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콩 이소플라본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32초

작두콩 첨가 된장과 일반 된장의 생리활성 특성 비교 (Comparison of Biological Activity Between Soybean Pastes Adding Sword Bean and General Soybean Pastes)

  • 이학태;김종호;이상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94-101
    • /
    • 2009
  • 작두콩 첨가 된장의 생리활성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재래 된장에 8.0% 작두콩을 첨가한 된장과 쌀된장에 6.5% 작두콩을 첨가한 된장 등 총 2종을 실험구로 하고, 재래된장 및 쌀된장 그리고 시중에서 유통되는 일반 된장 6종 등 8종을 대조구로 하여 전자공여작용, 총 페놀화합물 함량, 이소플라본 함량, ACE 활성저해 효과, tyrosinase 활성저해 효과를 살펴보았다. 전자공여능의 경우, 전체적으로 $23.6{\pm}3.0{\sim}88.3{\pm}0.7%$의 분포를 나타냈으며, 작두콩 첨가 된장인 J2, J4가 각각 $81.5{\pm}2.2%$, $88.3{\pm}0.7%$로 다른 대조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총 페놀 화합물 함량은 전체 시료가 $928.5{\pm}1.4{\sim}1785.7{\pm}3.9\;mg/kg$의 분포를 나타냈고, J2와 J4가 각각 $1773.8{\pm}2.9\;mg/kg$, $1785.7{\pm}3.6\;mg/kg$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그리고 ACE 활성저해 효과도 전체적으로 $32.7{\pm}3.3{\sim}63.1{\pm}1.0%$의 분포를 보였으며, 작두콩 첨가 된장인 J2, J4가 각각 $63.1{\pm}1.0%$, $62.1{\pm}1.4%$로 대조구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소플라본 함량은 배당체인 daidzin 이나 genistin 보다 aglycone 형태인 daidzein과 genistein의 함량이 높게 검출되었으며, tyrosinase 활성저해 효과는 전체 시료가 $40.4 {\pm}1.2{\sim}61.7{\pm}2.0%$의 분포로 나타났으나, 이소플라본 함량과 tyrosinase 활성저해 효과의 경우, 작두콩 첨가 된장과 다른 대조구 사이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시료간 콩 함량에 따라 전자공여능, 총 페놀화합물 함량 등의 결과에 관련성을 나타내지는 않았다. 작두콩 첨가 된장의 경우 전자공여능 및 총 페놀화합물 함량이 다른 시료에 비해 높았고 항산화능과 ACE활성저해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고혈압과 동맥 경화 등의 성인병 예방에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Raffinose와 stachyose 함량이 낮은 콩과 두부의 품질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w Raffinose and Stachyose (LRS) Soybean Cultivars and their Tofu)

  • 이수정;호문사;정종일;정보영;성낙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1호
    • /
    • pp.1299-1307
    • /
    • 2017
  • LOX-1,2,3 결핍과 비소화성 당류인 raffinose와 stachyose 함량이 낮은 품종(LRS)인 진양콩, 하영콩 및 대복콩을 원료로 하여 제조한 두부의 품질특성을 태광콩 두부와 비교하였다. 태광콩과 하영콩의 백립중은 여타 시료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조단백질 함량은 태광콩에 비해 진양콩 및 하영콩에서 유의적으로 많았다. 두부의 수율은 태광콩, 하영콩 및 대복콩으로 만든 두부가 비슷한 수준이었다. 두부의 경도는 태광콩 및 대복콩으로 만든 두부가 가장 낮았으며, 하영콩으로 만든 두부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콩 및 두부의 이소플라본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LRS 콩은 약 1.4~1.6배, 두부는 약 1.8~3.4배 높은 함량이었다. 콩의 총 페놀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하영콩 및 대복콩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두부의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하영콩 및 대복콩으로 만든 두부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콩의 항산화 활성은 태광콩이 LRS 콩에 비해 높은 활성이었으나, 두부에서는 하영콩 및 대복콩으모 만든 두부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따라서 LRS 콩은 두부 제조에 적합하나 특히 하영콩이 콩의 단백질, 이소플라본 함량 및 두부의 항산화 활성 측면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포커스 - 신화를 만들어 낸 작물과학원

  • 대한두채협회
    • 물만먹고자라요
    • /
    • 제20호
    • /
    • pp.9-12
    • /
    • 2008
  • 국내 기술로 새로 육성된 <신화콩>은 풍산나물콩보다 11% 이상 더 수확할 수 있으며, 건강 기능성 물질로 알려진 아이소플라본 함량 역시 풍산나물콩에 비하여 24%가 높은 $3,590{\mu}/g$으로 소비자의 건강 기능성 향상 효과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생물전환 콩 배아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화장품의 효능 연구 (Physiological activity and efficacy of cosmetic products in bio-converted soybean embryo extract)

