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커뮤니티 케어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4초

노인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미충족 영향요인: 서울시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사업을 중심으로 (Understanding Factors Associated with Unmet Need for Outreach Community Health Service among Older Adults in Seoul)

  • 손창우;이승재;황종남
    • 한국노년학
    • /
    • 제39권2호
    • /
    • pp.213-229
    • /
    • 2019
  • 이 연구는 서울시 찾아가는 동주민센터(이하 '찾동') 노인 방문건강관리 서비스를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건강관리 서비스 미충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향후 효과적인 커뮤니티케어 정착을 위한 동 단위 방문건강관리 사업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찾동 2단계('16. 7. 1 ~ '17. 6. 30) 사업에 참여한 17개 자치구 만 65세, 만 70세 노인 중 1,000명을 자치구별 비례할당 및 임의 추출하여 대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서비스 미충족 영향요인의 경우, 개인 및 자치구 환경적 요인으로 나누어 다수준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 서비스 미충족을 높이는 개인적 요인으로 사회경제적 수준(고소득, 독거 및 노인가구), 건강수준(복합만성질환, 건강문해력, 우울), 찾동 경험(간호사 1회 방문, 적은 서비스 제공시간 및 낮은 이해도), 사회신뢰(낮은 정부신뢰)로 나타났으며, 자치구 요인으로는 사업 시행기간이 짧을수록, 재정자주도가 낮을수록 서비스 미충족 확률이 높았다. 이를 통해, 커뮤니티케어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다음의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건강관리 서비스 수혜 대상을 현재의 65세 및 70세 노인 전수 방문에서 중장기적으로 경제적 또는 건강 취약가구로 사업의 초점대상을 좁혀서, 제한된 예산 속에서 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방안에 대한 고민이 요구된다. 둘째, 방문 대상 연령을 만 65세에서 만 66세로 전환하고 국민건강보험공단 생애주기별 건강검진사업과 결과를 공유하여, 사업의 효율성이 높이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서울시 찾동 사업은 시군구를 중심으로 운영되던 국민건강관리를 행정동 단위로 낮추어 국민들이 체감도를 높이고, 지역사회 건강관리의 패러다임을 바꾸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 연구가 향후 커뮤니티케어의 효과적인 정착을 위한 기초자료 및 정책 대안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Community Care for Elderly People: a Comparison Study of Medical Care in Korea, Japan, Taiwan and China

  • Chae Won Kang;Yeon Woo Song;Hye In Jeong;Kyeong Han Kim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9-42
    • /
    • 2023
  • 목적 : 노인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노인 돌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일본, 대만, 중국의 노인들을 위한 지역사회 돌봄 시스템을 비교하는 것이다. 방법 : 본 연구는 PubMed를 포함한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4개국의 커뮤니티 케어 시스템을 파악했다. 검색은 지역사회 돌봄, 통합 돌봄, 노인 돌봄 등 다양한 용어를 사용해 이뤄졌으며 연구는 제외 및 포함 기준에 따라 식별되었다. 결과 : 본 연구에는 총 77개의 연구가 포함되었다. 이 연구는 4개국의 지역사회 돌봄체계를 분석했다. 그리고 의료정책에 초점을 맞춰 "퇴원지원"과 "방문의료"의 시스템과 운영사례를 비교하였다. 결론 : 지역사회 돌봄에서 적절한 한의 홈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한의사에 대한 인식 제고와 예산 증액이 필요하며, 본 연구는 향후 보다 발전된 노인돌봄정책 수립에 활용될 수 있다.

