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타액선 종양

Search Result 95,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타액선 종양

  • Park, Tae-Won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24 no.12 s.211
    • /
    • pp.990-990
    • /
    • 1986
  • PDF

Major Salivary Glands Tumors:A 10-Year Experience (주 타액선 종양에 대한 10년 간의 경험)

  • Kong, Il-Gyu;Chang, Dong-Yeop;Jung, Eun-Jung;Jung, Young-Ho;Hah, J.Hun;Sung, Myung-Whun;Kim, Kwang-Hyun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 /
    • v.22 no.2
    • /
    • pp.142-146
    • /
    • 2006
  • Background and Objectives : This study reports our clinicopathological experiences of major salivary gland tumors. Materials and Methods : This study included 302 patients with major salivary gland tumors who had got the diagnosis from January 1995 through December 2004. Medical record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Results : We found 244 benign and 58 malignant major salivary gland tumors. Among 267 parotid tumors, the most common benign parotid tumor was pleomorphic adenoma. Mucoepidermoid carcinoma, adenoid cystic carcinoma, and acinic cell carcinoma were three most common parotid malignancies. Among 33 submandibular gland tumors, 20 cases were benign and 13 were malignant. There were one benign and one malignant sublingual gland tumors. The duration of symptom of submandibular gland tumors was longer than that of parotid tumors. Most patients presented with asymptomatic mass. Seventy-one percent of salivary gland malignancies underwent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Five-year disease free survival rate of parotid malignant tumors seemed to be higher than that of submandibular one, although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 : Malignancy rate of each salivary gland followed old axiom that it is inversely related with the size of gland. Submandibular gland tumor tends to be delayed to reach diagnosis. Clinicians must be alert about this finding because submandibular gland tumors are known to have poorer prognosis than parotid tumors.

Predictors of Distant Metastasis in Adenoid Cystic Cancer of Salivary Gland (타액선 선양낭성암종의 원격 전이 예측인자에 관한 연구)

  • Kim, Kang Woo;Kim, Yeon Soo;Oh, Kyoung Ho;Park, Min Woo;Cho, Jae-Gu;Baek, Seung-Kuk;Woo, Jeong-Soo;Jung, Kwang-Yoon;Kwon, Soon Young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 /
    • v.30 no.1
    • /
    • pp.1-4
    • /
    • 2014
  • 배경 및 목적 타액선 선양낭성암종은 느린 성장 속도와 늦은 원격 전이를 특징으로 하는 드문 상피성종양이다. 본 연구는 다양한 임상 병리학적 변수를 통해 선양낭성암종의 원격 전이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10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본원 이비인후과에서 타액선 선양낭성암종으로 진단되어 치료 받은 44명(남자 19명, 여자 25명)을 대상으로 원격전이를 유발하는 위험 인자를 조사하였다. 8명의 환자는 배제 기준에 따라 제외하였다. 환자의 평균 연령은 54세였다. 환자의 병리 보고서, 종양의 크기, T 병기, 수술 절제연의 종양 존재 유무, 신경 조직 침습, 림프절 전이가 조사되었다. 결 과 15명의 환자가 원격전이가 있었으며 21명은 원격 전이가 없었다. 원격 전이를 유발할 수 있는 여러 인자들을 비교하였을 때, 원격 전이는 수술 절제연의 종양 세포 잔존(p=0.014), 종양의 크기(p=0.038), 진행된 T 병기(p=0.024)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연관성이 있었다. 림프절 전이와 신경 조직 침습은 원격 전이와 연관이 없었다. 결 론 종양의 크기, 진행된 T 병기, 수술 후 절제연의 종양 세포 잔존은 원격 전이의 예측 인자로 생각된다. 따라서 이에 해당하는 환자의 경우 더욱 철저한 관리 및 경과 관찰을 요한다.

소타액선 종양

  • Park Yun-Yeong;Sim Yun-Sang;O Gyeong-Gyun;Lee Yong-Sik;Kim Seung-Tae
    • 대한두경부종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1997.11a
    • /
    • pp.297.2-297.2
    • /
    • 1997
  • PDF

소타액선종양의 치료

  • Tae Gyeong;Ji Yong-Bae;Park In-Beom;Seo In-Seok;Lee Hyeong-Seok
    • 대한두경부종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11a
    • /
    • pp.253-253
    • /
    • 2004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