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큐레이터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3초

CFD를 이용한 플록큐레이터 회전방향에 따른 플록형성지 유동 평가 (Evaluation of the Effect of Flocculator Rotation Direction in Floccualation Basin on Hydrodynamic Behavior using CFD)

  • 조영만;유수전;노재순;김택준;김창원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364-370
    • /
    • 2009
  • 정수처리공정에서 안정적인 탁도 관리가 날이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다. 따라서 침전 효율 향상을 위한 플록형성 공정의 최적화는 매우 중요하다. 우리는 전산유체역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플록큐레이터의 회전방향(시계방향, 반시계방향)에 따른 플록 형성지 내 유동특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플록큐레이터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는 플록큐레이터 회전방향과 수류 흐름이 일치하는 수표면 쪽에서 유동이 강해지고 유출량의 분산 및 표준편차는 각각 8.5, 2.9로 나타났다. 반면에 플록큐레이터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는 플록큐레이터 회전방향과 수류 흐름이 일치하는 바닥 쪽에서 유동이 강해지고 유출량의 분산 및 표준편차는 각각 5.3, 2.3으로 나타났다. 또한 플록형성지 유출량은 1,2단 플록큐레이터 회전방향보다는 3단 플록큐레이터의 회전방향에 의해 주로 영향을 받으며 3단 플록큐레이터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보다 유출량의 편차가 적기 때문에 침전지의 균등한 흐름을 위해 유리하다.

관광지 교육을 위한 교육용 챗봇 큐레이터 (Study on Curator of Tourist Attractions using Chatbot)

  • 박종현;김임여름;류기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303-308
    • /
    • 2022
  • 챗봇은 문자나 음성을 통해 사람과 가능한 응답형 채팅 프로그램으로 스마트폰에 탑재된 'Siri'나 'Bixby'도 챗봇 시스템을 활용한 대표적인 인공지능이다. 챗봇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자 관광 외식 업계에서도 주목하기 시작했다. 머신러닝 기술이 발달하면서 보다 유연한 대화를 구사할 수 있게 되었고, 곧 교육의 영역까지 확대되었다. 이용자는 챗봇과의 대화를 통해 상호작용을 하게 되는데, 활발한 상호작용은 이용자의 욕구를 자극함과 동시에 학습동기 등의 긍정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챗봇을 활용한 추천 시스템 프로그램들은 이용자의 선호도에 맞춰 상품을 추천해줌은 물론 다양한 부가 정보까지 제공한다. 본 연구는 챗봇 시스템과 관광서비스를 접목시킨 프로그램을 기획하였다. 챗봇 큐레이터는 이용자에게 학습을 통해 흥미와 호기심을 유도하고, 비로소 관광 욕구를 촉진시는 형태로 발전할 것이다. 본 연구를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기초 기반를 다지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관광지 교육을 위한 교육용 챗봇 큐레이터 (Study on Curator of Tourist Attractions using Chatbot)

  • 박종현;김임여름;류기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843-848
    • /
    • 2022
  • 챗봇은 문자나 음성을 통해 사람과 가능한 응답형 채팅 프로그램으로 스마트폰에 탑재된 'Siri'나 'Bixby'도 챗봇 시스템을 활용한 대표적인 인공지능이다. 챗봇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자 관광 외식 업계에서도 주목하기 시작했다. 머신러닝 기술이 발달하면서 보다 유연한 대화를 구사할 수 있게 되었고, 곧 교육의 영역까지 확대되었다. 이용자는 챗봇과의 대화를 통해 상호작용을 하게 되는데, 활발한 상호작용은 이용자의 욕구를 자극함과 동시에 학습동기 등의 긍정적인 영향을 주게 된다. 챗봇을 활용한 추천 시스템 프로그램들은 이용자의 선호도에 맞춰 상품을 추천해줌은 물론 다양한 부가 정보까지 제공한다. 본 연구는 챗봇 시스템과 관광서비스를 접목시킨 프로그램을 기획하였다. 챗봇 큐레이터는 이용자에게 학습을 통해 흥미와 호기심을 유도하고, 비로소 관광 욕구를 촉진시는 형태로 발전할 것이다. 본 연구를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기초 기반를 다지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상 현실 갤러리의 현실감 증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ality Improving of a Virtual Reality Gallery)

  • 박길철;박세근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4권4호
    • /
    • pp.94-99
    • /
    • 1999
  • 가상 현실 기술은 사용자가 현실과 유사한 방법으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방법이다. 가상 현실기술은 인간의 오감을 이용한 사실적인 환경을 제공하고 인터넷 환경에서 사용자는 가상 현실 공간을 공유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가상 공간을 이용하여 갤러리를 모의 구현하고 갤러리 정보영역에 미술작품의 내용을 음성 데이터베이스로 구성한다. 외부의 사용자는 대리인(avatar)을 통하여 가상현실갤러리에서 미술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본 논문은 감상자가 미술작품에 근접했을 경우 감상의 질을 높히기 위하여 해상도를 높히고, 큐레이터(curator)를 도입하여 미술작품 감상시 작품의 정보를 음성과 문자 메시지를 출력함으로서 상호 작용성을 높혀 사용자에게 현장감을 증대할 수 있다.