주목해야 할 패키징 디자인 ④<마지막 회> - 깐깐한 소비자를 유혹하는 퍼스널 케어 패키지 디자인

  • 김승환
    • 월간포장계
    • /
    • 통권331호
    • /
    • pp.85-87
    • /
    • 2020
  • 전 세계인의 삶을 송두리째 바꾸어 놓은 코로나19로 인해 산업 전반에도 큰 변화가 예상된다. 특히 가처분 소득 감소와 소비 심리 수축으로 꼭 필요한 것에만 지갑을 여는 구매자들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과거보다 더욱 깐깐해진 구매자의 시선을 잡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가 패키징 디자인이다. 사람에 대한 첫 인상이 3초 안에 결정되는 것처럼 좋은 패키징 디자인으로 구매자의 시선을 한번에 사로잡을 수 있기 때문이다. 포스트코로나시대를 맞아 국내 최대 디자이너 커뮤니티이자 산업 디자인 콘테스트 플랫폼인 '라우드소싱'과 함께 패키징 제조업체들이 주목해야 할 패키지 디자인에 대한 시리즈를 총 4회에 걸쳐 진행한다.

  • PDF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도입 의미와 과제 (The meaning and challenges of the introduction of the Customized Care Services for Older Adults)

  • 전용호
    • 한국노년학
    • /
    • 제40권4호
    • /
    • pp.599-616
    • /
    • 2020
  • 정부는 2020년부터 기존의 6개 노인 돌봄서비스를 일괄 폐지하고, 노인맞춤돌봄서비스를 새롭게 도입했다. 노인돌봄 제도의 큰 변화로 장기요양 등급외자 노인을 위한 예방서비스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맞춤돌봄서비스의 도입 의미와 과제를 길버트와 테렐의 정책 분석틀을 활용해서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노인맞춤돌봄서비스는 사회서비스원의 도입과 커뮤니티 케어를 강조하는 거시 정책 환경에서 탄생한 제도로 노인 돌봄의 할당, 급여, 전달, 재정 측면에서 여러 변화를 초래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제도적으로 등급외자를 위한 돌봄서비스의 보장성이 하위 70%로 확대되고, 보건의료와 복지의 다양한 급여가 제공될 수 있게 됐다. 또, 전달체계가 지역의 생활권역을 설정해서 수행기관이 전담해서 책임지고, 재정이 공급자 지원 방식으로 바뀌었다. 이를 통해 여러 긍정적인 변화가 기대되지만, 보장성의 여전한 취약성, 셀프케어의 모호함과 직접 대인 서비스의 축소, 서비스권역 설정의 적절성, 공급자 위주 서비스 제공 등의 과제가 발생할 것으로 분석됐다.

커뮤니티케어를 위한 농촌지역 경로당의 운영현황 및 이용실태 연구 - 원주시 흥업면 경로당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Use of Gyungrodang in Rural Area for Community Care - Focused on Gyungrodang in Heungeop-myeon, Wonju-si, Gangwon-do)

  • 이태호;김지언;송그룸;임수빈;남은우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7-15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and use of Gyungrodang located in Heungeop-myeon, Wonju-si and to present improvement and implication for community care in rural area. Methods: The survey of the current status was conducted with interview and observations. The use status of Gyungrodang was surveyed for the elderly over 65 years old who live in Heungeop-myeon using questionnaire. A face-to-face interview was conduct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and 181 samples were collected for the study. Results: In the current status, some of the Gyungrodang did not operate during farming season. The external environment, in terms of accessibility, 74.2% of Gyungrodang were located more than 60 minutes on foot from community center, health post, and pharmacy. In addition, the interval between buses run minimum 15 minutes to 120 minutes on average. The internal structure, 35.7% was divided room and toilets. In the use status, the reason for non-use of the Gyungrodang was discomfort(29.0%), and the reason for using was because friends go to the Gyungrodang(44.6%). The most satisfying program was te health care program(65.6%). Implica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operate customized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target population and seasons. Second, it is necessary to make a plan focused on consumers' needs through satisfaction and demand survey. Third, it is necessary to divide the space of each Gyungrodang by gender when planning the expansion or new construction of Gyungrodang.