  • 민경남;이건희;박성진;최태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211-220
    • /
    • 2019
  • 생물전환한 콩 배아추출물을 미용학적 측면에서의 생리활성을 연구하고 이를 함유한 수면 팩이 피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Pectinase로 생물전환 한 콩 배아추출물을 HPLC로 비배당체 이소플라본을 확인하였고, in vitro 실험한 결과 무독성, 항염증, 항멜라닌, 항노화의 활성이 나타났다. 이후 이를 함유한 수면 팩을 제조하여 4주간 인체적용시험한 결과 저자극으로 피부의 거칠기, 눈가 주름을 유의미하게 개선하여 생물전환 콩 배아추출물을 함유한 수면팩은 피부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생물전환 콩 배아추출물은 피부의 생리 활성을 증진시키는 효능이 있고 다양한 제형의 화장품 소재로 활용 가치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바와 비당체 이소플라본이 증가된 Lactobacillus brevis 발효 콩-분말 두유의 생리활성 증진 효과 (Enhanced biological effect of fermented soy-powder milk with Lactobacillus brevis increasing in γ-aminobutyric acid and isoflavone aglycone contents)

  • 황정은;김수철;이진환;홍수영;조계만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1권3호
    • /
    • pp.245-255
    • /
    • 2018
  • 본 연구는 Lactobacillus brevis 균주들을 이용하여 제조된 발효콩-분말 두유(fermented soy-power milk, FSPM)의 기능성물질 함량(GABA 및 isoflavone)과 항산화 활성 및 소화효소 저해활성을 비교 측정하였다. 김치로부터 가바 생성 유산균 10종을 분리하였고 16S rRNA 유전 분석 결과 L. brevis와 96-99%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GABA 전환율은 MSG, 활성 글루텐과 콩 단백질에서 각각 66.96-93.51%, 63.76-84.58%과 57.05-69.75% 있었다. FSPM은 콩-분말 두유(SPM)보다 pH와 GA 함량은 낮았으나, 산도와 GABA 함량은 높았다. BMK484 균주 FSPM의 GABA 전환율은 69.97%로 가장 우수하였다. 한편, SPM은 배당체 이소플라본의 함량($1290.93{\mu}g/g$)이 높았으나, FSPM는 비당체 이소플라본의 함량($287.27-501.9{\mu}g/g$)이 높았다. BMK484 균주 FSPM의 경우 비당체 이소플라본인 daidzein, glycitein과 genistein 함량이 각각 240.2, 61.24과 $200.45{\mu}g/g$으로 가장 높았다. BMK484 균주 FSPM의 DPPH, ABTS와 hydroxyl 라디칼 소거활성 및 ${\alpha}-glucosidase$와 pancreatic lipase 저해활성은 각 60.31, 88.10와 61.25 및 52.71와 39.37%로 비교적 우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L. brevis들은 발효 콩-분말 두유에서 GABA 및 비당체 이소플라본을 동시에 강화할 수 있는 소재로서 사용될 수 있다.

Aspergillus oryzae 또는 Bacillus natto 발효콩의 Isoflavone 함량과 생리활성 (Isoflavones Cont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Soybeans Fermented with Aspergillus oryzae or Bacillus natto)

  • 정우열;김성기;손종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41-14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Asp. oryzae 및 B. natto로 각각 발효시킨 콩의 이소플라본의 함량변화, 생리활성에 대하여 비교, 조사하였다. 총 이소플라본 함량은 비발효콩이 81.80 mg/100 g, Asp. oryzae 발효콩이 130.70 mg/100 g, B. natto 발효콩이 139.50 mg/100 g이었다. 비발효콩, Asp. oryzae 발효콩 및 B. natto 발효콩의 총 페놀 함량은 각각 2.1, 4.3 및 7.6%이었고, 아질산염소거능은 각각 34.2, 55.2 및 92.5%로 측정되었다. 항균효과의 경우, B. natto 발효콩은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와 Escherichia coli에서 가장 강한 항균효과가 나타났다. Asp. oryzae 발효콩은 Staphylococcus aureus와 Salmonella Enteritidis에서 항균효과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B. natto 발효콩의 항균성이 강하였다. SOD 유사활성은 Asp. oryzae 발효콩에서 가장 강했던 반면, 전자공여능에서는 B. natto 발효콩에서 가장 강한 radical 소거능이 측정되었다. 리놀레산 기질에 대한 Asp. oryzae 발효콩의 항산화 효과는 비발효콩이나 B. natto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서울 거주 성인 남자의 대두식품 및 이소플라본 섭취와 각종 건강지표와의 관련성 분석 (Relation between Health Examination Outcome and Intake of Soy Food and Isoflavone among Adult Male in Seoul)

