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콘크리트 방호울타리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5초

S2급 교량용 방호울타리의 성능비교 연구 (F형 콘크리트와 철재 교량용 방호울타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erformance Comparison of S2 type Bridge Rails)

  • 정봉조;주재웅;이성관;장명순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17-124
    • /
    • 2002
  • 새로 개발한 철재 교량용 방호울타리는 기존 시설에 비해 충격흡수기능과 조망권 확보, 융설작업,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설계되었다. 본 연구는 새로 개발한 철재 교량용 방호울타리를 건설교통부의 $\ulcorner$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 - 교량용 방호울타리 편. 1999$\lrcorner$ 의 설계기준에 따라 기존 고속도로에 사용하고 있는 F형 콘크리트 교량용 방호울타리와 성능비교를 통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비교평가는 S2급 교량용 방호울타리의 시험기준으로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소형승용차를 대상으로 한 운전자의 안전도 평가에서는 두가지 시설 모두 강도성능, 충돌 후 차량 안전성능 구성 부재 비산 억제 성능 등 세 가지 기준을 만족하였으나, 가속도 기준에 있어서는 철재 교량용 방호울타리는 기준인 20g 이하인 18.2605g로 나타나 안전기준을 만족하였고, F형 콘크리트 교량용 방호울타리는 20.1791g로 나타나 기준을 약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안전기준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둘째. 대형차량을 대상으로 한 방호울타리의 구조적 안정성 평가에 있어서는 F형과 철재 교량용 방호울타리 모두 평가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새로 개발한 철재 교량용 방호울타리는 국내 최초로 모의충돌시험과 실물차량 충돌시험을 통해 개발하였다는 의의를 가지고 있으며 성능측면에서도 기존의 시설에 비해 충분히 안전하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그러나 측정시설의 미비로 충돌후의 차량의 이탈속도나 이탈각도에 대하여 만족할 만한 수준의 결과를 제시하지는 못하였다.

충격완화형 철재 중앙분리대의 개발

  • 유경수;윤태양
    • 전산구조공학
    • /
    • 제10권4호
    • /
    • pp.12-21
    • /
    • 1997
  • 차량충돌에 대하여 운전자의 안전확보를 위하여 새로 개발한 철재 중앙분리대에 대한 안전성 분석을 위하여 인체모형을 탑재한 실물차량 충돌실험을 실시하였다. 인체모형의 두부와 흉부, 대퇴부 및 차량의 무게중심점에서 가속도와 충격하중을 계측하여 철재 중앙분리대 방호울타리에 차량충돌시 운전자의 안전성을 검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철재 중앙분리대 방호울타리는 콘크리트 중앙분리대 방호울타리에 비해 운전자의 신체 상해치와 차량파괴 등에 있어서 뛰어난 충격흡수성능을 보여주었다. 2) 철재 중앙분리대 방호울타리는 콘크리트 중앙분리대 방호울타리의 경우 빈번히 발생하는 차량전복과 같은 2차사고의 유발 가능성이 전혀 없는 구조적 안정성을 보여주었다. 3) 경량의 차량충돌에 대하여 자체 탄성영역내에서 충격을 흡수하여 유지보수 측면에서 유리함을 나타냈다. 4) 충돌 수 충돌차량에 대한 차량유도성능이 뛰어났으며, 차량의 충돌후 이탈각도는 충돌각도의 60% 이내로 나타났다. 5) 철재 중앙분리대 방호울타리로부터 분리된 파편이 거의 없어 도로소통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 PDF

SB4 등급 방현기능 콘크리트 방호울타리의 방호성능 평가 (Evaluation of the Protection Performance of SB4 Class Concrete Barrier with Anti-Glare Function)

  • 주봉철;홍기남;윤정현;이재하;김정호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93-102
    • /
    • 2021
  • 본 논문은 방현기능을 갖는 SB4등급 중앙분리대용 콘크리트 방호울타리를 개발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개발 단면은 높이와 하면의 폭이 각각 1,270mm와 560mm이다. 단면 중앙에는 방호성능을 향상하기 위해 와이어 매쉬가 배치된다. 충돌해석은 이 단면이 강도 및 탑승자 보호 성능을 만족하며 울타리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예측하였다. 실물 충돌시험에서도 이 단면은 강도 및 탑승자 보호 성능을 만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트럭 충돌 시 콘크리트 방호울타리 2곳에 손상이 관찰되었다. 향후 콘크리트 중앙분리대용 방호 울타리 충돌해석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국내 시판 차량에 대한 모델 개발과 지속적인 충돌해석 기법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방호울타리 안전성능에 관한 충돌해석 연구 (A Study on the Safety Performance of Roadside Barriers by Collision Analysis)

