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컴퓨터 교과목

검색결과 190건 처리시간 0.023초

사이버 강좌에서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한 사례 연구 (Case Study for Increasing the Learning Effect In Cyber Lecture)

  • 엄종석;조세홍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1230-1237
    • /
    • 2013
  • 사이버 강의는 전통적인 수업의 대안으로써 주목을 받았으나, 교육의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하지만 교육 공학이 접목된 사이버 강좌의 기획력과 최근 컴퓨터 및 네트웍 등의 기술 발전의 결합은 사이버 강좌 교육의 효율성을 상당히 제고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논문의 지향점은 사이버 강좌 교육의 학습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이버 강좌 제작에 있어서 중점이 되는 요소들을 파악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제작된 사이버 강좌는 강좌의 학습 효율성을 극명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일반적인 이론교육이 아닌 소프트웨어 실습이 중심이 되는 컴퓨터 교과목이다. 제작된 강좌의 학습 효율성을 위하여 강의를 수강한 학생들에 설문 조사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집한 후 통계적인 처리를 통하여 사이버 강좌의 학습 효율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분석하였다.

웹 기반 프로그래밍 과목의 효과적인 강의 전략 (Effective Strategies for Teaching a Web-based Programming Course)

  • 이충기;홍석원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1-14
    • /
    • 2004
  • 언제 어디서나 적은 비용으로 프로그래밍을 배우고자 하는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웹 기반의 프로그래밍 강의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웹 기반으로 프로그래밍을 가르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따라서 이 강의를 효과적으로 가르치기 위한 방법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관련 문헌들과 수년 간에 걸쳐 웹 기반으로 프로그래밍 과목을 가르친 경험에 기초하여 효과적인 웹 기반의 프로그래밍 강의 전략을 제시한다. 먼저 프로그래밍 교과목의 특성과 학습자들의 특징을 고려하고 프로그래밍 능력을 개발하기 위한 교안 설계 전략을 제시한다. 다음으로 그 과목의 효과적인 평가 및 운영 전략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제안된 전략들에 따라 진행된 최근 강의의 성적 평가와 운영 결과를 분석한다. 이는 웹 기반 강의의 교육 효과를 높일 수 있음을 보여 준다.

  • PDF

지능형 퍼지 추론 기법을 적용한 공교육의 정성 평가방법 (Qualitative Evaluation by using Intelligent Fuzzy Logical Inference for the Public Education)

  • 김영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97-105
    • /
    • 2014
  • 공교육 현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각종 정량적 평가의 문제점을 고려하고, 학생들의 교과목 점수 외의 개별 특성을 반영하여 평가에 적용 할 수 있는 정성적 평가 기법을 제안하기 위해 지능형 퍼지논리 추론의 적응성과 가능성을 이용하는 방법론적 고찰을 연구하였다. 각 급 학교의 평가에서 정량적 점수에 추가하여 평어평가를 활용하여 개인의 정성적 특징을 반영하는 기법을 제안하고, 한편으로, 교육정책 관련 사안으로서의 실제적인 실혐 환경구축 및 구현의 어려움으로 인해 가상적인 환경에서의 실험결과를 제시하였다.

  • PDF

VR 기기를 활용한 환경교육 가상 콘텐츠 개발 : 생활폐기물 분리수거법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virtual content using VR devices: Focusing on household waste separation methods)

  • 이예람;이수아;강상윤;김준배;전성환;김석훈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4년도 제6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32권1호
    • /
    • pp.241-242
    • /
    • 2024
  • 환경오염으로 인한 문제는 매년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환경오염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있는 비율에 비해 환경보호 실천보다 생활의 편리함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높으며, 올바른 환경보호 지식을 습득하고 있는 수가 적다. 유년기, 청소년기에 초중고교에서의 교육을 통해 올바른 환경 지식을 습득하고 환경을 보전하려는 태도를 갖추는 것이 중요한데, 환경 교과목을 채택한 교육기관의 수는 14.1%로 절반도 채 되지 않는다. 본 논문은 가상공간 내에서 올바른 분리수거 방법을 습득하고, 학습자가 이를 실생활에 적용하기 용이한 게임기반의 체험형 VR 환경교육 콘텐츠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방사선학과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현 교육과정 평가 (Evaluation of Present Curriculum for Devlopment of Dept. of Radiological Science Curriculum)