  • 이민준;손춘영;김지향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1권3호
    • /
    • pp.254-263
    • /
    • 2008
  • 본 연구에서 이소플라본의 섭취가 만성질환의 예방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조사대상자를 이소플라본 섭취수준에 따라 세 그룹 (적게, 보통, 많이)으로 분류하여 각종 만성질환과 관련된 건장지표들의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인 성인 남자들의 평균 연령은 49세였고 헤모글로빈, 헤미토크리트, MCH 및 혈중 칼슘과 인의 평균 농도는 정상범위 내에 있었으며 혈당과 당화혈색소,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혈청 PSA 농도도 모두 정상범위에 들어있었다. 그러나 LDL-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은 기준을 약간 상회하는 수준이었다. 2) 조사대상자의 식이섭취상태를 간이조사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평균 에너지 섭취량은 1,967 kcal로 권장량에 미치지 못하였으나 그 밖의 단백빌, 칼슘, 인, 철분, 비타민 A, 티아민, 리보플라빈, 니아신, 비타민 C 등은 섭취기준을 상회하였다. 3) 조사대상자들의 하루 평균 이소플라본 섭취수준은 25.10 mg이었다. 이소플라본의 섭취분포를 살펴보면, 조사대상자의 1/4은 하루 이소플라본의 섭취수준이 12 mg 이하 수준이었으며, 중간 값은 20.77 mg이었고, 10%의 조사대상자는 하루 50mg 수준 이상의 이소플라본을 식사로부터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이소플라본 섭취수준과 유의적인 관련성을 보여준 변수는 체지방율로, 이소플라본을 많이 섭취하는 사람들의 체지방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룹별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이소플라본 섭취수준이 높은 사람들의 BMI와 허리-엉덩이 둘레의 비(WHR), 중성지방의 수준이 더 낮은 경향을 보여주었으며, HDL-콜레스테롤 수준이 높고, 골밀도 수치도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 고혈압${\cdot}$당뇨${\cdot}$고지혈증${\cdot}$골조소증${\cdot}$비만 등 건강문제를 갖고 있는 집단과 정상 집단으로 분류하여 집단 별 이소플라본의 평균 섭취수준을 비교한 결과, 혈중 중성지방 수준이 높은 집단, 복부비만을 나타내는 집단, 체지방률이 높은 집단의 경우 정상 집단에 비해 이소플라본 섭취수준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6) 각종 만성질환 관련 지수와 이소플라본 섭취수준 및 각 급원식품의 섭취빈도 간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두부와 된장의 섭취빈도는 혈압과 음의 상관관계를, 콩국은 HDL-콜레스테롤과 양의 상관관계, 두유 및 이소플라본의 섭취수준은 혈청 중성지방과 음의 상관관계, 콩나물과 땅콩의 섭취빈도는 골밀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7) 콩의 섭취빈도가 높고 이소플라본 섭취수준이 높을수록 BMI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육량은 두유와 콩국의 섭취빈도 및 이소플라본 섭취수준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체지방율은 된장, 청국장, 콩의 섭취빈도와 이소플라본 섭취수준과 음의 상관관계를, 엉덩이-허리둘레 비율은 된장의 섭취빈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암조건에서 발아시킨 은하콩의 발아특성 및 아이소플라본 함량 변화 (Changes in Isoflavones an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Eunhakong (Glycine max) by Germinated under Dark Condition)

  • 최원석;최선정;최웅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318-32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암조건에서 은하콩의 발아시 발아 특성과 색도 변화 및 아이소플라본 함량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발아수율은 발아 시간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수율도 높아져서 발아 60시간째에는 $299.7{\pm}15.0%$를 나타내었다. 건조 중량은 발아가 진행됨에 따라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발아 60시간째에는 $65.8{\pm}8.2%$를 나타내었다. 뿌리길이는 발아 초기에서 보다는 발아 후기에 급격한 증가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부분의 콩은 발아 60시간 후에는 발아가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L값은 발아 12시간째에 비교적 높은 폭으로 증가하였으며, 발아 60시간째에 $63.4{\pm}0.7$까지 상승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값은 $-2.6{\pm}0.3$으로 나타났으며, 발아 초기에 a값은 급격히 증가하였다가 이후 감소하는 패턴을 보였다. 수침한 콩의 b값은 발아 12시간째에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가 그 이후는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은하콩의 총 아이소플라본 함량은 발아 12시간째에 급격히 증가한 후 감소하였으며, 48시간까지는 발아시키지 않은 콩에 비해서는 높은 함량을 유지하였다. 함량별로는 m-genistin > daidzin > m-daizin > genistein의 순이었다.