  • 이영호;송재준;이상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5558-5565
    • /
    • 2012
  • 도로 방호울타리는 차량의 이탈을 방지하는 시설로, 도로의 형태나 제한속도 등을 기준으로 하여 7 종류의 방호울타리를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차량의 성능이 향상되면서 과적, 과속의 위험이 있고, 국내외 방호울타리 관련 차량사고를 보면 추락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현재의 방호울타리 설계충격도가 다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에 주로 적용하는 SB5 강재 방호울타리와 SB6 콘크리트 방호울타리의 차량방호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차량충돌해석을 수행하여, 방호울타리의 파괴 및 차량전도 조건을 산출하였다.

중앙분리대 형태에 따른 운전자 연령별 주관적 속도감 지각 (The perception of subjective speed sense by drivers' age on types of median)

  • 박선진;이순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7권1호
    • /
    • pp.51-62
    • /
    • 2011
  • 본 연구는 중앙분리대 형태에 따른 운전자의 주관적 속도감 지각과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나타나는 운전자의 주관적 속도감 지각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었다. 20-39세 운전자 20명, 40-59세 운전자 19명, 60세 이상 운전자 22명이 실험에 참가하였다. 참가자에게 가요성 방호 울타리와 콘크리트 벽형 강성 방호울타리 형태의 중앙분리대를 가진 도로조건에서 주행하는 장면을 보여주고 목표속도(60km/h, 80km/h, 100km/h)에 반응하도록 하였다. 분석결과, 콘크리트 벽형 강성 방호울타리 조건보다 가요성 방호울타리 조건에서 목표속도에 대한 판단속도가 낮았다. 그리고 연령대별 목표속도에 대한 판단속도를 분석한 결과, 연령이 증가할수록 목표속도에 대해 판단속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가요성 방호울타리와 콘크리트 벽형 강성 방호울타리에서 모두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중앙분리대 형태가 주관적 속도감 지각에 미치는 영향이 연령대가 높아져도 유지되고 있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운전자의 주관적 속도감 지각이 높아지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 PDF

조립식교량의 콘크리트 방호울타리 연결시스템 개발을 위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Development Connection System of Concrete Barrier in Modular Bridges)

  • 정호성;이상승;최진웅;김태완;박선규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49-57
    • /
    • 2012
  • 최근 교량의 건설에서는 공사기간의 단축 등을 위해 조립식 형태의 교량 시공이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이는 대부분이 주 구조물인 교각, 거더와 바닥판 등에 국한되어 있고, 조립식 교량에 적합한 방호울타리와 같은 부대시설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립식 교량 적용을 위한 콘크리트 방호울타리 연결 시스템을 제안하고, 제안된 시스템의 구조적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정적 실험을 수행 하였다. 변수는 볼트의 수직 수평 접합방식으로 기준실험체와의 비교를 통해 조립식 교량에 적합한 콘크리트 방호 울타리 연결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볼트의 수직접합이 구조적 성능 및 건전성이 일체형의 기준실험체와 거의 동일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조립식교량 적용을 위한 연결시스템으로 적당하다고 판단된다.

탈·부착식 교량 방호울타리의 3차원 유한요소 정적해석 및 안전성 평가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static analysis and safety evaluation of attachable roadside barriers on bridges)

  • 이상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2414-241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교량 통합 부대시설 모듈 구조 개발을 위하여 측면 탈 부착식 교량 방호울타리의 3차원 유한요소해석 및 구조 안정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LS-DYNA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결 모듈의 격벽 간격 및 볼트 갯수 변화가 방호울타리 구조의 변위 및 응력에 미치는 영향을 상세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LS-DYNA 프로그램을 사용한 유한요소해석은 콘크리트 바닥판에 삽입된 앵커볼트로 연결된 모듈 위에 설치된 방호울타리의 정적 거동과 구조 안전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확장되었다. 수치해석은 6개의 매개변수에 대하여 방호울타리에 발생된 처짐 및 응력분포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모두 구조적으로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컴퓨터 모의층돌시험을 통한 콘크리트 중앙분리대 방호울타리 형식별 성능비교 연구 (A Comparison of Concrete Median Barriers in terms of Safety Performance using Computer Simulation)