경로당 이용과 인구사회학적 요인, 삶의 만족도, 건강상태에 관한 연구 (Senior Citizen Centers Utilization: Role of Socio-Demographic Factors, Life Satisfaction and Health Condition in Korea)

  • 송그룸;;남은우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5권3호
    • /
    • pp.141-153
    • /
    • 2020
  • 목적: 한국은 지역사회 기반 통합 돌봄(커뮤니티케어)을 통해 노인들을 위한 보건 및 사회복지 서비스의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는 노인의 경로당 이용에 대한 인구사회인적 요인, 삶의 만족도, 건강상태 등이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2017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횡단 분석 연구가 실시하였다. 이용패턴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를 하였고, 경로당 이용과 관련된 요소들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지난 12개월간 노인 1만299명 중 22.7%가 경로당을 이용하였다. 경로당을 이용하는 이유 중 가장 많은 응답은 경로당 동료들과 여가를 보내기 위함이었으며, 대상자의 95% 이상이 제공되는 서비스에 만족하고 있었다.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대해서는 여성(AOR=1.20; 95% 신뢰 구간(CI), 1.05-1.38), 80세 이상 노인(AOR= 3.94, 95% CI, 3.30-4.71), 문맹자(AOR=5.27; 95% CI 3.80-7.30), 교육 수준이 낮거나 읍면 지역 출신(AOR=6.42; 95 % CI, 5.72-7.20)이 경로당을 이용할 가능성이 가장 높았다. 생활 만족도 부분에서는 재정적 만족도(AOR=1.21; 95% CI, 1.06-1.37), 문화에 대한 만족도(AOR=1.49; 95% CI, 1.24-1.79) 및 친구들과 사회에 대한 만족도(AOR=4.24; 95% CI, 3.17-5.66)가 높은 사람이 경로당을 더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이 없다는 응답자에 비해 만성 질환을 2개 이상 보유한자(AOR= 2.01; 95 % CI, 1.60-2.53)의 경로당 이용률이 2 배 더 높았다. 결론: 정부의 지역사회 기반 통합돌봄 정책 수립을 위하여 경로당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요인, 삶의 만족도, 건강상태와 관련된 요인들을 고려하여, 이용률을 높이고, 건강관리를 위한 통합 돌봄 시설이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통합적 공공 복지전달체계를 위한 조건: 영국 사례 연구 (Conditions for Integrated Public Welfare Delivery System: Case Studies in Britain)

  • 김보영
    • 한국사회정책
    • /
    • 제25권2호
    • /
    • pp.403-428
    • /
    • 2018
  • 우리나라에서 통합적인 공공 복지전달체계 구축을 위한 시도는 통합사례관리까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특히 최근 '커뮤니티 케어'와 관련해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부분적인 조직개편에 그치거나 민간자원의 동원에 그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서비스 정책 발전에 있어서 통합적 개혁의 경험을 가지고 있는 영국의 보건의료와 사회서비스의 통합적 접근 사례, 우리나라 통합사례관리와 유사한 문제경험가족 프로그램 사례를 각각 런던 자치구와 지방의회를 방문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통합적 전달체계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인력, 조직, 재정 등 제도적 장벽의 종합적인 해소가 시급하고, 관련된 전문 집단과 기관간의 분명한 목표 공유와 파트너십 구축이 필요하며, 사례에 대한 정보 공유 체계와 기술적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커뮤니티케어 기반의 방문구강건강관리 중재 수혜자의 프로그램 운영 관련 인식 및 태도: 근거이론적 접근 (Awareness and attitudes regarding oral care intervention program based on community care for older adults at home : focusing on the grounded theory)

  • 박명화;박지원;이슬아;장종화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351-360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is based on a visiting oral health care intervention program in the community care. This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o identify awareness and attitudes regarding intervention program among older adults. Methods: The research team visited the homes of the target older adults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for approximately an hour using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The collected voice recordings were transcribed using Clova Note, and AI program by Naver. Using the 'Word Cloud Generator 3.7' program, words of high importance and interest from interview answers were extracted, visualized, and analyzed. Results: Participating older adults acknowledged that their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could be improved by increasing the level of oral health awareness and oral health knowledge through the intervention program. In addition, the older adults indicated that their oral hygiene management ability improved compared to before the intervention through expert oral hygiene management and oral health education. Further, as the level of oral health knowledge increased, so too did satisfaction with the intervention program increase. Conclusions: The intervention program for visiting oral health care showed a positive effect on the awareness and attitude of older adults. Thus, it is suggested that education for continuous competency enhancement of dental hygienists and multidisciplinary education for the improvement of gener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of older adults should be promoted.