서울 거주 성인 여성의 대두 이소플라본 섭취와 건강과의 관련성 (Relation between Health Status and Intake of Soy Isoflavone among Adult Women in Seoul)

  • 이민준;손춘영;박옥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18-230
    • /
    • 2010
  • 본 연구는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대사증후군 및 골다공증 등의 질병이 증가하는 폐경을 기준으로 구분하여 이소플라본 섭취 수준을 조사하고, 이소플라본 섭취 수준에 따른 각종 만성질환과 관련된 건강지표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1. 본 연구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49.97세이며, 폐경 전 대상자는 45.14세, 폐경 후 대상자는 55.99세였다. 폐경 전 대상자에 비해 폐경 후 대상자는 평균 체질량지수(p<0.01), 허리-엉덩이둘레 비율(p<0.001), 체지방율(p<0.001), 수축기 혈압(p<0.001), 혈당 및 혈중 지질 수준(p<0.05)이 유의적인 차이로 높았고, 골반 및 척추의 골밀도는 유의적언 차이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폐경 후 대상자의 경우 폐경 전 대상자와 비교할 때 빈혈 위험 집단으로 분류된 비율은 낮았으나, 비만 고혈압 고지혈증 골다공증 등 각종 만성질환과 관련된 건강 위험자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폐경 전 후 조사 대상자의 각 대두식품/음식의 섭취 빈도는 유사한 양상을 나타냈다. 폐경 전 대상자는 47.1%, 폐경 후 대상자는 42.7%가 매일 조림 볶음 콩밥 등의 형태로 콩을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부와 된장의 경우 1주일에 1회, 2회, 3~4회 섭취 빈도가 모두 20% 이상으로 나타나 콩, 두부, 된장이 이소플라본의 주요 공급원임을 알 수 있다. 3. 조사 대상자의 하루 이소플라본 평균 섭취 수준은 28.48 mg이었으며, 폐경 전 대상자는 25.48 mg, 폐경 후 대상자는 32.25 mg으로 폐경 후 대상자의 하루 이소플라본 섭취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소플라본 섭취 수준의 분포는 폐경 전 대상자는 3.29~78.36 mg(중간값 24.19 mg), 폐경 후 대상자는 3.18~116.59 mg(중간값 25.94 mg)으로 개인 간의 섭취 수준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4. 폐경 전 대상자의 이소플라본 평균 섭취 수준은 low, middle, high 집단이 각각 8.2 mg, 24.8 mg, 47.5 mg이었다. 이소플라본 섭취 수준이 높을수록 체질량지수와 수축기 혈압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집단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헤마토크리트는 이소플라본이 가장 낮은 섭취군과 가장 높은 섭취군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이소플라본 섭취 수준이 높을수록 수치가 낮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폐경 후 대상자는 low, middle, high 집단 각각의 이소플라본 평균 섭취 수준이 8.6 mg, 24.6 mg, 63.6 mg 이었으며, 이소플라본 섭취 수준이 높을수록 초경 연령은 낮고, 폐경 연령은 높은 경향을 보여 주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체질량지수와 허리-엉덩이 비율은 섭취 수준이 가장 낮은 집단이 중간 섭취 집단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체지방율은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이소플라본 섭취 수준이 낮은 집단에서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외에도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이소플라본 섭취 수준이 가장 낮은 집단에 비해 중간 이상 섭취하는 집단에서 수축기 혈압, 총 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 그리고 중성지방 모두 더 낮은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횡단적 관찰 연구이므로 각종 만성질환의 위험을 나타내는 건강지표들과 태두 이소플라본의 섭취 간에 인과관계를 밝힐 수는 없었으나, 대사증후군 및 골다공증 등의 질병이 증가하는 폐경 후 여성에서 대두 이소플라본 섭취와 비만 고지혈증 고혈압 등 건강문제와의 관련 가능성을 미약하게나마 보여준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만으로 대두 이소플라본의 적정 섭취 기준을 제시할 수 없으나 조사대상자의 이소플라본 섭취 분포에 따라 4분위로 나누었을 때 최하위군에 속하는 하루 15 mg 이하를 섭취하는 경우 그 이상 섭취하는 사람들에 비해 여러 질병 위험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 및 선행 연구 결과들에서 나타난 한국인의 일상적인 식생활을 통한 이소플라본 하루 평균 섭취 수준은 20~35 mg 수준으로 나타난 바 있으므로, 다양한 대두식품을 통해 하루 15~35 mg 이상의 이소플라본 섭취는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앞으로 종단적 영양 역학 연구와 설험 연구를 통해 대두 이소플라본 섭취와 만성질환 간의 인과 관계를 규명하고, 만성질환 예방과 치료를 위해, 폐경 여성에서 호르몬 대체 요법을 위해 대두식품 및 이소플라본의 적정 섭취 수준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가 다각도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