C/year, amount of fixation 487,477 ton C/year, amount of emission 1,112,607 ton C/year were noted in Gimje-si, and amount of carbon absorption 55,559 ton C/year, amount of fixation 25,864 ton C/year, amount of emissions 58,355 ton C/year in Gongdeok-myeon, respectively. The carbon absorption at Hwangsan-ri is 25,107 ton C/year, fixation 4,301 ton C/year, and emission 20,330 ton C/year respectively. We were able to estimate the amount of carbon according to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each unit village, then expanding it to a large-scale and comparative analysis, therefore we were able to obtain basic data on the national levels of carbon absorption.

Calculation of Soil Carbon Changes by Administrative District with Regard to Land Cover Changes (토지피복변화에 따른 행정구역별 토양 탄소 변화량 산정)

  • Choo, Innkyo;Seong, Yeonjeong;Shiksha, Bastola;Jung, Younghun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22 no.3
    • /
    • pp.37-43
    • /
    • 2021
  • This study aimed to calculate the amount of change in soil carbon due to changes in land cover. Among the various soil carbon models, the InVEST Carbon Storage and Sequestration module was used. LULC is one of the leading factors affecting soil carbon. Therefore, this study compared the total amount of soil carbon due to changes in LULC in 2000 and 2010 across the Republic of Korea, and calculated the changes in each administrative district (city). Changes in LULC in Korea were mainly due to the increase in developed and dry areas and the decrease in grassland, indicating changes in soil carbon. The total amount of soil carbon changes in South Korea has been reduced by 11.48 (millions) in 10 years. The amount of soil carbon by administrative region decreased in most cities and provinces, but Jeju Island, in exception, showed an increase in soil carbon. Among the cities and provinces except Jeju Island, Seoul showed the smallest decrease, with a decrease of 0.033 (million t). On the contrary, the largest number of attempts to decrease was to Gyeongsangbuk-do, which saw a total decrease of 2.893 (million t). Jeju Island is the only soil carbon-increasing area with an increase of 0.547 (millions) and the agricultural area has increased 2.1 times in 10 years. In the case of soil carbon, the construction of ground observation data at the national unit is insufficient, and verification will need to be carried out through linked analysis using multiple models in the future.

Coal Gasification using Catalyst in a Fluidized Bed Reactor (유동층 반응기에서 촉매를 이용한 석탄 가스화반응 특성)

  • 이운재;김상돈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5.05a
    • /
    • pp.129-132
    • /
    • 1995
  • 상압의 유동층반응기 (0.1 m-i.d x 1.6 m-high) 에서 호주탄을 수증기와 공기를 사용하여 가스화 하였다. 또한 반응기에서 촉매효과를 고찰하기 위해 $K_2$SO$_4$+Ni(NO$_3$)$_2$ 촉매를 호주탄에 담지하여 가스화반응을 수행하였다. 생성가스조성, 생성가스량, 탄소전환율, cold gas efficiency 및 발열량 등에 대한 유동화속도 (2~5U$_{mf}$), 반응온도 (750~90$0^{\circ}C$), 공기/석탄 비 (1.6~3.2), 수증기/석탄 비 (0.63~l.26)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탄소전환율, 생성 가스량, 생성가스 발열량 및 cold gas efficiency 는 유동화속도와 반응온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공기/석탄 비가 증가함에 따라 탄소전환율과 생성가스량 및 cold gas efficiency 는 증가하지만 생성가스 발열량은 감소하였다. 수증기/석탄 비의 증가에 따라 발열량, cold gas efficiency 및 생성가스량은 증가하였으며, 탄소 전환율은 거의 일정하였다. 촉매 가스화반응에서 유동화속도, 반응온도, 공기/석탄 비 및 수증기/석탄 비의 증가에 따라 탄소 전환 율, 생성가스량, 생성가스 발열량 및 cold gas efficiency 는 크게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Valuation of Ecosystem Services through Organic Carbon Distribution and Cycling in the Quercus mongolica Forest at Mt. Worak National Park (월악산 신갈나무림의 유기탄소 분포와 순환을 통한 생태계서비스 가치평가)

  • Won, Ho-Yeon;Shin, Chang-Hwan;Mun, Hyeong-Tae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6 no.3
    • /
    • pp.315-325
    • /
    • 2014
  • Valuation of ecosystem services through organic carbon distribution and cycling in the Quercus mongolica forest at Mt. Worak national park were investigated from May 2012 through April 2013. The amount of carbon allocated to above and below ground biomass was 81.94 and 20.53 ton C/ha. Amount of organic carbon in litter layer was 6.49 ton C/ha. Amount of organic carbon within 50 soil depth was 141.23 ton C $ha^{-1}$ $50cm-depth^{-1}$. Total amount of organic carbon in this Quercus mongolica forest was estimated to 250.19 ton C $ha^{-1}$. The estimated amount of won in this Quercus mongolica forest in terms of total organic carbon was about 5.27 million won $ha^{-1}$. The amount of carbon evolved through soil respiration was 7.31 ton C $ha^{-1}yr^{-1}$. The amount of carbon evolved through microbial respiration and root respiration was 3.58 and 3.73 ton C $ha^{-1}yr^{-1}$, respectively. The amount of organic carbon absorbed from the atmosphere of this Quercus mongolica forest was 1.61 ton C $ha^{-1}yr^{-1}$ when estimated from the difference between net primary production and microbial respiration. This amount will come to about 33,000 won $ha^{-1}yr^{-1}$ in Korean currency.

Valuation of Ecosystem Services through Organic Carbon Distribution and Cycling in the Pinus densiflora Forest in Mt. Worak National Park (월악산 소나무림의 유기탄소 분포와 순환을 통한 생태계서비스 가치평가)

  • Won, Ho-Yeon;Lee, Young-Sang;Mun, Hyeong-Tae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7 no.4
    • /
    • pp.332-338
    • /
    • 2015
  • Valuation of ecosystem services through organic carbon distribution and cycling in the Pinus densiflora forest at Mt. Worak National Park were investigated from January 2013 through December 2013. The amount of carbon allocated to above and below ground biomass was 32.17 and 8.04 ton C $ha^{-1}$. Amount of organic carbon in litter layer was 5.55 ton C $ha^{-1}$. Amount of organic carbon within 50cm soil depth was 58.62 ton C $ha^{-1}$ 50cm-$depth^{-1}$. Total amount of organic carbon in this Pinus densiflora forest was estimated to 104.38 ton C $ha^{-1}$. The estimated amount of won in this Pinus densiflora forest in terms of total organic carbon was about 10.44 million won $ha^{-1}$. The amount of carbon evolved through soil respiration was 4.44 ton C $ha^{-1}yr^{-1}$. The amount of carbon evolved through microbial respiration and root respiration was 2.18 and 2.27 ton C $ha^{-1}yr^{-1}$, respectively. The amount of organic carbon absorbed from the atmosphere of this Pinus densiflora forest was 0.44 ton C $ha^{-1}yr^{-1}$ when estimated from the difference between net primary production and microbial respiration. This amount will come to about 44,000 won $ha^{-1}$ in Korean curre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