  • 강세식;김창수;최석윤;고성진;김정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242-251
    • /
    • 2011
  • 시대와 사회적인 변화에 따라서 교육과정은 변화의 요구를 받게 된다. 교육과정의 변화를 요구받는 현시점에서 교과과정을 개선하기 위한 선행단계인 현재의 교과과정을 분석, 평가하고자 한다. 교육전문가 집단의 설문과 현재 방사선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21개 대학 중 19개 대학 방사선학과의 교육과정 및 참고문헌을 중심으로 연구하였으며, 연구내용은 방사선사 업무범위와 교과과정, 방사선과학 교육과 교과과정, 디지털과 국제화시대의 교과과정, 방사선과학에 대한 학문적인 발전과 교과과정 등의 내용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업무범위에서는 혈관조영학 및 중재적검사학은 6 ~ 8개교, 투시영상학은 4개교, 초음파영상학 및 실습은 6개교, 자기공명영상학은 2개교 등에서 미개설된 것으로 나타났다. 기초의학 교과목인 인체생리학, 인체해부학 및 실습, 의학용어 등은 대부분의 대학에서 개설되어 있었으나, 병리학 5개교, 영상해부학 6개교, 임상의학 11개교 등에서 미개설 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초이공학 교과목 중에서 일반생물학 및 실습은 11개교, 일반물리학 및 실습은 14개교, 일반화학 및 실습은 8개교 등 약 절반정도의 대학에서 개설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기초에서 디지털화 교과목인 보건전산학, 컴퓨터프로그램밍, PACS 등이 개설된 대학은 4 ~ 5개교에 불과하였다. 방사선과학 교육은 확대된 업무범위를 포함하여, 방사선과학의 학문적 발전과 디지털화 교육 및 국제화 그리고 방사선과학 분야의 미래지향적인 교육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현재 각 대학에서 개설, 운영되고 있는 교과과정은 일정부분 표준화의 필요성을 인식하였으며, 이에 방사선학과 교육과정은 인증제 도입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컴퓨터 이러닝에서 학습만족도와 자기주도성, 플로우(Flow)경험 간의 관계 (Relationships among Learner's Satisfaction, Self-Directedness and Flow Experience in Computer e-Learning)

  • 장필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69-76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웹상에서 이루어지는 컴퓨터 교과목 이러닝에서, 학습자의 학습만족도와 자기주도성, 플로우(flow) 경험의 연관관계를 파악하고, 경로분석을 활용하여 이들 요인간의 인과관계를 분석,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존 이론 연구들을 바탕으로 학습만족도를 종속변인으로 하고 자기주도성과 플로우 경험을 독립, 매개변인으로 하는 구조모형을 기초로 하여, 각 요인의 하위 구성요인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총 193명 학생의 데이터가 분석에 이용되었으며,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1. 학습자의 자기주도성은 플로우 경험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학습만족도에 간접적으로 유의한(p<.01)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플로우 경험은 학습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유의한(p<.01)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자기주도성의 7개 하위 구성요인 중 '독창적 접근', '학습에 대한 사랑', '학습자적 신념' 등이 플로우 경험을 매개로 하여 학습만족도에 양(+)의 방향으로 간접적으로 유의한(p<.01)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플로우 경험의 9개 하위 구성요인 중 '명확한 목표' 요인이 학습만족도에 양의 방향으로 직접적으로 유의한(p<.01)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공학 프로그래밍 교육에 아두이노 활용 방안 사례 연구 (Case Study on Utilizing Arduino in Programming Education of Engineering)

  • 박장현;김성환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276-281
    • /
    • 2015
  • 현대의 공학자들에게는 직무 수행에 있어서 컴퓨터와 프로그래밍 기술이 점점 더 요구되고 있다. 본 저자들이 소속된 제어로봇공학과에서는 1학년의 교과 과정에서 C 언어를 익히는 것으로 프로그래밍 학습을 시작한다. 이는 마이크로콘트롤러를 다루는데 있어서 C 언어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존의 PC기반의 수업은 저학년 학생들에게는 딱딱하고 어렵게 느껴져 흥미를 유발하기 힘들다는 한계가 있었다. 본 논문은 학부 저학년 대상의 공학 프로그래밍 교과목에서 아두이노 플랫폼을 활용한 후 그 수업 과정과 장점들에 대해서 소개한다. 그리고 구현 실험 결과를 분석하여 수업을 개선하는데 아두이노 실습 도구들이 매우 유용하다는 결과를 제시한다.