  • PDF

데이터 큐레이터의 핵심 직무 요건 고찰에 관한 연구 (An Investigation on Core Competencies of Data Curator)

  • 이유경;정은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29-150
    • /
    • 2015
  • 디지털 정보기술과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데이터는 여러 학문과 사회 분야에서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고 의사결정과 정책을 수립하는 데 있어서 중요하다. 따라서 대규모의 데이터를 축적하고 관리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데이터 큐레이터는 데이터 관리의 효율성과 활용성을 높이는데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본 연구는 데이터 큐레이터의 핵심 직무 요건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두 종류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첫째는 2011년부터 2014년까지 총 255건의 국외 데이터 큐레이터 구인 공고를 수집하였으며, 둘째는 국내 데이터 관리 실무자 5명과의 심층면담을 실시했다. 수집된 두 가지 데이터는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7가지 핵심 직무 요건을 바탕으로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데이터 분석 결과 데이터 큐레이터의 핵심 직무 요건을 4가지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 데이터 큐레이터의 핵심 직무 요건은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 직무 수행을 위해 이해관계자와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어야 하며, 이와 함께 정보기술 지식을 기반으로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할 역량이 필요하다. 또한 데이터 관리 지식 및 전략을 이해하고 마지막으로 데이터 관리 이용자 교육 및 데이터 관련 서비스와 도구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통해 데이터 관리에 있어 4가지 범주로 구분되는 다양한 측면의 요건이 요구되고 있음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위한 데이터 관리에 대한 통합된 전문적인 교육과정의 필요성을 제안했다.

대학도서관 서비스의 디지털 큐레이션 전략 (Digital Curation Strategy for University Library Service)

  • 안영희;박옥화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11-326
    • /
    • 2009
  • 본 연구는 디지털 정보자원의 발전에 따른 보존, 아카이빙, 디지털 큐레이션에 대한 개념을 파악하고, 디지털 큐레이션의 국내 외 사례와 디지털 정보자원의 생명주기 정보처리를 기반으로 대학 도서관에서의 디지털 큐레이션의 역할 및 전략에 대해 제시하고자 하였다. 생명주기를 기반으로 한 생산자, 큐레이터, 이용자의 디지털 큐레이션 관계 모형을 근간으로 하여, 기관 레포지터리인 대학도서관의 디지털 자원에 대한 보존 및 큐레이션 모형을 설계하였다. 그 결과, 대학 간 협력체제와 자원공유에 기초가 되는 디지털 큐레이션 체제를 수립하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 PDF

국외 기록관리 전문직 유형 및 역할 분석 연구 (A Study on Analysis of Types and Roles of Records Management & Archives Professionals Abroad)

  • 김희정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29-14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기록관리 전문직의 다양한 유형 및 역할 범주에 대한 연구 조사를 수행하였다. 국외 주요관련기관 및 전문직에 관한 선행 연구를 중심으로 내용을 파악하였으며, 파악된 내용을 중심으로 주요 항목들에 관한 내용 분석을 수행하였다. 수행 결과, 기록관리 전문직 유형은 기록물, 이용자, 기관운영과 관련하여 서로 다른 업무영역들이 특화되어 있음을 파악하였고, 이는 다시 기록관을 중심으로 한 대내적인 역할 영역과 기록관과 유관기관들을 중심으로 한 대외적인 역할 영역으로 구분하여 분석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 기록관리 전문직의 역할영역에는 기록물을 중심으로 한 기본적인 직무 역할 이외의 지식관리, 디지털자산관리 등의 다각적인 기능 확장 및 기록관과 상호작용을 하는 다양한 기관 조직과 원활한 파트너십을 수행할 수 있는 경영능력도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다.

바이오메디컬 데이터베이스 및 텍스트마이닝 기술의 비교 분석 및 전망 (Comparative analysis of Biomedical Databases and Text mining Technologies)

  • 조태원;이규범;강재우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89-192
    • /
    • 2010
  • 분자 생물학을 통한 연구가 심화되면서, 생물학 정보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그에 따라 바이오메디컬(생물학, 의학) 관련 논문들의 출판 및 등록 건수도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바이오메디컬 문서들에서 유용한 정보를 추출하는 기술은 이러한 분야의 전문가 큐레이터(curator)에 의존한 경우가 많아서, 그 작업의 속도와 양적인 면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바이오메디컬 문서를 기계학습을 통하여 분석하는 기법이 도입되기 시작하였다. 아직까지는 기계학습을 이용하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가 소수에 불과하지만,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현 추이를 분석하고 향후의 추세를 예측하고자 텍스트마이닝 기술이 생물학과 의학 분야에서 어떻게 사용되며, 그 정보들이 어떻게 관리되는지 연구, 조사 하게 되었다. 현재 바이오메디컬 관련 데이터베이스들이 여러 기관 및 단체에 의해 구축 및 관리되고 있으며, 국가적인 프로젝트로서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들을 통합하는 과정을 진행하고 있다. 이처럼 국가기관의 주도하에 데이터베이스를 통합하여 관리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어, 앞으로는 바이오메디컬 자료들을 검색하기가 보다 용이해질 것으로 생각된다.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하여 바이오메디컬 정보들을 추출하는 기술은 초기에는 공동 발생(co-occurence)과 같이 단순한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였지만, 최근에는 다른 문서에서 추출된 정보와 기존의 정보들을 연계하여 새로운 정보를 추출해 내는 기법이 확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