  • 정봉조;장명순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5-125
    • /
    • 2003
  • 콘크리트 중앙분리대 방호울타리(이하 중분대 시설)는 대표적인 강성 방호울타리로 사고차량의 중앙선 침범으로 인한 대형차량과의 충돌사고 방지를 위해 설치된다. 중앙분리대 폭을 충분히 할 수 없는 우리나라의 도로여건상 콘크리트 중앙분리대 방호울타리의 설치는 불가피하게 받아드려 지고 있으며 특히 유지관리 비용 측면에서 현실적인 대안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중분대 시설은 일반적으로 810mm 높이의 콘크리트 구조 위에 596mm 높이의 방현망을 추가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차량의 대형화 추세로 인해 현재 중분대 시설을 승월하는 교통사고가 빈번히 일어나고 중분대 상단의 방현망이 파괴되면서 2차 사고를 유발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최근 들어 중분대 시설의 형식 개선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요구에 의해 가장 일반적이고 널리 사용되고 있는 F형과 NJ형, 약 80도의 단일경사면을 사용한 단일 경사형, 방현망을 없애고 순수한 콘크리트 방호울타리의 높이를 1,270mm로 높인 개선형 중분대 시설 형식에 대해 적정 대안을 찾아내고자 컴퓨터를 이용하여 모의 차량충돌시험을 수행하였다. 모의충돌시험에서는 구조적 안전성을 측정을 위해 대형차량의 롤(Roll)각을 측정하였고 소형차량의 경우 탑승자보호성능평가를 위해 차량이 받는 종, 횡방향 가속도 및 탑승자의 충돌속도(THIV), 탑승자의 가속도(PHD)를 측정하고 이들을 비교 검토하였다. 각 형식에 대한 컴퓨터 모의충돌시험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비교 분석한 결과 차량의 안정성과 탑승자보호 성능에서 개선형 중분대 시설이 가장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콘크리트 방호벽의 등급 고찰 (Test Level of Domestic Concrete Barrier)

  • 전세진;최명성;김영진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제20권1호
    • /
    • pp.113-116
    • /
    • 2008
  • 국내 건설교통부 규정에서는 방호울타리(방호벽 및 중앙분리대)의 등급을 SB1${\sim}$SB7로 나누고 각 등급이 수용해야 할 충돌차량의 중량, 속도 및 각도를 명시하고 있다. 한편, 국내의 콘크리트 방호울타리에는 제원에 따라 형식-1, 형식-2 등의 한국도로공사 표준도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각 방호울타리 형식에 대응되는 등급을 규명하기 위한 해석 및 실험적 연구가 수행되어져 왔으나, 아직까지 명확한 기준이 확립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 연구에서는 대표적으로 방호벽 형식-2에 해당하는 등급을 정적 실험을 통하여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정적 실험시의 재하 형태와 등급 판정기준이 되는 충돌하중은 국내의 각 등급과 유사하게 대응되는 AASHTO LRFD의 시험 등급을 참조하였다. 실험 결과에 의하면 형식-2는 SB5 등급을 만족하고 있는 반면 SB6 등급에 대한 만족여부는 다소 명확치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해석적인 연구와 차이가 있으므로 추가적인 연구를 요하는 사항이다. 방호벽의 성능 및 해당등급을 평가하기 위한 기존의 차량충돌실험 및 해석에 부가하여, 비교적 정밀한 거동 계측이 가능하고 극한 상태까지 재하 할 수 있는 정적 실험을 통한 평가를 위해서는 국내 기준의 각 등급별로 충돌하중 및 재하방법을 구체적으로 명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방호울타리 연결방법에 의한 FRP바닥판의 거동특성 (Performance Verification of FRP Decks by Connection between Bridge Rail and FRP Decks)

  • 이영호;정진우;염광수;박기태;황윤국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I)
    • /
    • pp.134-137
    • /
    • 2006
  • In this paper, performance verification of connection between bridge rail and FRP decks are performed by static test. Also, the effect of flexible bridge rail failure to behavior of FRP deck are examined. Commercial products of flexible bridge rail are applied to test specimen, and 6 types of FRP deck-to-bridge rail connection system are considered. By the test results, 6 types of connection system by the connection method have similar structural capacity and have enough safety margin. Therefore, it is determined that 6 kinds of bridge rail considered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bridge effectively by the cases of bridge field condi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