대학에서 컴퓨터와 인터넷 마케팅 교과간 융합수업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nvergence lesson about Computer with Internet Marketing subject in University)

  • 이근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7-12
    • /
    • 2018
  • 지식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빠르게 발전하는 사회속에서 다양한 분야의 지식과 기술의 연계가 강조되는 융합이 중요시되고 있다. 이러한 창의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과학, 기술, 예술, 인문, 수학, 공학 등을 아우르는 창의적 사고력과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핵심 역량을 지니도록 교육에서도 분과학문적인 지식의 틀을 깨고 새로운 발상을 할 수 있는 융합인재교육(STEAM)이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현대산업 사회에서 요구하는 창의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컴퓨터 교과와 인터넷 마케팅 교과간 융합 수업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융합 수업의 과정에 대한 모형을 개발하였다. 둘째, 융합 수업의 과정은 관련 교과 선정, 주제 선정, 수업설계, 수업 지도안 작성 및 문제 개발, 융합 수업 전 과정에 대한 논의, 수업 실행, 수업 평가의 7 단계로 설계되며 수업이 진행된 후 평가의 내용을 피드백하여 다음 주제 선정이 이루어지는 순환적 과정이다. 셋째, 컴퓨터 공학입문과 인터넷 마케팅 교과목 융합 수업을 위한 문제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교수 설계가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는 실제 많은 강의 현장에 적용해 보는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문헌정보학에서의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 교육과정 연구 (A Curricular Study on AI & E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구본영;박미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11-232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직면하고 있는 기술과 시스템 환경변화에 적합한 정보전문가 양성을 위한 문헌정보학 교육의 내용을 규명해보는데 있다. 그 중에서 현재 정보환경 변화에 따라 요구되는 최신정보기술인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이 필요함을 인식하여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의 어떤 교육내용이 문헌정보학에 도입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기본적 자료를 얻어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른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도의 정보기술과 컴퓨터의 발전으로 인하여 문헌정보학의 전통적인 핵심내용이 새로운 내용 즉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원 탐색, 온라인데이터베이스 검색, 정보시스템 분석과 설긴 컴퓨터활용능력, 정보검색전략 개발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 교육내용 중에서 문헌정보학 교육에 중요한 내용으로는 데이터베이스처리 시소러스 자연언어처리, 지식표현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헌정보학 교수들은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 교과목 주제가 대다수 학생들에게 유용한 주제라고 인식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넷째, 앞으로 사서/정보전문가를 돕는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의 역할이 참고봉사, 편목${\cdot}$ 분류, 정보검색${\cdot}$ 문헌전달 업무에서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다섯째, 문헌정보학과 교수들이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 교과목 주제를 중요하게 인식함에 따라 앞으로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 교육과정이 국내 문헌정보학 교육과정에 개설될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공지능과 전문가시스템 교육내용 중에서 중요하다고 조사된 데이터베이스처리. 시소러스 자연언어처리. 지식표현의 과목은 앞으로 문헌정보학 교육과정에 도입하여야 할 것이다.

  • PDF

PBL을 이용한 컴퓨터공학입문 수업의 실제적 적용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Applications of Introduction of Computer Engineering Class using PBL)

  • 이근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6303-6309
    • /
    • 2014
  • 본 논문은 학생들이 현대 산업사회에서 요구하는 여러 가지 능력을 기르기 위하여 PBL을 교과목에 적용하였다. 공과대학에서 PBL 활용을 위하여 PBL 문제를 개발하여 수업에 적용하고 PBL 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은 '컴퓨터공학입문' 교과목을 수강한 H대학 1학년 학생 63명이었으며, PBL수업은 15주에 5개의 PBL 문제를 적용하였다. 학생들은 주어진 문제의 PBL 활동이 끝날 때마다 성찰일지를 작성하여 제출하였으며, 5번째 PBL 문제 활동이 끝난 후에 PBL 활동에 대한 강의 평가지를 작성하였다. 연구 결과는 학습내용에 대한 이해, 협동학습에 대한 이해, 실제적 경험, 창의문제해결력, 프리젠테이션 스킬,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자신감과 같은 다양한 PBL의 효과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PBL 활동 과정에서 함께 모이는 어려움,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어려움이 도출되기도 하였다. 학생들은 이 PBL 학습 활동은 현대 산업 사회에서 요구하는 미래의 유능한 엔지니어로서의 전문성을 기를 수 있는 중요한 방법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갖춘 전문 인재를 육성하고자 하는 공과 대학 교육의 궁극적인 교육 목표 달성에 큰 시사점을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