고령자 자립정도에 따른 헬스케어서비스 제공을 위한 공동주택 계획요소 분석연구 (Analysis of Apartment Design Elements for Applying the Health Care Service System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dependence of Elderly People)

  • 이지은;윤영호;박정아;권윤지
    • 토지주택연구
    • /
    • 제3권2호
    • /
    • pp.147-157
    • /
    • 2012
  • 정부는 임대주택에서 고령자 주택의 의무 설치비율에 대한 기준을 2012년 2월에 마련하였고, 이에 따라 고령자 주호 수는 늘어날 전망이다. 그리고 고령화 사회에 대비하기 위해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하면 효율적인 의료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을 것이라는 주장이 다양한 연구에서 언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고령자의 자립정도에 따라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고령자 주택의 계획요소를 도출하고 현재 기축된 4곳의 사례 적용평가를 통해 실태 파악과 추후의 전략을 도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고령자 주택계획에서 주호 내 어메니티를 지원하는 부분이 중요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실제 주택에서 반영 비율은 낮았고 공용공간의 위험 관리계획이 가장 높은 비율로 적용되어 있었다. 실제 건강측정이나 외부와의 커뮤니티 돕는 것과 같은 새로운 기술을 활용하는 부분은 아직 적용되지 않았지만 에이징인 플레이스의 개념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헬스케어서비스를 다양한 측면에서 고려하여 계획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사회보장플랫폼과 비대면 돌봄에 관한 고찰 (A Study on Social Security Platform and Non-face-to-face Care)

  • 장봉석;김영문;김윤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329-341
    • /
    • 2020
  • COVID-19가 전 세계를 휩쓸면서 지금까지만 해도 4,500만명 이상의 확진자와 100만 명이 넘는 사망자가 발생했고, 당분간 이런 상황이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탈리아나 스페인 등을 비롯한 유럽의 경우에는 감염자의 절반 이상이 요양시설에서 발생했고, 미국에서도 노인요양시설에서 4천여 명이 사망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때문에 포스트코로나 이후에 당면하게 될 문제는 집단돌봄에 대한 근본적 해결 요구와 가정 중심 서비스로의 이동에 있게 될 것이다. 특히 ICT 등 4차 산업 기술을 접목한 가정중심돌봄, 즉 초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커뮤니티 케어의 정착과 확장에 관한 논의가 점점 더 활발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로 인하여 4차 산업과 사회보장·사회복지를 어떻게 구체적으로 결합할 것인가라는 과제가 주어진다. 이른바 스마트웰페어시티를 어떻게 만들어 국민의 사회보장과 복지에 기여할 것인가가 바로 그것이라고 할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논문은 선행연구에서 다루었던 사회보장플랫폼에 관한 내용 중 그 기능과 범위 및 스마트웰페어시티 개념의 확정과 확장가능성을 통해 비대면 돌봄의 개념과 범위 및 내용 등을 고찰하였다. 이는 우리 사회가 지향하고자 하는 사회보장·사회복지영역에서의 스마트시티를 구현함으로써 커뮤니티 케어나 Aging in Place를 실현하고자 하는데 나름의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것이라고 판단된다. 다만 비대면 돌봄서비스의 구현을 위한 정책적, 법·제도적 관점에서의 구체적 방안이 무엇인지에 대해 다루지 못하고 있는 점은 아쉬운 부분이며 향후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음을 밝혀둔다. 본고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들이 스마트웰페어시티 뿐 아니라 행정·실천·법제 등을 비롯한 사회보장·사회복지체제 내지 전달체계 등에서의 방향과 미래상을 제시하고, 궁극적으로는 인간의 삶의 질 향상이라는 목표를 달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